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혈액 및 복막투석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朴美卿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by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posing questionnaires and using physiological measures for 2 months period from July 23, 2002 to September 23, 2002. The questionnaires includes tools for measuring the family support by developed by Kang Hyun-Suk(1987), and improved by Jeong Yeo-Suk(1991),self-efficacy developed by Hong Gye-Young(1999) and quality of life developed by Kim Ok-Soo(1993).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actual numbers,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x²-test,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family support was 3.83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3.86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2.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was 2.77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2.72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3. The mean scores of quality of life was 2.92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2.99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4.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of dialysis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to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religion(p<.05), helper of the best(p=.001), fanily's monthly income(p<.05) and dialysis period(p<.05)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family support in marriage(p<.05) and helper of the best(p<.Ol). 5.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of dialysis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to the perceived self-efficacy in hemodialysis patient were sex(p<.O1), age(p<.05), education level(p<.001), helper of the best(p<.O1) and family support(p<.O1)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 were had not. 6.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of dialysis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to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job(p<.05), helper of the best(p<.O1) and the family's monthly income(p<.05)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dialysis period(p<.05). 7.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r=.462, p<0.001)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r=.474, p<0.001). 8.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r=.538, p<0.00)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r=.236,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9.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by hemodialysis patients were self-efficacy(27.9%), family support, helper of the best and family support(74.5%).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b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family support(21.3%) and self-efficacy( 25.5%). In conclusion,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hemodialysis patients were age, education level, helper of the best, the family's monthly income,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uidebooks for guardians or various programs to promote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to improve the 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should be developed.

      • 보육정책의 효과성 평가연구 :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을 중심으로

        박미경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policies on the child care expenses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hild care policy. Recently, in order to solve low fertility problem,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Child care policy is one of the policies that solve a low fertility phenomenon. Child care importance is emphasized view of investments to development human resource of high quality in the futur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child care is important as investment to develop human resource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government annually has expanded child allowances policy object. This means to strengthen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the child care and to reduce the parental nurture burden.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 care polices that child allowances policy and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policy. Using the 2006~2012 Korean Welfare Panel Study(KWP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policies on the child care expenses. Especially, it is to examine whether female's employment statu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polices and child care expense. Summary of major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ixed effects model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were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area, the numbers of children aged 0-5, the numbers of children(over 6), family type, the receipt of child allowances, a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child allowances and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policy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 care expenses relaxation. Secondl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mother's age,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the numbers of children aged 0-5, family type, the receipt of child allowances a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in case of the employed women group. Thirdl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mother's age, education level, he numbers of children(over 6), the receipt of child allowances a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in case of the unemployed women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 care policies should different on the female's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Esping-Andersen's welfare capitalism, Sainsbury's gender model, new household economics theory, and human capital theory which explains publicness of child car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hild allowances policy and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policy have significantly effects on the child care expenses. This implicates that importance of comprehensive discussion in the child care expense research.