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의적 사고를 돕는 교수-학습전략이 예술고등학교 감각교육에 미치는 영향 : 섬유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을 중심으로

        박성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르네상스 이후 서양회화의 바탕을 이루었던, 자연에 충실한 대상의 묘사를 통한 일루전(illusion)의 창조라는 미술 기준은 19세기 말 인상주의자들에 의해 소거되기 시작하였다. 20세기초에 이르러 입체주의자들은 사물이 더 이상 재현의 대상이기를 거부하고 물체 그 자체를 미술작품에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질감의 표현과 함께 꼴라쥬라는 조형방법을 창안하였다. 이 새로운 기법인 꼴라쥬는 표현소재의 다양성과 그로 인한 표현기법의 확장으로 현대미술 창조에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학생들의 미적 지각(시각적, 촉각적)을 개발, 확대시키기 위해 물체가 가지고 있는 성질 중 형태와 색채 외에 나름대로의 고유한 질감이 하나의 미적 표현재료로도 사용되어 질 수 있음을 인지시키고자 한다. 그 재료로써 섬유의 다양한 촉각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꼴라쥬 기법을 이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미적 감각의 발달을 돕는 동시에 오감의 균형 있는 조화를 통해 확장된 창조적 사고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미래의 미술가들이라고 할 수 있는 그들에게 이 수업이 전문미술교육으로 서의 바탕을 마련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첫째,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둘째는 요하네스 잇텐이 바우하우스 교육에서 실시하였던 질감에 관한 감각교육, 그리고 셋째는 섬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 보았다. 섬유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에서는 ① 교수-학습전략을 계획하기에 앞서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 분석의 토대로 삼았다. ② 학습자 분석을 기초로 섬유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의 교수-학습전략을 작성하여 동일학생을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수업 즉,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과 섬유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을 실시하였다. 예술고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예술에 관한 전문 교육을 통해 창조력을 개발하고 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바탕을 둔 예술인으로서의 자질을 강조하고 개개인의 개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며 그 미적 잠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의 활동 능력을 강조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섬유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의 도입부에서는 섬유를 주재료로 한 평면작품과 입체작품을 슬라이드로 제작하여 제시함으로써 재료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자 하였으며 또한 재료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케 하였다. 학습자료로는 시각 자료로 국내, 국외 섬유를 재료로 작업하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설명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동시에 촉각 자료로 다양한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섬유를 분류하여 직접 촉각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유롭게 사고하고, 재료를 만져보고,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경험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고 미의식을 고취시켜 가는 전 과정에서 미적 감각은 육성되며 창조적 사고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③ 결과물의 평가와 분석을 통하여 두 수업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공통점은 첫째, 학습분위기는 대상을 그린다는 행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에서 개방적인 학습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둘째, 화면에 기존의 물체를 붙일 수 있다는 꼴라쥬 기법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셋째, 표현하고자하는 주제 선택에 있어서는 구상적인 표현이 많았다. 차이점은 첫째, 재료선택에 있어서 표면적 질감을 인지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형태, 색채에 치중한 반면 촉감적 감각교육을 통해 재료의 다양한 질감을 학습하고 인지한 학생들은 시각적·촉각적으로 느껴지는 재질감을 의식하고 작품에 임하였다. 둘째, 재료의 조형적 활용면에서는 사용되어지는 재료 중에서 종이류를 제외하고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와 같은 재료에 비해 섬유는 꼬거나 올을 풀거나 자르고 혹은 부피감을 주는 등 섬유의 유연성을 적극 활용하여 조형화시키기 유리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재료를 변형시키려는 많은 시도를 보였다. 셋째, 섬유는 사용용도에 따라 재질, 색상에서 다양화 되어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들의 표현의도에 맞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넓었다. 넷째, 아이디어 스케치에서 보여줬던 의도들이 섬유의 색채와 질감으로 인해 표현 전달력이 명확하게 나타남으로써 작품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촉감적 질감교육을 위해 실시되었던 섬유를 이용한 꼴라쥬 수업은 학생들의 미적 감각을 육성시키고 또한 대상을 바라보고 표현하는데 있어서 창조적 사고능력을 갖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그들에게 입시를 위한 소묘나 전공뿐만 아니라 나아가 새로운 창작행위를 위한 감수성과 상상력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적 잠재능력의 개발과 창의적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 되기 위해 촉각적 훈련을 통한 미술수업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재료로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섬유뿐만 아니라,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 의 다양한 재료체험을 통한 실기수업이 되도록 앞으로 많은 연구와 실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rt standards, based western painting since the Renaissance, which was called the creation of illusion through depicting an object in nature started to be removed by impressionist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early 20th century, cubists created a modeling method called collage with the expression of new material by refusing to make an object the subject of reproduction and introducing an object itself to art work. This new technique, collage, suggested infinite possibilities to the creation of modern art with a variety of expression materials and the expansion of expression technique.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at innate texture as well as form or color can be one of art expression tools in sense education of art high school. This study has a purpose to help students develop aesthetic senses and have an expanded creative thinking by the balanced harmony of five senses, also to make a basis of specialized art education for future artists by practicing a lesson using a collage technique based on various experiences of touching fibers. To achieve these goals, I examined, first, creativity in the art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and art education, second, sense education of texture practiced by Johannes Itten in Bauhaus, and third, the theoretical basis of fiber. In the collage lesson using fiber, ① I practiced various collage lessons using many different materials with the subject of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the department of art to make it a basis in analyzing learners. ② By composing teaching-learning strategy of collage lesson using an analysis on learners, I practiced two different classes of collage using various materials and fibers each. Education in high school of arts is focused on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specialized education, emphasizing quality as an artist, increasing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stressing an individual's ability to develop his/her potentials. Accordingly, In the introduction of the collage lesson using fiber, I suggested sides of both plane and cubic art works to induce interest in materials, and had students acquire basic knowledge of materials. As learning materials, I provided works of fiber artis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th descriptions on them, and classified fiber providing various texture as touching materials to help students directly experience the feeling of each different fiber.