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문학이 러시아 아동문학에 끼친 영향—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황금 열쇠, 또는 부라티노의 모험』을 중심으로

        박미령 한국비교문학회 2012 比較文學 Vol.0 No.56

        The translated literature has affected the Russian literature in various ways and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its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Soviet period, its foreign literary adaptation and modification occurred frequently. At first, th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was not settled. To solve this problem, public discussions took place that almost resembled a war zone. In this process, two marked movements arose. One is the movement that defends the Soviet ideology and excludes the remnants of the past, and the other the movement to provide the children with freer imagination and enjoyment. The latter was in fact made possible by the enforcement of NEF which attempted the economic recovery after the Soviet revolution. Alexei Tolstoy's "The Golden Key, or the Adventures of Burattino" is one of his works that were in the transitional process where the Soviet arranged the guidelines for the children’s literature. Tolstoy announced this piece in 1936 that was written with the original, “The Adventures of Pinocchio” by Carlo Collodi. The conception of this work was done in Berlin when Tolstoy was translating Collodi’s "The Adventures of Pinocchio." In 1922-23, he translated Collodi’s works with the famous female writer of symbolism, Nina Petrovskaya . The translated version was released in Berlin in 1924 and was quite a bit shortened and russianized compared to its original. It reflected Tolstoy’s intention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his work, "The Golden Key, or the Adventures of Burattino." Although he based his works on Collodi’s, he created his creative version of writings tha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Collodi’s. This book has the inter-textual relations with various Russian literatrure such as works by A. Blok and the Russian ckazka. These are all woven into Tolstoy’s book "The Golden Key, or the Adventures of Buratino" and have corresponded to the needs of the Russian readers and dominated their childhood. As for the characters and content till the turtle, Tortila, gave a golden key to Buratino, it follows Collodi’s Pinocchio story very closely. However, while Collodi presented Pinocchio’s identity search and the social initiation for a child to become a member of a society in his work, Tolstoy’s story shows children’s ways to collaborate with others to find their ideal world and make that dream come true. Thus, the main theme of this book is not the growth of one character, Buratino, but this cooperation of frien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make the ideal works possible. The Soviet had constantly make an effort to implant the idea of collective proletarian utopia into children’s literature, and this book by Tolstoy accomplished that.

      • KCI등재

        아동문학의 다성성과 카오스모스

        박미령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4

        아동문학은 성인이 만들어놓은 지배이데올로기, 질서, 즉 코스모스를 지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그 안에는 코스모스에 반하고 저항하며 위협하는 카오스가 존재한다. 카오스는 환상을 기제로 코스모스를 위협하게 된다. 이것은 독사와 파라독사와의 관계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아동문학에는 성인이 부여하고 억압하는 ‘독사(Doxa)’가 존재한다. 그리스 철학의 핵심어의 하나인 ‘독사’는 현재 ‘보편적 지식, 공유된 의견, 합리적인 사람들의 다수에 의해, 혹은 특정한 사회적 집단에 의해 진리로 간주된 것’을 의미한다. 독사는 그 시대의 지배담론을 형성하고 권력을 행사하며 자신 이외의 것들을 배제한다. 아동문학에서 성인이 만들어낸 독사가 지배하지만, 하위텍스트에서는 독사의 저항인 ‘파라독사(Paradoxa)" 가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파라독사는 환상을 통해 나타난다. 환상은 그 안에 의미와 무의미의 놀이,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얽힘(카오스모스)을 만들어 내며 성인의 관념을 뒤흔든다. 이 과정에서 아동문학의 등장인물들은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게 된다. 작가는 등장인물의 사고에 개입하고 조정하지 않는다. 그들이 개별 목소리를 존중하고 자신 역시 그 목소리들 중 하나로 남는다. 이런 다성성은 캐릭터의 성격을 더욱 뚜렷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심리를 충분히 읽을 수 있게 한다. 60년대 러시아 아동문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가로 우스뻰스끼를 빼놓을 수 가 없다. 그가 아동문학을 시작하던 시기에 나온 『악어 게나와 그의 친구들』은 그에게 명성을 가져다주었다. 이 작품은 러시아 아동문학 가운데에서도 끊임없이 시대마다 또는 사회적 상황마다 처하게 되는 ‘분기점’을 지나 재생산되는 것을 멈추지 않고 현재까지 변이형을 낳는다. 이 작품은 카오스모스 시학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카오스모스 시학이란 현대시학이 추구하는 다의성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 현대 과학이 다루고 있는 우연성, 불확정성, 개연성, 애매모호함, 다가치성 등을 예술에 접목시켜 시학적 지평을 학제간의 영역으로 넓혀보고자 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 희곡, 상품성, 국가대표 아이콘, 대중문화와의 접목 등을 시도하면서 원소스멀티유즈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The purpose of children"s literature was considered for the dominant ideology and cosmos of adult. Fantasy But there is a mechanism of chaos which resists and threatens a cosmos. This mechanism is revealed in relationship between doxa and paradox. Doxa is the conventional wisdom view and exists as an assignment and restrain of adult in children"s literature. Doxa is a Greek word meaning common belief or popular opinion, from which are derived the modern terms of orthodoxy and heterodoxy. Used by the Greek rhetoricians as a tool for the formation of argument by using common opinions, the doxa was often manipulated by sophists to persuade the people, leading to Plato"s condemnation of Athenian democracy. It is interesting that doxa created by adults is dominated in children"s literature, but paradoxa is constantly produced in the subtext of children’s literature. Fantasy transforms the idea of adults by creating the game of sense and nonsense, confusion of chaos and cosmos(chaosmos).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s of children’s literature can have their own voices. The author let each character speak its own voice and refrains the interference with the thought of each character. He respects their own voice and his voice reamains as one of many voices. Such a polyphony help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personal psychology of each character as well as clarify the nature of each character very clearly. One of the famous writer in Russia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is E. Uspensky. He published “Crocodile Gena and his friends” when he start writing children’s literature. It has brought him a lot of fame and has been constantly reproduced until now. This work is a prime example embodying chaosmos poetics. Chaosmos poetics is a methodology combining arts with the contingency, uncertainty, probability, ambiguity in a modern science and expanding horizons of poetics to interdisciplinary areas fo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ambiguity of contemporary poetics. Hence this work can be a model for one-source multi-use in the integration of animation, drama, commercial purpose, national icon, and pop culture.