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riable of female's employment status is importan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polices and child care expense. This study draws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in order to reduce the child care expense, government must improve the child allowances policy. Seco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expenses relaxation. This result implicates that governmental agencies should increase provision the public child care facility. Third, governmental agencies must consider the female's employment status for designing personalized child care policy. Finally, governmental agencies must make effort to support finance and institution in order to use other family members' help. 본 연구는 보육정책이 자녀보육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보육정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최근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운영하고 있다. 그 중 보육정책은 저출산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보육은 미래의 양질의 인적자원을 양성하기 위한 투자측면에서 중요성이 강조된다. 자녀양육을 가정뿐만 아니라 가정과 국가,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 증대로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의 지원 대상을 매년 확대함으로써 부모의 양육부담 경감과 더불어 보육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정책 중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이 부모양육부담을 완화시키는 정책목표를 실현하고 있는지 평가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육정책이 자녀보육비용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영유아 양육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자체가 자녀보육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취업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효과 패널선형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 연령, 모 학력, 모 경제활동참여, 거주지역, 영유아 수, 6세 이상 자녀수, 가구구조,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 수혜여부와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여부가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취업여성의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모 연령, 모 학력, 거주지역, 영유아 수, 가구구조,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 수혜여부,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여부가 자녀보육비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미취업여성의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 연령, 모 학력, 6세 이상 자녀수,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 수혜여부,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여부가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은 자녀보육비용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자녀보육비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보육정책의 설계에 차이가 존재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보육의 공공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Sainsbury의 젠더모형, 신가계경제학, 그리고 인적자본이론의 적용타당성을 경험적으로 입증하는 결과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을 자녀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과 다양하고 질 높은 육아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 제고 정책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셋째, 보육정책과 자녀보육비용 간의 영향관계에서 모 경제활동 참여 여부에 의한 조절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을 통해 자녀보육비용 부담이 절대적으로 완화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미수혜 가구에 비하여 상대적인 감소 효과가 생겼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은 자녀양육비용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공립보육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경제활동 참여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보육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부모나 친지 등 가정 내의 돌봄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재정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 소방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 소방조직을 중심으로

        박미경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duty getting to complexity and variety. Before modern society. fire fighting was cognition to just fire suppression. Recently fire fighting comprehensive for artificial an accident, nature disaster, calamity Otherwise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Especially fire fighting organization culture is not enough to theory of thesis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specific of duty is not easy in previous organization culture to fire suppression, rescue, aid, arrive confrontationactivity , crisis state of emergency including inside general administration, fire prevention administration That's why. fire fighting organizational culture will become the justice with difference and will do, through this dissertation ,will lead and the respectively fire fighting organizational culture quality affects in organization civil conduct of the staffs and will observe will see, means that this organization civil conduct further will be joined together with the improvement which large national fire fighting is quality of service about tried to investigate. Also tried to observe thefire fighting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in unemployment intention of the staffs reduced the unemployment intention of fire fighting government employee and service improvement fire fighting is a goal which is ultimate under trick . To the research result fire fighting organization which sees is confirmed, that the culture of the form which is various exists the existence of the culture which is various is like this being confirmed, / according to the policy making at the time of will be able to be sufficient the cultural craving which is various in order about hereafter fire fighting organization, must consider the various cotton. Also there must be a reading which is various raising the organized civil conduct quotient of fire fighting government employee business with facing each other, for the nation. Research result is from relationship intention organizational culture refers to a period most lowly and within organizing must endeavor more in relationship improvement of the staffs. Finally. Thanks you very much for all fire fighting government employee to participate to a question investigation with start the interest the route expectation tries the research more big