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have a free thinking, touch materials and elevate their aesthetic thoughts by creating their own work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consequently, their aesthetic senses are raised and their thinking ability is improved in this process. ③ Through the evalu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 yielded things in common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essons. The things in common are, first, that learning atmosphere was open in that they can freely express escaping mere drawing. Second, learners showed great interest in collage where they can attach the existing objects on a canvas. Third, there were many concrete expression in choosing a subject. Differences are first, students who recognized and learned various materials had better expression such as perceiving touch-feeling and texture visually than the others who didn't, focusing merely on form and color. Second, in using the modeling character of materials, they made various attempts to transform materials using the elasticity of fiber by twisting, cutting or voluming up. Third, fibers are diversified by materials and colors, and this allowed students to choose colors appropriate for their intention. Fourth, intentions presented in idea sketches were clearly expressed by the color and feeling of fiber, and it satisfied students. In conclusion, collage lessons using fiber for texture education helps learners develop aesthetic sense and acquire creative thinking in looking at and expressing an object, which can be the basis of students' senses and imagination as well as drawings or majors for the entrance of college. I suggested an art lesson model through touching trainings to let students have creative thinking and aesthetic sense which can be developed through various practices. Futhermore, more studies and practices should be done for practice lessons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plastic and metal as well as fiber.

      • 한국 통계학문헌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박성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 논문은 계량서지학적 연구방법론을 국내 통계학분야에 적용해 봄으로써 국내 통계학자들의 연구활동 및 통계학분야의 학문적 속성을 수량학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저자의 생산성 및 인용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문헌으로는「정기간행물 기사색인」1945년∼1986년호에 수록되어 있는 통계학관련 학술논문 총648편의 출판문헌과「통계학 연구」1975년∼1986년호에 수록된 논문 137편에 인용된 1171편의 인용문헌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1) Lotka법칙을 통한 통계학저자의 생산성분석에서 Lotka의 상수 α= 2의 수정없이도 Lotka법칙이 적용됨을 입증하였다. 2) Bradford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통계학저자의 생산성에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국내 핵심저자 17명을 선정하였다. 3) 통계학 인용문헌의 형태별 분석결과 잡지가 62.43%, 단행본이 27.07%, 기타자료가 10.50%로 나타났으며, 언어별 분석결과 영어자료가 96.07%, 한국어자료가 2.65%, 기타어자료가 1.28%로 나타났다. 4) Bradford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통계학 인용저자의 생산성에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핵심 인용저자 20명을 선정하였다. 5) Brookes의 이용율감소법칙을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인용문헌의 이용율감소현상을 측정한 결과 이용율감소인자는 0.917이며 반감기는 7.987년으로 나타났다. 6) Bradford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통계학 인용문헌의 잡지내 분포를 분석한 결과 S값이 0.566인 Zipf 분포를 이루었다. 7) 통계학분야에 인용된 잡지를 발행국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자료가 74.28%, 영국자료가 17.24%, 한국자료가 4.10%, 기타국자료가 4.38%로 나타났으며,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주제 자기인용도는 43.77%, 타주제에의 의존도는 56.23%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search activites of Korean statisticians and scientific properties of Statistics field quantitatively by analyzing its literature with various bibliometric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of authors and ci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Total 648 articles related to Statistics of「Korean Periodicals Index」in the period 1945-1986 and 1171 cited literatures deawn from articles of「The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in the period 1975-1986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author's productivity in the Statistics field, Lotka's Law was verified without the adjustment of the constant α=2. 2) Core authors in the Statistics were selected 17 persons by applying Brookes' model of Bradford's Law to the productivity of authors. 3) In the analysis of physical forms of cited literatures, journals were 62.43%, book forms were 27.07% and other materials were 20.5%. In the analysis off languages, English was 96.07%, Korean was 2.65% and other languages were 1.28%. 4) Core authors cited in the Statistics were selected 20 persons by applying Brookes' model of Bradford's Law to the productivity of cited authors. 5) In the analysis of aging patterns of cited literatures with Brookes obsolescence model, the aging factor was 0.917 and the half-life was 7.987 years. 6) The distribution of cited literatures among journals in the Statistics field followed Zipf distribution of S=0.566. 7) In the analysis of countries of the publication of cited journals, America was 74.28%, England was 17.24%, Korea was 4.10% and other countries were 4.38%. In the analysis of subjects, subject self-citation rate was 43.77% and the independence rate of other subjects was 56.23%.

