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에 따른 매몰지 적합성 평가

        진이,미송,임정탁,표경수,영진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4

        Avian influenza, which is consistently occurring in Korea, caused the fastest propagation and huge damaging rate in history in November 2016. In this connection, some of problems are raised about suitability of the disposal sites and slow-prior action. This study conducted two analysis which status analysis with occurrence farm location information and evaluation of suitability with existing disposal site based on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As a result, prevention action criteria by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were not followed. Result of zonal statistics analysis about disposal sites, two of the five sites were not suitable for Avian influenza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Throug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and the legal system in the future.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2016년 11월에 역사상 가장 빠른 전파속도와 큰 피해를 일으켰다. 이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 중 매몰지의 적합성 여부와 신속하지 못한 사전조치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농가 위치정보를 이용한 현황분석과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SOP)내 매몰지 선정방안에 의거하여 기존에 구축된 매몰지의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에서 규정하는 방역조치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기존 매몰지에 대한 격자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소의 매몰지 중 2개소의 매몰지가 조류인플루엔자 규정에 적합하지 못한 지역이었다. 이를 통해 향후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의 개선과 법제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에 따른 매몰지 적합성 평가

        진이(Park Jinyi),미송(Kim Misong),임정탁(Lim JungTak),표경수(Pyo Kyungsoo),영진(Park Youngji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지 Vol.18 No.4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2016년 11월에 역사상 가장 빠른 전파속도와 큰 피해를 일으켰다. 이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 중 매몰지의 적합성 여부와 신속하지 못한 사전조치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농가 위치정보를 이용한 현황분석과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SOP)내 매몰지 선정방안에 의거하여 기존에 구축된 매몰지의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에서 규정하는 방역조치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기존 매몰지에 대한 격자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소의 매몰지 중 2개소의 매몰지가 조류인플루엔자 규정에 적합하지 못한 지역이었다. 이를 통해 향후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의 개선과 법제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vian influenza, which is consistently occurring in Korea, caused the fastest propagation and huge damaging rate in history in November 2016. In this connection, some of problems are raised about suitability of the disposal sites and slow-prior action. This study conducted two analysis which status analysis with occurrence farm location information and evaluation of suitability with existing disposal site based on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As a result, prevention action criteria by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were not followed. Result of zonal statistics analysis about disposal sites, two of the five sites were not suitable for Avian influenza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Throug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nding Operating Procedure (SOP) and the legal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울산광역시 법규위반별 교통사고 공간적 분포 특성 분석

        미송(편집자),진이(Park, Jin Yi),구신회(Goo, Sin Hoi),표경수(Pyo, Kyung S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5 No.3

        경제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가구당 자동차등록대수의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점점 증가되어왔다.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건수는 매년 줄어들고 있지만 울산광역시의 경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울산광역시는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자동차보유대수가 높은 도시이자 유출입 교통량과 통행량이 많은 공업도시임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위험성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교통사고 법규위반별 발생지점 분포특성을 도출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도시 공간구조와 교통사고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법규위반 중 신호위반의 밀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곽지역보다는 중심시가지에 사고가 군집된 패턴을 보였다. 또한 토지용도 중에서는 상업지역(달동, 삼산동, 신정동)에 교통사고가 밀집되어 나타났다. 연결도 및 국부통합도가 높은 달동, 삼산동, 신정동은 실제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높았으며, 상관관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도시의 공간구조가 교통사고 분포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has also increased as the number of car registrations increases due to improvements in economic development and income levels. Traffic accident of Korea is getting lower, but The case of Ulsan-city is showing a growing trend every year. Ulsan is the second city with a high number of car ownerships in korea and an industrial city with high traffic volume, so there is a risk of traffic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by violation of law in Ulsan cit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s by correlation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As a result, among violations of the law, the density of signal violation was the highest and accident patterns were more clustered in urban area than outer area. Also traffic accidents was clustered in the commercial area(Dal-dong, Samsan-dong and Sinjeong-dong) among the landuse. Also these areas were a high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about connectivity and local integration. It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traffic accident and spatial construction of city have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 공간정보기반 경주 지진 피해지역 현황분석

        조명흠,미송,진이,임정탁,영진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논문에서는 지난 9월 12일에 한반도 관측 이래 최대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경주 피해현황 대장(엑셀)을 지자체로부터 제공받아 피해현황에 대해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지진피해 주소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오코딩을 수행하였으며 약 5,906건(95.6%)에 대한 속성정보를 공간정보화 하였다. 지질도 및 단층정보로 구축한 공간DB를 중첩 분석하여, 시각화된 지진피해 현황 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진 피해지역의 특징 및 현황 분석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지진피해 데이터 및 공간분석을 기반으로 지진 발생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 예측하는 모델링 및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 효과적 재난상황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드론긴급운영팀’ 활용 재난상황 대응 (태풍 ‘솔릭’ 을 중심으로)

        조시범,오승환,미송,이소희,김동석,진이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최근 드론산업의 발전과 활용범위 확대로 민간에서 드론을 보유·운용하는 사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드론은 현장접근이 어려운 재난현장에서 효율적인 상황관리 활용에 강점이 있으나, 정부 중심의 재난관리 드론 활용에는 운용자원에 대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관리 지원을 위해 민관협력 기반의 재난대응 드론긴급운영팀을 구축하고, 태풍 솔릭에 드론긴급운영팀을 불시 가동하여 정부와 민간이 협력한 드론기반의 재난대응체계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건축공사 주요 재해 위험요소 도출

        안성훈,류호원,박미송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1 No.1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have various risk factors, so accidents is easily occurred in construction field.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find methods for reducing such accidents.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been focused to engineering factors, such as working methods and safety guards and equip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key accident risk factor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For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accident risk factors, which include engineering, education, and enforcement factors,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these factors using an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Identifying the key accident risk factors will help to reduce accident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건축공사는 매우 다양한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재해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건축공사에서 재생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재해 발생원인 중 작업방법이나 시설물과 같이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재해 방지대책에 관해서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에서 기술적, 교육적, 규제적 요인을 모두 포함한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해서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주요 재해 위험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주요 재해 위험요소가 제시되면 사전에 위험요소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재해발생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