      • 용담중권역 오염부하량 삭감에 따른 수질예측에 관한 연구

        박미경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8228;중&#8228;소권역별 물환경관리계획에 따른 용담댐, 용담댐하류, 무주남대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주요 오염원자료를 조사&#8228;분석하여 유역내 오염원을 예측하며, 이를 토대로 수질 모델링을 통해 현재 유역내 주요 소유역별 수질변화 모의 및 계획 목표연도인 2011년의 수질예측을 실시하였다. 수질모델링에 의한 용담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 크게 오염원 발생 및 예측, 발생 및 배출부하량, 수질예측결과 및 전망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오염원 발생 및 예측에 있어 용담유역의 2005년 오염원 자료를 바탕으로 각 오염원별 예측을 실시한 결과, 용담유역의 인구는 2005년 62,706명, 2011년에는 62,276명, 2015년에는 61,639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업계의 경우, 용담유역 중권역의 일일폐수발생량은 2005년 2,048㎥/일, 2011년에는 2,370㎥/일, 2015년에는 2,585㎥/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축산계의 경우 2005년 현재 총 가축수는 643,340두이며, 총 가축에 대한 예측결과, 2011년에 644,168두로 예측되었다. 토지계의 경우, 2005년 기준 대지의 면적은 43㎢에서 2011년 54㎢로 증가하고 농경지(전,답) 및 임야는 2005년 1,416㎢에서 2011년 1,405㎢로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오염부하량 예측 결과, 용담유역 중권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2005년 27.2톤/일이며, 2011년에는 29.2톤/일, 2015년에는 30.4톤/일로 연평균 3.4%의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유역 중권역의 T-P 발생부하량은 2005년 1.9톤/일이며, 2011년에는 2.0톤/일, 2015년에는 2.0톤/일로 연평균 1.8%의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용담유역 중권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2005년 9.8톤/일이며, 2011년에는 9.8톤/일, 2015년에는 10.5톤/일로 연평균 3.3%의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유역 중권역의 T-P 배출부하량은 2005년 0.52톤/일이며, 2011년에는 0.49톤/일, 2015년에는 0/50톤/일로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3. 중권역별 물환경 개선 전망으로 2011년 수질예측결과 BOD 항목은 환경기초시설 등 수질개선대책을 추진시 3대 중권역 대표지점은 모두 수질개선 목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삭감효율이 반영되지 않은 축산분뇨 액비화 등의 대책 추진시 수질은 더욱더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만, 용담댐내의 COD, T-P 항목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추후 삭감효율이 높은 사업의 지속적인 발굴 및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권역에 대한 유역의 주 오염원 분석 및 저감대책 수립, 중권역 내의 소권역별 유역의 개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사전분석, 소유역에 대한 종합적인 수질정책의 수립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향후 지자체에서 각 소권역별 관리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중권역의 수질뿐 만아니라 수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관련 정책의 의사결정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대국민 수질정보서비스를 위한 효율적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질환경정보의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유지&#8228;관리를 위한 수단으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으며, 한단계 진보적인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Yongdam Dam which is main source of water for Chonbuk Province currently occurs Green alga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s required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at last. The basic plan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for large region according to water Quality Environment Preservative Law was designed the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Middle region plan for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which is the detailed plan by 12 middle regions in Chonbuk Province should be needed and promo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data about main pollution source for 3 middle regions such as Yongdam Dam, Downstream of Yongdam Dam and Namdae Stream of Muju. It is priority high order for us to predict and look out the source of pollution. With the base of this data,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by the main small regions within the currently drainage area through the modeling of water quality and studied certain practical method of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by the water quality model. The pollution sources was estimated. The population of middle region of Yongdam is on the increase from 62,706 in 2005 yr to 62,276 in 2011 yr and 61,639 in 2015 yr. The mass of wastewater generation is on the decrease from 2,048㎥/d in 2005 yr to 2,370㎥/d in 2011 yr and 2,585㎥/d in 2015 yr. The Livestock breeding heads is on the increase form 643,340 in 2005 yr to 644,168 in 2011 yr. In the domain of land, the farm(patch and the paddy) is on the decrease from 1,405㎢ in 2005 yr to 1,416㎢ in 2011 yr, and the forests and fields is on the increase from 43㎢ in 2005 yr to 54㎢ in 2011 yr. Also the pollution loading mass was estimated. The BOD generation loading mass of middle region of Yongdam is on the increase average of 3.4%(form 27.2ton/d in 2005 yr to 29.2ton/d in 2011 yr and 30.4ton/d 2015 yr) per year. The TP generation loading mass is on the increase verage 1.8%(1.9ton/d in 2005 yr, 2.0ton/d in 2011 yr and 2.0ton/d in 2015 yr) per year. Besides, the BOD discharge loading mass is on the increase average 3.3%(9.8ton/d in 2005 yr, 9.8ton/d in 2011yr and 10.5ton/d in 2015 yr) per year. The TP discharge loading mass is on the decrease 0.52ton/d in 2005 yr, 0.49ton/d in 2011 yr and 0.5ton/d in 2015 yr.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analyze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at the drainage area for the middle region and establish counter plan against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It is previously analyze how the development of drainage area by small region within the middle region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It is apply them to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water quality managemental policy for the small region. Besides this, we can make use of them as a basic data when certain LAE(Local Autonomous Entity) sets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by each small region.