      • 모델리스트 역량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및 재교육 가이드라인 제안

        박성미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dentifies the role of modelist in the rapidly developing fashion industry, and grasps the reality of the modelist work characteristics and re-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a manpower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The purpose is to propose a retraining guideline for the reflected retraining program. In order to collect the overall research dat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5 modelist engaged in domestic clothing companies. For data analysis, SPSS 25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domestic modelist, the proportion of the modelist observing the legal working hours was 72.2%, whereas 21% of the modelist belonging to the agent worked over 60 hours per week. Appeared. This is interpreted as an imbalance in working hours due to the large amount of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agent. The modelist daily pattern production volume was found to be very irregular at a rate of 38.6%, which seems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modelist working hours per week. As for the main type of work in the modelist,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CAD was mostly used in the main work at the ratio of pattern CAD 45.5% and hand pattern/pattern CAD 38.6%. As the proportion of pattern CAD work in the fashion industry is growing, it indicates the need for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modelist are able to sew, so it was found that when the pattern is produced, the pattern is expressed. 2) As a result of the utilization of CAD programs, 93.2% of companies are using pattern CAD programs, and most fashion companies have introduced and used many pattern CAD programs. The pattern CAD program was found to be 48.8% of pattern/grading, and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ers using the pattern CAD program, data management is easy, patterns can be accurately produced, and clean work is possible. It appeared to b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not using 3D CAD programs was high at 79.5%, and the reason for the low utilization rate of 3D CAD programs was low cost and manpower issues and low business utilization in the company.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3D CAD programs for each main task, 41.7% of manual pattern/pattern CAD workers and 25% of pattern CAD workers showed high intention to introduce pattern CAD workers. This is because the pattern CAD worker's working environment is based on the computer, and the pattern CAD file and the 3D CAD program are compatible. 3) From the difficulty of the modelist, the difficulty of the pattern making technique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the contraction/stretching error of the fabric (M=3.57) and the difficulty of the material (M=3.30). The modeli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during pattern making, so it can be seen that fashion material education is necessary. The most difficult items when making a pattern were pants 29.7%, jacket/jumper 25.7%, and dress 16.3%. In the case of pattern making, stretch materials were 31.1% and knit materials 24.3%. Appeared to have difficulty. The problem of the modelist was that the workload was limited due to the heavy workload (M=3.72), and the work time was insufficient due to excessive work (M=3.47). This seems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overtime hours of the modelist. 4) As a result of the modelist retraining survey, the rate of experience with pattern training before work was high at 95.5%, and the period of pattern training was 2.38 years. After enrolling, the rate of re-education more than 4 times was 38.6% and no 36.4%, indicating that the retraining of the modelist is urgent. As for the problems of re-education by occupation,'level-level courses cannot be opened' (t=3.38, p<.01),'curriculum is not systematic' (t=2.39, p<.05),'necessary programs cannot be opened No.'(t=2.39, p<.05). The problem that the modelist and the pattern CAD company feel jointly shows that there is not much information from re-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y have many complaints about the problem that the re-education program does not lead to the next process after the iterative process is opened and the process ends. 5) The gender ratio of modelist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as 45.5% for men and 54.6% for women, with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of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38. Fashion majors have a high rate of majoring in fashion at 81.4%. The number of trainees with a modelist of 45.5% over 11 years was high. The path of entry was 29.5% for acquaintances and 22.7% for job placement in academy.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incidence path is not systematic and the incidence is made in a subjective manner. 