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신뢰, 저계산량의 정지위성 탑재용 위치유지 시스템

        박봉규,최성봉,탁민제,Park, Bong-Gyu,Choe, Seong-Bong,Tak, Min-Je 통신위성우주산업연구회 2003 Joint Conference on Satellite Communications Vol.2003 No.-

        This paper proposes a new autonomous stationkeeping system suitable for the geostationary satellites operation and presents the results of the computer simulations conducted to verify the proposed system. The proposed onboard stationkeeping system receives pseudo-range signal from the ground equipments located at two different positions with long baseline, determines the orbit error in real-time and generates orbit control commands. To minimize the complexity of the onboard stationkeeping logic and to achieve the better reliability, a simple orbit controller has been designed which generates a series of control signal making the orbit roughly fol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data. The reference data are assumed to be generated through ground based computer simulation and onboarded with time tag.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gas been verifi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s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정지위성의 탑재용 자동위치유지 시스템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탑재용 자동위치유지 알고리즘은 지상의 주 지점에 위치한 장비로부터 Pseudo-Range 신호를 수신하여 실시간 궤도결정을 수행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궤도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탑재용 위치유지 알고리즘의 로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상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된 기준궤도의 Range 데이터를 시간 태그와 함께 탑재하여 이를 추종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궤도제어 알고리즘은 기준궤도의 생성에 사용된 기준 $\DeltaV$와 칼만필터 추정변수의 피드백 제어명령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탑재 알고리즘의 로직을 최소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객체지향방식의 궤도해석 프로그램 구성

        박봉규,최재동,Park, Bong-Gyu,Choe, Jae-Dong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위성의 궤도를 해석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STK(Satellite Tool Kit)나 Matlab Tool을 많이 사용한다. 이 도구들은 훌륭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상당히 편리하다. 하지만 STK의 경우는 다양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Flexibility가 다소 제한적이고 상당히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며, Matlab Tool의 경우는 계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서 장기간에 대한 궤도해석이나 통계적인 분석에는 활용이 제한되는 측면이 있다. 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1993년부터 FORTRAN 언어로 구성된 Astro Library라는 궤도계산용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그 후 정밀도를 개선하고 성능을 분석하는 작업들을 수행해 왔다. 또한 FORTRAN 언어가 가지는 비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상 불편한 점들이 발견되어 Astro Library를 C++언어로 변환하여 객체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즉 시간, 태양, 지구, 달, 위성, 궤도 및 이들을 정의하는 속성을 각각의 객체로 정의하여 직관적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무궁화위성, 천리안위성의 해석에 적용되어 편리성 및 정밀도가 입증되었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용경험을 통하여 특히 복수위성에 대한 궤도 해석에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궤도해석 프로그램인 Astro Library의 객체 구조에 대하여 정리하였고 몇 개의 적용 사례를 소개하였다.

      • 로즈노 외교정책결정이론에 의한 한국정부의 대북정책 비교연구

        박봉규(교수) ( Bong Gyu Park(professor) ) 공군사관학교 2015 空士論文集 Vol.66 No.1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의 도발 등 대남정책에 의해 좌우되는 수동적, 무원칙적 성격을 가졌다. 본고는 역대 대북정책을 분석하여 쳬게적이고 일관된 기준과 척도를 모색하고자 한다. 로즈노의 외교정책 결정이론은 역대 한국정부의 대북정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북정책에 관련된 주요 사항들을 효과적으로 범주화하고 유형에 따른 비교 검토로서 대북정책의 기준과 방향에 대한 단서를 추론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역할의 강화와 사회적 합의 준수,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 증진이 체계적 변인축소와 더불어 제기되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의한 대북정책은 현 상황에서 ‘신뢰외교’를통한 유엔에서의 역할 강화와 더불어 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 South Korea``s policy toward the North has largely depended on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South. This article examined South Korea``s policy standards by analyzing her past successive policies toward the North. Rosenau``s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theory can be helpful in analyzing the main elements of South Korea``s policy toward the North; in categorizing the patterns by way of comparison; and in inferring the clues about the criteria and direction of South Korea``s policy toward the North. In conclusion, strengthening of role, complying with social consensus, and enhancing government``s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were proposed with the reducing of system variable. Given the current circumstances, South Korea``s policy toward the North should focus on building trust with the North as well as strengthening her role in UN via trustpolik.