      • 고추(Capsicum annuum L.)의 葯培養에 의한 胚發生 및 植物體 再分化

        박미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약배양은 반수체 식물을 획득하여 육종연한을 단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러 식물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은 고추(Capsicum annuum L.)의 약배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전처리 기간과 온도, 생장조절제의 농도 및 탄소원의 종류와 농도, 기타 첨가물의 효과를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소포자배양에서 적절한 소포자의 밀도 및 적정 sucrose농도를 밝혀 소포자배양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품종(청양, 녹광 및 내강토)중 캘러스 형성율은 16.0%로 녹광고추에서 가장 높았고 배발생율 또한 5.3%로 녹광고추에서 가장 높았다. 소포자 발육단계와 화뢰의 길이와의 관계는 평균적으로 1핵성 소포자기는 개화 12일전으로 화뢰의 길이는 2.7±0.4mm이었고, 2핵성 소포자기는 개화 6일전으로 화뢰의 길이는 3.6±0.5mm, 완숙화분은 개화 3일전 이후로 화뢰의 길이는 4.3±0.3mm이었다. 배발생에 적합한 소포자발육단계는 1핵성 소포자기에서 2핵성 소포자기까지였다. 고추의 약배양에서 온도 전처리의 효과는 캘러스 형성율은 저온처리에서 높았고, 배발생율은 고온처리 8일이 6.0%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약배양의 탄소원으로 sucrose와 glucose 모두 캘러스 형성에 효과적이었고, sucrose와 glucose의 농도를 3.0%, 6.0%, 9.0% 또는 12.0%로 첨가한 배지에서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캘러스 형성율은 증가하였으며, 배발생은 3.0% sucrose가 첨가된 배지에서 18.8%로 가장 높았다. 배지에 첨가하는 식물생장조절제 및 농도는 2,4-D와 kinetin을 각각 0.1mg/L씩 첨가한 배지에서 7.1%의 배발생율을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이었다. 활성탄소(activated charcoal)의 첨가는 캘러스 형성율과 배발생율을 모두 감소시켰으나 배지내 0.1mg/L의 카세인 가수분해물(casein hydrolysate) 첨가는 캘러스 형성율을 66.7%, 배발생율을 13.3%로 모두 높여 약배양에 유효한 첨가물이었다. 고추의 소포자배양에 적합한 배양밀도는 치상 배지당 평균 4.6개의 배를 형성한 1.0×10^5 microspores/mL가 가장 적합하였고, 배발생에는 sucrose 3.0%가 첨가 된 C배지가 적합하였다. Anther culture is practiced as a means of producing haploids for shortening breeding cycles in many crop speci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pretreatment, plant growth regulators, carbon source and other additives to culture medium on callusing and embryo genesis in anther culture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dequate sugar concentration and microspore density for isolated microspore culture were also examined. Out of the 2 cultivars tested, cv. Nokgwang was in general better in the rate for callusing with 16.0% as well as for embryogenesis with 5.3%. In general relation of developmental stage of microspores with external appearance of flower buds, there were uninucleate microspores in the flower buds 2.7±0.4mm long in 12 days prior to an thesis, binucleate microspores in the flower buds 3.6±0.5mm long in 6 days prior to anthesis, and mature pollen grains in the flower buds 4.3±0.3mm long in 3 days prior to an thesis. The suitable developmental stage of microspores for anther culture ranged from early uninucleate to late binucleate stage. For extreme temperature treatment prior to anther culture of red pepper, low temperature favored callusing and high temperature favored embryo genesis. Sucrose as well as glucose was good for callusing in anther culture of red pepper and higher the sugar concentration up to 6.0% higher the callusing rate. Embryo genesis was best with 18.8% on the culture media containing sucrose at 3.0%. For plant growth regulators, the culture media containing 2,4-D and kinetin at 0.1mg/L each resulted in the best embryo genesis with 7.1%. Addition of activated charcoal to culture media adversely affected callusing and embryogenesis. Supplement of casein hydrolysate to culture media effectively improved the rate of callusing up to 66.7% and embryogenesis up to 13.3%. The adequate plating density and sucrose concentration for isolated microspore culture were 1.0×10^5 microspores/mL and 3.0%, respectively, which yielded 4.6 embyos per culture.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박미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경험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검사,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검사, 자아탄력성 검사,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변인들 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고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경험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녀 간 분산에서 자아탄력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평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경험과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집단따돌림경험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따돌림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자 아동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소외형,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소외형은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아동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신체형,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신체형은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따돌림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자 아동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소외형,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언어형은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아동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전체와 하위요인 소외형,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전체는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자 아동의 자아탄력성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아동의 자아탄력성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별에 따라 집단따돌림경험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이 통제되었을 경우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집단따돌림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은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이 