      • KCI등재

        팍스의 『승자/패자』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섹슈얼리티

        박미령 신영어영문학회 2014 신영어영문학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uma and sexuality in one of two brothers, Booth, in Suzan-Lori Parks’s Topdog/Underdog. The paper focuses on Booth's traumatic experiences and illuminates his struggle with the Oedipus complex within his past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It also describes Booth’s fetishism in relation to his inheritances - $500 in a nylon stocking given to him by his mother before she abruptly abandoned her family. Since witnessing a scene of his mother’s extramarital affair with her “Thursday man,” her boyfriend, Booth was unable to have normal sexual relations with women. Therefore, he was mostly living in a fantasy world. Thus two brothers in Topdog/Underdog depict lives of failure as underdogs. Because Booth killed his brother, he was a murderer and he did not overcome his trauma, but rather created a much deeper traumatic depression in himself. In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paper examines the sexuality of unconscious through Booth’s trauma.

      • KCI등재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으로 본 똘스또이의 『안나 까레니나 (Анна Каренина)』

        박미령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Ecofeminism is a branch of ecology insisting the transition of paradigm from the anthropocentrism to the biocentrism, from the western way of thinking to the eastern way of thinking, and from the dualism to the monism. Also it advocates the vegetarianism, the asceticism, and the spiritualism. This is very similar to the thought of Tolstoy. Tolstoy advocated the brotherhood as ecofeminists did the sisterhood. When he was writing Anna Karenina, he devoted himself to study Buddhism, Laotzu and Changtzu's philosophy, and Confucius's philosophy. The influence of the oriental philosophy and religion on Tolstoy is found from his novels including Anna Karenina and the thesis like What is my religion. Tolstoy tried to solve the puzzle of life with the open mind as the ecofeminists do. From the ecofeminits's point of view he is an ideal writer for the happiness of women and human, and the best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ature. He considered the women's role for the happiness of human as very important. What Tolstoy and ecofeminists have in common is to do their best for the communion between the main and the marginal with the kind consideration for the suppressed. 페미니스트들은 에코페미니스트들의 모성과 여성성의 부활에 대해 비난을 하지만 에코페미니즘이 페미니즘이 가진 남녀성의 대결과 투쟁이라는 극단적 방법에서 벗어나 타자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해결하려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의 대립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분열보다는 통합, 불균형보다는 균형과 조화를 이야기한다. 또한 여성과 남성이라는 차원을 넘어 인간보편의 조화와 통일성을 꾀한다. 그러므로 민족, 인종, 계급, 자연과 인간, 인간과 비인간적 생물체 등과의 조화와 화합을 지향하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은 기존의 페미니즘보다는 여성적 원리를 중심으로 더 포괄적인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에코페미니즘은 인간중심주의에서 생명중심주의로, 서양 사상에서 동양사상으로, 이원론에서 일원론으로의 패러다임의 이동과 채식주의, 금욕주의, 정신주의를 주장하는 ‘녹색윤리’의 생태학 이론이다. 이는 똘스또이가 주장하고 그 스스로 실천해왔던 사상들과 다르지 않다. 똘스또이는 『안나 까레니나』를 쓸 시기부터 불교와 노자와 장자, 공자의 사상에 몰입했다. 똘스또이가 처음 동양사상과 접한 사실이 1844년에 쓴 자신의 논문 『나의 종교는 무엇인가?(В чём моя вера)』에 나타난다. 이후 그는 동양철학에서 자신의 고민에 대한 해답을 구하려고 했으며, 동양철학에 대한 영향은 그의 작품 곳곳에 드러난다. 똘스또이가 자신의 실존적인 근원에 대한 물음에 해답을 찾을 수 있다면 그 어떤 종교의 가르침에도 귀를 기울였다는 점에서 에코페미니즘과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게 한다. 에코페미니스트들처럼 똘스또이는 그 당시 부정적이었던 동양의 이미지와 상관없이 열린 사고로 동양사상 등 다른 사상들을 폭넓게 받아들였다. 모든 사상에 대한 똘스또이의 유연한 태도는 여성과 자신과 신분이 다른 타자에게도 적용되었다. 에코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보면, 똘스또이는 누구보다도 여성에 대해, 인간에 대해, 자연과 인간 간의 관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했던 작가이다. 그는 인간의 행복에 여성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진지하게 생각했던 작가이며, 자신의 이익이 아닌 공공의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진지하게 고민했던 작가이다. 에코페미니스트들과 똘스또이의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그들은 모든 억압받는 것에 대한 배려와 대조되는 것, 주변과 중심의 조화, 소통을 통해서 ‘최선’을 구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다문화시대의 문학과 문화경제