6)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delist work and retraining demand survey, we would like to propose guidelines for training methods, curriculums, and lecture formats suitable for modeler's retraining. Train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methods, and blended learning. Most modelist have difficulties in taking time to receive training outside of working hours. It widened the choice for re-education. The curriculum consisted of flat pattern(deepening), draping, sewing technique, pattern modification, pattern CAD, 3D CAD, fashion material, and fashion design. The lecture format was divided into seminar, demonstration/practice, and theory/practice. Key words: modelist work status, retraining survey, CAD program usage status, retraining guidelines, Online education, offline education, blended learning 본 연구는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패션산업 현장에 종사하는 모델리스트의 역할을 규명하고, 디지털화 시대에 적합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모델리스트의 업무특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결과를 토대로 실무를 반영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반적인 연구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국내 의류업체에 종사하는 모델리스트 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모델리스트의 업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하는 모델리스트의 비율은 72.2%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에이전트 소속 모델리스트 21%는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 이상으로 초과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이전트 특성상 업무 물량의 몰림으로 인하여 근무시간 불균형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모델리스트의 1일 패턴 제작량은 38.6%의 비율로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델리스트의 주당 근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인다. 모델리스트의 주 업무 유형으로는 패턴 CAD 45.5%, 수작업패턴/패턴 CAD 38.6%의 비율로 주 업무에서 패턴 CAD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산업현장의 패턴 CAD 업무 비중이 커지고 있으므로,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모델리스트는 봉제 작업이 가능하여 패턴제작 시 패턴을 표현하는데 부정확 부분이 있을 때 가봉을 통하여 정확한 패턴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2) CAD 프로그램의 업무 활용도 결과, 패턴 CAD 프로그램을 업체에서 이용하고 있다는 비율이 93.2%로 대부분 패션업체에서는 패턴 CAD 프로그램을 많이 도입하여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턴 CAD 프로그램의 활용성으로는 패턴/그레이딩 48.8%로 나타났으며, 패턴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종사자의 이용 만족도 결과,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며, 패턴을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고, 청결하게 작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비율은 79.5%로 높게 나타났으며, 3D CAD 프로그램의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비용 및 인력문제와 업체에서의 업무활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업무별 3D CAD 프로그램 도입 여부 결과, 수작업 패턴/패턴 CAD 종사자 41.7%, 패턴 CAD 종사자 25%로 패턴 CAD를 다룰 수 있는 종사자의 도입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패턴 CAD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컴퓨터를 기본으로 하며, 패턴 CAD 파일과 3D CAD 프로그램이 호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3) 모델리스트의 업무상 어려운 점에서 패턴제작 기술의 어려운 점은 원단의 수축/늘어짐 착오의 어려움(M=3.57)과 소재의 어려움(M=3.3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델리스트는 패턴제작 시 소재의 특성을 반영하여 패턴제작을 하므로 패션 소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턴제작 시 어려운 아이템으로는 바지 29.7%, 재킷/점퍼 25.7%, 드레스 16.3% 순으로 나타났으며, 패턴제작 시 어려운 소재는 스트레치 소재 31.1%, 니트 소재 24.3%로 주로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패턴제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리스트의 업무상 문제점은 작업량의 몰림으로 업무에 차질이 생김(M=3.72), 과다한 업무로 인한 작업시간이 부족(M=3.47)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델리스트의 초과 근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보인다. 4) 모델리스트의 재교육 실태조사 결과, 업무 전 패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비율이 95.5%로 높게 나타났고, 패턴교육을 받은 기간에 대해서는 2.38년으로 나타났다. 입사 후 재교육 여부는 4회 이상 38.6%, 없다 36.4%로 없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모델리스트의 재교육이 시급한 상황인 것을 알 수 있다. 직종별 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수준별 과정 개설이 되지 않음.’(t=3.38, p<.01), ‘커리큘럼이 체계적이지 않음.’(t=2.39, p<.05), ‘필요한 프로그램 개설되지 않음.’(t=2.39,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모델리스트와 패턴 CAD사가 공동으로 느끼는 문제점은 재교육 기관의 정보가 많지 않고, 재교육 프로그램의 반복적 과정 개설과 과정 종료 후 다음 과정으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점에 대해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설문조사에 참여한 모델리스트의 성별 비율은 남자 45.5%, 여자 54.6%로 여자의 비율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연령은 38세로 나타났다. 패션 전공자는 81.4%로 패션을 전공한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모델리스트의 재직 연수는 11년 이상 45.5%의 업무 경력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입사 경로는 지인 소개 29.5%, 학원에서 취업알선 22.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입사 경로가 체계적이지 않고 주관적인 방식으로 입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6) 모델리스트의 업무 및 재교육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모델리스트의 재교육에 맞는 교육방법과 교육과정, 강의형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방법, 블렌디드 러닝으로 나뉘었고, 대부분 모델리스트는 업무시간외 따로 시간을 내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오프라인 교육방법이 꼭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외하고는 온라인이나 블렌디드 러닝 교육방법으로 재교육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혔다. 교육과정은 평면구성(심화), 입체구성, 봉제 테크닉, 패턴수정, 패턴 CAD, 3D CAD, 패션소재, 패션디자인으로 구성하였다. 강의형식은 세미나, 시연/실습, 이론/실습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모델리스트의 의견을 바탕으로 모델리스트 재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재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시도한 연구로 모델리스트의 재교육에 실무를 반영한 효과적인 반영과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되는 말: 모델리스트 업무실태, 재교육 실태조사, CAD 프로그램 이용현황, 재교육 가이드라인, 온라인교육, 오프라인 교육, 블렌디드 러닝

      • PID 제어를 이용한 유량측정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불확도에 관한 연구