통제되었을 경우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집단따돌림 피해경험도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완전매개를,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집단따돌림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영향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의 경우, 비록 집단따돌림경험이 있다고 하더라도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 자아탄력성향상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집단따돌림경험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성별의 차이가 있었음을 고려하면 남자 아동들에게는 자아탄력성 중에서도 대인관계와 활력성을 높여주는 개인 상담이나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여자 아동들에게는 자아탄력성 중에서도 대인관계와 낙관성에 초점을 맞춘 개인 상담이나 프로그램이 개발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집단따돌림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들로 고통을 겪고 있는 아동들의 상담 및 치료에서도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유아 신앙성숙을 위한 가정과 교회의 신앙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박미경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는 인간의 전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형성된 인성과 경험은 유아가 이후 성인이 되었을 때 삶의 양식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유아기 어린이들에게는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습득된 경험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만큼 유아기 신앙교육은 이 모든 것을 포함한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기독교 가정의 부모와 교회 교육의 현장에 있는 사역자, 교사들은 이미 이런 사실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부모들도 자녀 신앙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 것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결시키는 능력이 부족하기에 부모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앙양육의 신념을 소신 있게 표현하고 때론 점검하기를 원한다. 그래서 유아의 신앙성숙을 위한 교회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교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역자, 교사들도 신앙교육에 충실한 프로그램운영과 발달에 맞는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기독교 가정과 교회는 서로 연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협력함으로서 가정과 교회가 서로 유아의 신앙교육에 앞장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경에 기초한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 연계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여 유아의 신앙성숙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유아 신앙성숙을 위한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 연계”를 연구한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기독교 가정의 관심인 신앙교육의 필요성과 구약의 성서에 나오는 믿음의 가정의 계보에 대한 관심을 살펴보고 과연 지금의 우리의 현실에서 교회 교육만으로 부모가 기대하는 자녀들의 신앙성숙이 형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 하였다. 그리고 부모는 하나님이 자신에게 맡기신 자녀에 대한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감당하여야 함과 교회에서는 가정을 배제한 신앙교육을 교회교육의 예배, 즉 주일예배와 성경공부에 잘 참석하면 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교회와 가정이 함께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신앙교육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가정과 교회가 유아의 신앙성숙을 위하여 왜 서로 함께 협력하고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유아의 신앙발달에 대한 이해로 종교발달 단계를 연구한 학자들의 신앙발달이론을 살펴봄으로서 유아의 발달에 맞는 신앙교육의 방법, 내용들을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유아의 신앙성숙을 위해 가정과 교회의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찾기 위해 기독교 가정에 대한 성서적 이해와 교육적 기능, 그리고 교회 교육은 성경에 기초한 교육이 되어야 하며 신앙성숙이라는 교회교육의 목표와 목적에 맞는 교회 교육의 프로그램이나 활동이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가정과 교회의 연계교육 프로그램 중 이미 우리에게 많이 알려지고 교육되어 지고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교회가 기독교 가정에서 자녀들의 신앙성숙을 기대하며 소망하는 부모들에게 부모교육이란 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앙교육을 제안하였고. 유아 스스로를 위한 신앙교육으로서는 성경이야기를 통한 성경묵상(Q.T.)을 제안하고,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믿음의 신앙의 계보를 이어가고 성령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할 수 있는 가정예배의 이해를 통하여 방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 연계를 위한 서로의 협력과 노력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기독교 가정과 교회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앙교육 연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제를 제시하였다. 가정예배가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가정예배를 교회교육의 담당자들이 가정을 방문하여 함께 예배를 드림으로서 유아의 신앙성숙을 위한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또, 가정을 방문하여 함께 가정예배를 드릴 수 없는 맞벌이 부모들에게는 필요한 자녀 신앙교육을 주말 교회의 교육활동에 참여하게 하여 맞벌이 부모의 자녀 신앙교육을 도와주고 신앙성숙을 도울 수 있는 교회교육 주말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고, 유아의 신앙성숙을 위한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의 연계가 중요함과 다양한 교회와 가정의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박미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maximize growth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it is urgent that nurses develop specific breast-feeding programs and provide systematic training for breast-feeding practice that is physically, emotionally, psychologically and socio-economically more complete. In this research,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s customized for social, emot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mothers who delivered their baby between 37-42 week of gestation age. In doing so, the effect of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method and practice rate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examined.