        박미령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This study analyzed and summarized visions of playing a leading role of Convent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economics in the trend of a multi-cultural age. First, we can achieve the growth of ethos based on the stability of a society and the emotional luster by claiming analysis and summaries of literatures, which suggest a social virtue, which promotes the ability of individuals, who are capable of playing diplomatic rol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his study summarizes how to set up and practice the virtue, which is required in the multi-cultural era in “Night of the Border.” of Kim, Dong Hwan`s narrative poem. This suggests that Korean dramas and arts, which portray Korean’s chastity, have a potential that will contribute to advance the quality life of people around the world. By pointing out the ecological organism’s a base of life and the origin of energy, we put value on extending the horizon of expectations of history and thoughts. This shows us the capability of seeing those history and thoughts from a different angle. Third, this study stresses the necessity of performing a role as a leader in glocalism by constructing an economic cluster and a cultural placeness formation, The excellence of thoughts and emotional expressions Which speaks of hopes, sorrows, waits, longings, love, conflicts, hopes, and frustrations of Koreans life Forth, this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constructing the original formation of traditional thoughts and the culture.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의 새로운 동향에 있어 문학이 문화다양성협약과 상호문화성, 그리고 문화경제의 선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전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첫째, 다문화사회 구성원 개개인이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민간 외교적 역할과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적 덕목의 신장과 생성의 장을 문학작품의 분석과 정리를 원용하여 제시하였다. 이것은 사회의 안정과 경제적 윤택함은 물론이고, 생태학적 자각을 수용하고 발현할 수 있는 첩경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김동환의 시, “국경의 밤”에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상호문화성에 대한 자각과 덕목의 전환, 그리고 성숙한 ‘인성’의 함양에 대한 지평을 정리하였다. 일제하의 긴박한 상황의 국경 근방에서 디아스포라의 애환과 역사적 상흔, 그리고 민중의 사랑과 갈등, 그리고 덕목의 조화가 표현되어 애송되고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현재 역지사지의 견지에서 다문화사회의 인물형을 창조함에 긴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경제적 단지와 문화적 장소성이 조화된 지구지역성(글로컬리즘)의 선구적 역할을 수행할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삶은 이야기를 풍요롭게, 이야기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확인하고 한류 문화의 전승과 표현의 가치를 문화경제학적 관점을 활용해야 하는 연유를 정리하였다. 한류문화가 드라마나 영화, 각종 문학을 통한 이야기 전개에서 세계인들의 삶에 즐거움과 풍요를 가져다주고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전통 사상과 문화의 원형이 잠재된 장소감(senses of place)과 문화다양성을 실천하는 터전의 설정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전 지구인들이 방문하고 싶은 곳, 작품에 대한 기억 속의 장소에 방문하여 삶에 대한 기대의 지평을 확장해 나아갈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전 세계인들이 방문하기를 염원하는 장소, 방문 시에는 누구나 환영받고 대화를 지속해 나아갈 수 있는 장소에서 한국적 정서를 공유할 수 있는 “인물형”과의 만남을 가능하게 할 때 한류문화의 비전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 KCI등재