      • KCI등재
      • KCI등재
      • 동북아 평화체제의 모색: 가능성과 한계

        박봉규 ( Bong Gyu Park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서석사회과학논총 Vol.1 No.2

        본고의 목적은 동북아 평화체제의 가능성을 기존 냉전적·연역적 접근에서 탈피하여 탈냉전적·귀납적 방식으로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실용적이고 실현가능한 논의가 될 수 있도록 동북아의 현안으로부터 동북아 평화체제의 가능성을 추론하는 것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 사태에서 중국의 역할처럼 외환 위기같은 현안에의 공동 대응 및 협력을 통해서 협력과 공조 시스템을 학습하고 가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원의 공동 개발 및 협력도 중요하다. 에너지 가격의 급등과 자원 경쟁의 부작용 등은 협력의 필요성을 체험하게 만들었다. 학습을 통해 형성된 협력은 실질적인 제도화의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금융경제적 측면과 자원개발을 둘러싼 협력은 이 지역 경제구조를 역할분담식 협력 체제로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포스트-김정일 체제 도래 같은 현안에 대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의 과정들이 결국 동북아 평화체제 형성의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a new approach for Northeast Asian peace system. Instead of a deductive method under the Cold War perspective, it is more useful to use an inductive method which represents the post-Cold War recognition. It intends to infer the possibility of Northeast Asian peace system from the recent issues of Northeast Asia. Sub-prime mortgage crisis and the competition in natural resources exploitation are good cases to explore ways to establish Northeast Asian peace system. If we can use foreign exchange reserves of this area to solve future foreign exchange problems, we will learn the advantage of cooperation. The cooperation in resource exploitation will be an another experience, too. If we can use these experiences to confront the advent of post-Kim Jong Il regime, i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the Northeast Asian peac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한미동맹의 변화 가능성 -쟁점과 인식-

        박봉규 ( Bong-gyu Park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8 통일연구 Vol.22 No.2

        한미동맹은 동맹 동인인 북한 위협의 존재에 의하여 냉전 시기와 탈냉전 시기를 관통하여 엄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남북관계, 북미 관계 개선 조짐은 동맹의 동인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요구한다.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등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가능성이 한미동맹의 조정을 불가피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한미동맹과 그 바로미터로서 주한미군을 권력 중심의 현실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볼 경우 북한의 위협과 동맹의 존립이 등치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한반도 평화가 남북관계 개선이나 북미관계 개선으로 담보될 수는 없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은 여전히 전통적 4강의 대척점으로 세력 각축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확고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실제로 한미동맹은 대북억지의 기능만을 수행한 것이 아니다. 한반도의 현상유지 즉 동북아의 평화유지 역할을 지속해 왔다. 구성주의 시각에서 볼 때 이러한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역할 수행은 관행의 일상화이다. 관행의 일상화는 정체성의 변화를 추동할 수 있다. 한미동맹의 경우 이미 현실에서 이러한 관행이 어느 정도 지속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정체성의 정립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 한미동맹의 새로운 정체성 정립과 정립된 정체성에 의한 ‘적합성의 논리’에 의한 동맹 관행의 지속은 한미동맹을 북대서양조약기구처럼 동북아 지역의 평화유지 기제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농후하다. The Korea-U.S. alliance is at a turning point of change. The Korea-U.S. alliance, which existed through the Cold War and the post-Cold War, brings its motivation from North Korea’s threat and expansionary reproduction. Recent signs of improv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U.S.-North Korea relations call for a fundamental review of drivers in alliance.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Korean War and a peace treaty, is making adjustments necessary in the Korea-U.S. alliance. However, centering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east Asia region which carries geopolitical meaning as power arena is still the antipode for the four traditional world powers. Therefore, it is unlikely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secured by simply establishing a peace regime. When Korea-U.S. alliance and its barometer are viewed from a power-oriented perspective, the existence of North Korea’s threats and alliances is likely to be equivalent. However, looking at the actual progress of the Korea-U.S. alliance, the alliance has served more roles in keeping the peace in Northeast Asia and maintaining the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simply suppressing North Korea. From a constructivist’s perspective, this is a common practice that can trigger change in identity. Today, the establishment of a new identity for the Korea-U.S. alliance is already in progress.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Korea-U.S. alliance and its alliance set by ‘logic of appropriateness’ is highly likely to be institutionalized as a peace-keeping mechanism in Northeast Asia like the NA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