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based 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It passed the review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t Mokpo Univers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36 week or older pregnant women who came to the hospital for prenatal examination. Along the immigrant women planning on breast feeding, a total of 33 women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of which 16 were selected for test group and 17 f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August 2, 2013 to February 17, 2014. Then, preliminary study was done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knowledge, attitude and method of breast-feeding of 36 week or older pregnant women for both control and test group. After the preliminary study, a group training was provided to control group on the 1-2 day from the delivery. For test group,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was applied: individual breast-feeding training was given within 2 hours of giving birth; a group training was provided 1-2 days after birth; and, finally, on the 7th after giving birth, family visit was made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counseling, retraining and reinforcement training. Four weeks after giving birth,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he control and the test group about knowledge, attitude, method and practice rate of breast-feeding. As a research tool, the tool developed by Lee Eun-joo(1997) for breast-feeding knowledge was changed/modified into 14 questions. For breast-feeding attitude and method, a tool developed by Jeong Keunm-hee (1997) was developed for measurement. Breast-feeding practice rat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nutritional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WHO (Helsing, 1985). For data analysis, SPSS/WIN version 18.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non-parametric distributional analysis. Cronbach's α was used to test reliabilit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was used to study breast-feeding-related characteristics. χ²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test homogeneity of two groups and perform hypothesis test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est group who participated i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gram scored high in knowledge, attitude, method and practice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gram 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method and practice rate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Therefore, in order to help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exposed to vulnerability under various situations, practice breast-feeding, an ideal and the perfect source of nutrition for newborn, nurses are encouraged in the clinical work to aggressively utilize individual breast-feeding programs at their eye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breast-feeding-related program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measure its effect. In order verify the effect of this research more clearly, more diverse methods should be used in the future researches. 결혼이주여성과 이들 자녀의 성장발달 잠재력을 최대한 성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기와 엄마에게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경제적으로 완전한 모유수유를 실천할 수 있도록 이들을 위한 구체적인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간호사들이 시급히 수행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정서적, 문화적 특성과 눈높이에 맞는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재태기간 37-42주 사이에 분만한 초산모에게 적용함으로써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지식, 태도, 방법,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며 연구 전 목포대학교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다. 대상자 모집은 산전 진찰을 위해 내원하신 임신 36주 이상인 임산부이고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7명 총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은 2013년 8월 2일부터 2014년 2월 17일까지 진행하였다. 실험적용은 임신 36주 이상 임산부인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기초자료와 모유수유지식, 태도, 방법을 사전조사하였다. 사전조사 후 대조군에게는 분만 후 1-2일에 집단교육을 제공하였고, 실험군에게는 분만 후 2시간 이내 개별적 모유수유교육, 첫 모유수유 시도 및 시범을 보인 개별교육과 분만 후 1-2일에 집단교육, 분만 후 7일째 가정방문을 통한 개별적 지지와 상담, 재교육 및 강화교육으로 구성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분만 후 4주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방법, 실천율을 사후조사 하였다. 연구 도구는 모유수유지식은 이은주(1997)가 개발한 도구를 14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모유수유태도와 방법은 정금희(1997)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모유수유실천율은 세계보건기구가 제시한 영양분류체계(Helsing, 1985)에 따라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versio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모수 분석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 ,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관련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두 그룹의 동질성 검정과 가설 검정은 χ²,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인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 지식점수, 태도점수, 방법점수 및 실천율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지식, 태도, 방법, 실천율에 매우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아기와 산모에게 가장 이상적이고 완벽한 영양공급원인 모유수유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전문간호사가 임상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기대해 본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모유수유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측정하는 최초의 연구로 의의가 크며, 본 연구의 명확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의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