        박성미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속노즐을 이용한 유량측정은 노즐에서 발생한 기준유량을 유량계에 주입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인 유량측정에는 문제가 없으나 특정 압력조건 하에서 측정해야 하는 유량장치나 작동압력이 높은 질량유량계(Mass Flow Controller:MFC) 측정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PID제어와 층류유량계를 이용하여 유량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 층류유량계는 유체흐름에 비례하는 압력차의 신호로부터 유량을 측정하는 장비로 차압유량계의 한 종류이다. 흐르는 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들어가는 양을 측정할 수도, 나오는 양을 측정할 수도 있어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유량계에 의한 압력 손실이 적고, 동등한 수준의 다른 유량계에 비해 측정 결과의 반복성과 및 재현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압력조건을 가할 수 때문에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자동화 시스템은 유량을 측정하는 위치에 따라 대기압 방출 조건, 전.후단 차등 압력조건, 전.후단 동등 압력조건의 3가지 조건으로 유량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실사용 환경을 반영한 측정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4개의 flow control valve와 valve 각각의 PID제어를 통해 목표유량을 정밀하게 조정하며, Labview를 이용한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유량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치와 압력에 따라 유량 측정이 가능해졌으며, 측정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켰다. 추후에 실제 해당유체를 사용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범위가 큰 층류유량계와 밸브를 연결하여 측정의 확장성도 기대할 수 있다. Flow measurement using a sonic nozzle is a method of measuring by injecting the reference flow rate generated from the nozzle into a flow meter. Although this is the general method for measuring flows, it has obvious limitations under specific pressure conditions or a mass flow controller (MFC) having a high operating pressure.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an automated flow measurement system was built using PID control and a laminar flow meter. The laminar flow meter used in the system construction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flow rate from the signal of the pressure difference proportional to the fluid flow, and is a kind of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Since it measures the amount flowing,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that goes in or the amount that comes out. In addition, the pressure drop caused by the flow meter is small,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result is excellent compared to other flow meters of the same level, and various pressure conditions can be applied, making it suitable for an automation systems. The automation system enables the flow rate measurement in three different ways:atmospheric pressure release condition, front and rear differential pressure condition, and front and rear equal pressure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device to be measur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measurement results reflecting the actual use environment. The target flow rate is precisely adjusted through the four flow control valves and PID control of each valve, and the automation software using Labview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measurement. By using the flow measurement autom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according to location and pressure,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measurement time.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by using the actual corresponding fluid, and to expand the measurement by connecting a laminar flow meter with a large range and a valve.

      • 아르누보와 정크아트의 조형적 특성을 혼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박성미 영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의 사회·문화는 4차 산업혁명이 범세계적인 화두가 되면서 창의성과 감성에 의한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다변화되고 급진적인 여성적 사회 전개 속의 미의 탐색 작업 및 창조 작업의 일환으로 아트메이크업 영역도 다양한 접근법을 통하여 새로운 지평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아르누보는 오늘날 여성적 사회의 시발점이라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반면, 정크아트는 독창성의 영역을 넓히며 열린 개념을 제시하였고 현대 미술에 혼용된 창작행위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다변화되고 급진적인 21세기의 여성적 사회 전개 속의 미적 추구를 위해 아트메이크업 영역에 다양한 접근법을 통하여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고 둘째, 앞의 선행 연구에서는 혼용한 아트메이크업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에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하고자 한다. 셋째, 현대사회의 환경오염의 정체성을 환원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폐품의 가치를 재해석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르누보와 정크아트 각각의 역사적 배경과 개념을 이해하고 아르누보의 상징적·추상적, 유기적, 선적·평면적, 기하학적·구성적 조형의 특성을 고찰하고 정크아트의 메르츠, 컴바인, 집합과 집적, 압축과 조립의 조형적 특성을 고찰하여 차이점을 이해하고 이질적·예술사적 특성을 도출하고 혼용하여 총 10작품을 제작하였다. 둘째, 아르누보 작가들의 작품에 일상생활에서 쉽게 버려지는 미니·나노·톡톡 블록, 액세서리, 망사원단, 상품케이스, 이어폰마개, 리모컨부품, 패트병, 서류봉투, 잡지, 철망, 호일, 리본, 폐타이어, 커피봉투를 활용한 정크아트를 혼용하여 현대사회의 환경오염에 대한 정체성을 환원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폐품의 가치를 재해석 될 수 있는 작품을 제안하였다. 