        21세기 문학을 통한 한류문화의 비전과 문화외교

        박미령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This study analyzed and summarized visions of playing a leading role of global literature , meter culturalite, guilt trip and spirit of mutual respect in the trend of a multi-cultural age. First, we can achieve the growth of ethos based on the stability of a society and the emotional luster by claiming analysis and summaries of literatures, which suggest a social virtue, which promotes the ability of individuals, who are capable of playing diplomatic rol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work, "Please Look After Mom" of the world-famous author , Kyung-sook Shin's . Second, this study summarizes how to set up and practice the virtue, which is required in the multi-cultural era in “ Share a Globe”, and “ The Band and liberal Dancing”. This suggests that Korean dramas and arts, which portray Korean’s chastity, have a potential that will contribute to advance the quality life of people around the world. By pointing out the ecological organism’s a base of life and the origin of energy, we put value on extending the horizon of expectations of history and thoughts. This shows us the capability of seeing those history and thoughts from a different angle. Third, this study stresses the necessity of performing a role as a leader in glocalism by constructing an economic cluster and a cultural placeness formation, The excellence of thoughts and emotional expressions which speaks of hopes, sorrows, waits, longings, love, conflicts, hopes, and frustrations of Koreans life. Finally, this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constructing the original formation of traditional thoughts, fertile land and the culture in 21’C. 본 연구는 생명옹호, 상호문화에 대한 존중과 예찬 등에 관심을 두고 표현한 작품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21세기, 글로벌 시대의 작가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는 전 세계인의 심금을 울려주고 행동까지 변화를 주고 있는 작품이다. 이는 한국적 덕목이 개인의 재능을 통하여 세계화의 지평을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역지사지할 수 있는 양심 여행이 절실한 시대를 조망하고, 동승과 밴드와 막춤에서 지구에 동승하고 있는 인류애를 통하여 전승되어 온 덕목을 확인, 정리하고 실천할 수 있는 경지를 요하는 시대의 비전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작품은 퇴계 이황의 “경”에 대한 이론, “양심 여행”, 그리고 “생태학” 등의 전승되어온 덕망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을 선정한 것이다. 한국 문화의 원형은 경의 철학, 양심의 여행, 생태학적 자각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21세기 글로벌 시대의 관건은 장소감과 생태학적 자각과 덕망을 실천하는 비전, 그리고 절실한 모국애에 의하여 순조롭게 해결해 나아갈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 KCI등재

        도스토옙스키의 우스운 자의 꿈과 동명의 페트로프 애니메이션과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박미령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3

        도스토옙스키의 단편 『우스운 자의 꿈(Сон смешного человека)』은 1877년 『작가일기(Дневник писателя)』에 실린 단편으로 그의 마지막 소설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1880)보다조금 앞서 나왔으며 그의 철학이 집약되었다고 평가받는 작품이다. 페트로프는 1992년에 도스토옙스키의 『우스운 자의 꿈』을 20분가량의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했다. 페트로프는 “우스운 자”의 독백으로 이루어진 원작을 미장센과 몽타주 기법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진행방식의 서사로 재구성한다. 원작은 “우스운 자”의 독백으로 구성되었으며 페테르부르그라는 현실 세계와 “우스운 자”가 꾼 꿈속의낙원과 타락한 낙원이 기본적인 서사의 틀로 되어 있다. 몽타주는 편집기법으로 쇼트, 씬, 시퀀스의배열을 통해 서사의 구성을 보여준다. “우스운 자”의 독백으로 이루어진 원작의 전개를 따라 애니메이션도 주인공의 독백으로 진행된다. 다만 원작에 없는 “기차 안”이라는 공간을 설정하고 그 안에서 주인공은 페테르부르그라는 현실 공간과 꿈이라는 환상 공간을 오고 간다. 페트로프는 낙원을 밝고 화사한 파스텔 톤으로 경쾌하며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로 표현하지만 타락한 낙원은 어두운 색채로 비내리는 어두운 밤의 페테르부르그로 소돔같이 묘사한다. 특히 타락한 낙원의 묘사에는 태양이 사라지고 흙먼지가 자욱한 혼돈과 죽음의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음산한 색채가 화면을 채운다. 기차 안 역시 밤의 시간으로 램프에 의지한 어두운 분위기이다. “기차 안”이라는 공간은 씬과 시퀀스를 나누는데 적절한 기준점이 되고 있다. 페트로프는 “페인트 온 글라스”라는 수작업으로 영상화하는데, 이때메타모포시스 기법으로 장면전환을 원활히 하며 도스토옙스키의 서사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재구성한다. 타르콥스키의 『스토커(Сталкер)』에서 주연배우였던 카이다놉스키가 진행한 목소리연기는 주인공 “우스운 자”의 분위기를 완벽하게 재현한다. 주인공의 형상은 이 작품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의 목소리 톤과 그의 형상을 모델로 한 주인공의 시선 처리와 제스처는 애니메이션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