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험예측 착각에 대한 성찰활동이 성취목표유형과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박송주(Songju Park),석보영(Boyoung Seok),강이철(Echeol Kang) 대한사고개발학회 2024 사고개발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점수 예측상황에서 학생에게 자신이 착각한 실상을 직접 확인시키고 그에 대한 이유와 원인을 글로 써서 성찰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유익한 교육적 성향이나 역량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종합대학 교양과목 수강생 151명을 대상으로 중간시험과 기말시험 직전에 예상점수와 희망점수를 예측하게 했고, 성취목표유형, 학습전략 유용성, 초인지 역량 3가지 설문을 실시했다. 모든 학생에게 기말시험 직전에 중간시험 때 예상한 점수와 실제 중간시험 점수의 차이인 착각점수를 알려주고, 그에 대한 이유와 원인을 글로 성찰하게 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착각 성찰활동은 착각유형을 과대에서 과소로 변화시키며, 착각점수의 범위를 감소시켰다. 또한 실제점수와는 강한 부적 상관에서 무상관으로 변화시켰다. 둘째, ‘숙달접근’ 성향과 ‘수행접근’의 성향의 차이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과대착각자는 다른 착각유형자들 보다 ‘숙달접근’ 성향을 더 강하게 갖게 되었다. 셋째, 성찰활동은 인출강도가 높고, 유창성 착각과 안정성 착각을 띄는 ‘하’ 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게 했다. 넷째, 과대착각자들에게는 초인지 ‘전체’ 역량을 더 강화하게 하고, 과소착각자들에게는 초인지 ‘지식’ 역량을 좀 더 약화하게 하고, 과대착각자들에게는 초인지 ‘조절’ 역량을 더 강화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착각점수를 공지하고 그 원인을 작성하게 하는 성찰활동이 착각의 정도를 감소시키고, 초인지 역량 중 조절 역량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익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activity of allowing students to directly recognize their illusions in a test score prediction situation and reflect on the reasons and causes in writing can improve beneficial educational dispositions or competencies. A total of 151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predict their expected and desired scores before the midterm and final exams. Surveys on achievement goal types, learning strategy utility, and metacognitive capacity(MCC) were conducted. All students were informed of their illusion score before the final exam and were asked to reflect on the reasons and causes in writing.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portunity for illusion(i) reflection changed the type of i from overestimation(OE) to underestimation(UE) and reduced the range of i scores. It also changed the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 score to no correlation. Second, it reduc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entations of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Additionally, OEs developed a stronger ‘mastery-approach’ orientation compared to other types of i. Third, the reflection opportunity led to the more frequent use of ‘low’ strategi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high retrieval strength, fluency i, and stability i. Fourth, it is suggested that the reflection activity possibly strengthened the overall MCC for OEs, weakened the MC ‘knowledge’ capacity for UEs, and strengthened the MC ‘regulation’ capacity for OEs. In conclusion, the activity of informing students of their i scores and having them reflect on the reasons achieved beneficial educational effects by reducing the degree of i and enhancing the MC regulation capacity.
다문화청소년 심리사회적 자원에 따른 군집과 고교진학 유형 차이 분석
박송주(Park, Soungjuu),이보라(Lee, Bor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청소년을 이들이 지닌 심리사회적 자원에 따라 유형을 나누어 보고 유형별 고교진학 양상을 탐색함으로써 이들의 진로발달에 적합한 조력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의 6차와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다문화청소년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유형화를 위해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개인 및 미시체계의 심리사회적 자원을 요인으로 선정하여 총 세 개의 집단(자원 결핍 집단, 자원 적정 집단, 자원 풍족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자원 적정 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고등학교 진학 양상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원 풍족 집단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일반고 진학률을 보였고, 세 집단 중 특목고 진학률이 가장 높았다. 반면, 개인 및 미시체계의 상호작용이 부적으로 나타난 자원 결핍 집단은 특성화고 진학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반고 진학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지원에 있어 개인 요인과 더불어 맥락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사회 전반적인 자원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내 차이에 주목하였을 시 유형별 필요를 파악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하며 단순히 정보 제공에서 그치는 진로교육이 아닌 이들의 자아정체성 성립을 통한 추후 진로지원의 실천적 방향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ttending 3<SUP>rd</SUP> year middle school in Korea using the ecological systems approach and to then explore the nature of their transition to high school. The 6<SUP>th</SUP> and the 7<SUP>th</SUP> wave data taken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re used.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using individual and socio-relational factors in microsystem showed a total of three groups (a resource deficiency group, an adequate resource group, and a resource-rich group). The adequate resource group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School tran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highest percentage of general high school entrance rates were in the resource-rich group while the resource deficient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admissi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 entrance rates were at a significantly low 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number of practical directions for further career guidanc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are needed.
악의적 노드 탐지를 위한 Random Key Predistribution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키 관리 기법
박한 ( Han Park ),송주석 ( Jooseok S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1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반 네트워크이다. 그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는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센서 자체의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보안의 핵심 요소인 키 관리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Random Key Predistribution 기법에 기반하여 악의적인 노드를 탐지하지 못하는 기존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키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B - ISDN에서의 Customer Network Management의 Agent 구성 방안 및 보안 연구
박정일(Park Jeong Il),남은영(Nahm Un Yong),송주석(Song Joo Suk),이재오(Lee Jae Oh)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B
B-ISDN이 상용화 되면, 서비스 제공망이 거대해 지고 관리 대상도 방대해지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사용자에게 망 관리의 일부를 제공하는 방안, 즉 CNM이 모색되게 되었다. 이는 방대한 망 서비스 관리를 분산시켜 냄으로써, 효율적이고 직접적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을 지닌다. CNM 서비스는 Manager/Agent 방안을 사용하는데, 효율적으로 CNM Agent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사용자에게 부분적인 망관리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발생되는 전체 서비스 제공망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와 보안 관리 측면을 살며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