셋째, 아르누보 작가 구스타프 클림트, 르네 랄리크, 아야 카토, 윌리엄 모리스, 조르주 푸케의 작품에 아르누보의 조형적 특성과 정크소재를 활용한 정크아트의 조형적 특성을 혼용하여 디자인한 후 모델의 인체를 활용한 환타지 메이크업 5점과 토르소 마네킹을 활용한 바디페인팅 5점을 제작하여 아트메이크업 영역에 적용하고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에 이후에도 인간이 가지는 특별한 잠재력에 의존한 창의성과 감성에 의한 전달 또는 수용에 상응하는 퓨전이나 하이브리드, 컨버전스 등의 사회·문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문화적·예술사적 혼용 작업을 아트메이크업 영역에도 개념적 사고에 의거한 작품 활동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quaternary industrial revolution emerging as a global topic, society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focusing on communication through creativity and emotion. As a way of exploring beauty and creativity in the application of a diversified and rapidly changing feminine society, art makeup must also propose new horizons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es. While art nouveau can assign the meaning of a‘starting point of feminine society’in these days, Junk art proposes open concepts by expanding its unique field as the starting point for creative behavior mixing modern art. To this end, this paper identified the need to propose new horizons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es in the art makeup field to pursue aesthetics in the application of a diversified and rapidly changing feminin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 next task is to attempt new designs as there is no research on art makeup that blends art nouveau and Junk art.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rt makeup design that reanalyzes the value of unwanted objects as a way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modern society.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paper are presented below. This paper researched the historic background and concept of art nouveau and Junk art and examined the symbolic, abstract, systematic, linear, two-dimensional, geometric, structural and figurative features of art nouveau. Moreover,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igurative features of Merz, combine, set and accumulation, compression and the assembly of Junk art, understood the differences, and identified heterogeneous and art history features. Next, this paper proposed an approach to reanalyze the value of unwanted objects through an endeavor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modern society by mixing Junk art using mini, nano and toktok blocks, accessories, pieces of mesh fabric, case packing products, earphone tips, parts of scrap remote controllers, PET bottles, envelopes, old magazines, wire mesh, foil, ribbon, waste tires and coffee bags, which are easily abandoned in daily life, with the works of art nouveau artists. This paper created five fantasy makeup designs using a human model and five body painting designs using torso dumm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t makeup by mixing the figurative features of Junk art using waste materials and of art nouveau with the works by art nouveau artists Gustav Klimt, Rene Lalique, Aya Kato, William Morris and Georges Fouquet. Art makeup must propose work based on conceptual thinking by mixing multi-cultural and artistic values in order to cope with society and culture including fusion, hybrid and convergence corresponding to delivery or acceptance through creativity and emotion depending on the special potential of human beings even after the quaternary industrial revolution.

      • 국어 불규칙 활용의 종합적 논의 : 학교문법의 관점에서

        박성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규범 문법과 관련지어 불규칙 활용의 새로운 기술 인식을 목적으로 쓰여 졌다. ‘불규칙 활용의 기술적 연구’가 문법 교육 기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하는 문제와, 문법 교육에서의 불규칙 활용 기술 양상을 자세히 검토하여 불규칙 활용의 새로운 기술 태도와 기술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2장에서는 논의의 중심이 될 불규칙 활용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불규칙 활용에 관한 연구’는 불규칙 활용 현상을 바라보는 목적과 각각 받아들인 서구 문법 모형의 차이에 따라 전통문법기와 기술.구조문법기 및 생성음운론기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었다. ‘전통문법기’의 불규칙 활용에 관한 기술은 규범 문법의 차원에서 정서법 확립의 일환으로 ‘불규칙 활용’이 품사론의 차원에서 형태론적으로 연구되었고, ‘기술.구조문법기’의 기술은 설명에 있어서는 대부분 전통문법기의 기술 방법을 그대로 따랐지만, 이 시기부터 음운론과 형태론을 분리시켜 설명하려는 시도 등 불규칙 활용이 음운론의 측면에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생성음운론기’의 불규칙 활용에 관한 기술은 불규칙 활용을 형태음운론의 차원에서 음운론적 기제를 바탕으로 규칙적인 음운현상으로 설명하는데 주력을 두고 발전하였다. 3장에서는 규범적인 문법 교육에서 불규칙 활용이 어떻게 기술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불규칙 활용에 관한 문법 교육은 학교 문법, 문법 이론서, 어문 규범을 통해 다루어진다. 그러나 이런 문법서에서 다루는 불규칙 활용의 개념과 유형 설정이 서로 달라서 논란이 되고 있다고 밝히며, 불규칙 활용을 다루는 문법 교육을 학교 문법서, 문법 이론서, 어문 규범에서의 기술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불규칙 활용에 관한 이들의 연구는 불규칙 활용의 개념 설명에서는 거의 일치를 보이나 유형 설정에서는 차이를 드러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문법 교육에서의 불규칙 활용에 관한 기술 양상을 바탕으로 불규칙 활용의 새로운 기술 방향과 기술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문법 교육에서 불규칙 활용 기술에 관한 불일치는 ‘불규칙 활용’의 음운규칙을 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나온 것이었다. 불규칙 활용의 설정이 ‘학교 문법’은 ‘음운론(형태음운)’을 기준으로 한 보편적인 음운 규칙 여부인 반면, ‘한글맞춤법’은 ‘형태론’을 기준으로 한 형태 변화의 유무에 있는 것이었다. 불규칙 활용의 개념을 ‘용언의 활용에서 일반적인 음운규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이라 할 때, 음운규칙 설정의 관점 차이는 기술에서도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규범 문법서 안에서는 기술의 통일성을, ‘학교 문법’과 ‘어문 규범’의 기술 차이는 각각 인정해야 하는 방향으로 불규칙 활용이 기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두 규범의 불일치는 불규칙 활용 기술의 목적과 편찬 태도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기술 관점 자체가 서로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불규칙 활용 기술에서 ‘규범 문법’과 ‘한글맞춤법’은 편찬목적에서부터 음운변동의 적용 기준이 다르므로 기술 방향 역시 각각을 별개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학교 문법과 문법 이론서는 서로 일관성 있게 기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문법 이론서의 국어의 올바른 문법적 설명과 기술이라는 편찬목적이 학교 문법과 동일하기에 이들은 ‘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일관성 있게 통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근거를 발전된 문법 이론 수용의 결과와 기술 방법의 편의성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불규칙 활용 기술 방향을 바탕으로 불규칙 활용의 개념 규정을 포함하여 합리적인 기술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불규칙 활용의 기술은 개념에서부터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학자들마다 유형 설정과 기술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기에, 불규칙 활용의 개념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1) 불규칙 활용의 판단 기준 ① 음운현상 설명의 규칙성 여부 ② 대응하는 규칙 활용의 존재 여부 ③ 공시적 기준 적용 여부 ④ 단일 기본형 설정 여부 위 4가지의 명확한 기준으로 바탕으로 불규칙 활용의 개념이 정립되어 기술 방법의 일관성을 보일 수 있었다. 그리고 ‘불규칙 활용’ 현상은 용언의 활용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이 아니라 용언의 어간, 어미의 결합과정에서 음운의 교체가 불규칙하다는 것이다. 즉, 규칙 용언과 동일한 어미가 결합했으나 불규칙한 음운 교체를 보이는 것을 말함으로 ‘불규칙 활용’이라는 용어는 “활용상의 비자동적 음운교체”가 바른 용어라 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made for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new perspective of irregular conjugation in Korean, especially related to prescriptive grammar. Specifically speaking, it aims at presenting the real aspect of its description in grammatical education and its reflection on grammatical education. The general outlook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the following second chapter, the present author has took the survey on existing studies dealing to the concept and general types of irregular conjugation as the main topic. It has been proved that its study c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andpoints on the irregular conjugation and their difference of the framework of western grammar under which it was analysed. Chronologically, it could be called that of traditional grammar, descriptive-structural grammar, and generative phonology respectively. The description in the traditional grammar has been morphologically studied within prescriptive grammar, especially on the parts of speech with a view to establishing the orthography. The the descriptive-structural grammar has begun its phonological study, though clinging to the previous traditional line of explanation. Its description in generative phonology has directed its main efforts to analysing its phonological motivations for its morpho-phonological solution by regular phonological rules.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has investigated its description in the prescriptive grammar education. The grammar education on irregular conjugation has been performed in some areas of school grammar, theoretical books on grammar, and language norms. Unfortunately, the concepts and typological classifications of irregular conjugations dealt in these texts are so inconsistent that they have caused lots of disputes so far. In this context, the author systematically has tried to analyse their descriptions on irregular conjugations. As a result of it, they almost have agreed on the explanation of its concept, but they have revealed some differences as to the establishment of its types. In the fourth and main chapter, the author, based on aspects of their descriptions in the previous chapter, has devised the new line and way of description on the irregular conjugation. In sum, the discrepancy of its descriptions in grammatical education has originated from that of their standpoints on irregular conjugations. The criterion of whether it is irregular, is its regularity of the rules governing the conjugations in question on the level of (morpho-)phonological component for the school grammar, while that is alternation or non-alternation on the morphological component for of Korean orthography. Admitting that the irregular conjugation is the verbal conjugation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general phonological rules, the difference revealed in the above discussion could be expected as it is from that of the standpoint on the irregular conjugation. Under these lines of reasoning the author has argued that what is utmost important is its unification of description in the prescriptive grammar texts, while their discrepancy of its descriptions is to be kept respectively in school grammar and language norms. For it is because the inconsistence of the two kinds of 'grammars' has naturally derived from their different standpoints on iregular conjugation. However, it has simultaneously been argued that school grammar and theoretical texts on grammar should be in consistent. Furthermore, the former should take the initiative of their unification on account of the full introduction of western grammar and the easiness of description. Finally, but the most importantly, the author has tried to present some criteria whether the conjugation in question is irregular. ① regularity/ irregularity of explanation on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question ② existence/ non-existence of regular conjugation corresponding to irregular one ③ synchronicity ④ single underlying form With the above four clear criteria the author has succeeded in the consistence of its description. Concludingly, the irregular conjugation doesn't point the irregularity of verbal conjugation, but it rather means that of the phonological alternation in combining of its stem and ending. Therefore, it is more correct usage of linguistic term to call it as non-automatic phonological alternation in conjugation, rather than somewhat vaguely defined one, ‘irregular conjugation’.

      • 일부 초등학생의 학년별,성별,비만도에 따른 간식섭취 실태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박성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비만교육과 상담의 내용은 이론적인 면과 신체 변화의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서 아동들이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관계 등에서 느끼는 삶의 질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소홀히 한 비만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비만교육과 상담을 위해서 식이섭취 상태와 식습관 파악과 함께 심리적, 정서적 요인도 같이 살펴보고자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하고 있는 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간식섭취 실태 및 삶의 질을 살펴보았다. 대상자는 총 853명으로 남자 420명, 여자 433명이었고, 신체계측자료는 학생건강기록부의 신장과 체중을 사용하여 한국소아발육성장도표를 활용하였다. 간식섭취실태조사는 간식종류의 선호도, 간식섭취 분량, 횟수, 식행동 및 태도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아동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버전의 삶의 질 척도인 KIDSCREE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학년이 낮은 저학년일수록 간식섭취 횟수와 섭취 시간이 많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간식의 섭취양에서도 피자와 치킨은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학년은 초콜렛과 사탕을 제외한 대부분의 모든 간식을 고학년보다 매우 좋아하는 결과를 얻었다. 학년별 KIDSCREEN 분석에서는 자기지각 부분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자신의 신체나 외모에 긍정적인 생각을 더 많이 갖고 있었고, 자신을 위한 시간활용은 고학년이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전적인 재정적 지원은 고학년이 많이 받고 있었다. 고학년이 친구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서로 친밀도가 높은 것으로 보였고, 학교환경이나 학교 생활에 대한 즐거움은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연구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간식을 자주 먹었고, 섭취량에 있어서도 남학생이 빵을 제외한 쿠키, 떡볶이, 포크커틀렛, 피자, 치킨을 여학생보다 많이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식 선호도에서도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대부분의 간식을 좋아했으며 특히 도넛, 탄산음료, 튀김류, 어묵, 닭꼬치, 라면, 햄버거, 피자, 치킨을 더욱 많이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KIDSCREEN 조사에서는 남학생이 자기의 신체나 외모에 대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고, 재정적 지원 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원을 많이 받았고,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그리고 비만도에 따른 연구에서는 비만아동이 정상아동보다 간식을 자주 섭취하였다. 다른 간식종류에 비해서 쿠키와 분식류는 정상아동들이 비만아동들보다 높게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만도에 따라 본 KIDSCREEN 연구에서는 대부분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다만 친구들에게 거부감을 받아본 경험이 비만아동보다 정상아동이 적었다는 결과는, 곧 비만아동은 왕따로 인한 괴롭힘을 정상아동보다는 많이 당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해 비만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해서 식행동과 간식섭취 그리고 삶의 질 척도 부분에서 큰 유의적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은 맞지 않았다. 오히려 학년별과 성별에서 더 큰 유의적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초등학생의 비만은 성장기의 한 과정으로 간주 할 수 있어서 비만으로 인해 발생되고 얻어지는 부정적 결과보다는 성장으로 인해 요구되는 필요량이 섭취형태에 더 크게 좌우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비만아동들을 특별하게 구분지어 교육 및 지도하는 것 보다는 정상아동들 사이에서 함께 지도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는 것이 앞으로는 중요한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서 : 간식 선호도, 간식 섭취횟수, 간식 1회섭취량, KIDSCREEN, BMI P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