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보고형 부모양육태도 검사(PAT-Y)와 집 그림검사(House test)의 반응특성 연구
박문희,임호찬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영역에 따른 집 그림 반응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 생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검사와 집-나무- 사람(HTP)그림검사 중 집 그림이다. 집 그림의 반응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영역 점수와 상관관계, 그림특성에 따른 집단 간 양육태도 영역의 차이를 ANOVA 방법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 그림의 반응특성에서 필수구성과 추가구성의 평가점수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얻었다. 성취압력 및 과잉기대 점수가 높을수록 필수구성의 수가 적어지는 부적상관관 계와 지지표현과 합리적설명이 높을수록 추가구성의 수가 많아지는 정적상관관계를 보 였다. 둘째, 양육태도의 하위영역과 집의 반응특성에서는 지붕의 선의 굵기, 지붕의 이 어진 선, 벽의 기울기, 창문의 수, 창문 선, 집의 세부묘사와 왜곡, 용지면적에서 유의미 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8개의 하위영역의 점수와 집 그림에 대한 평가지표 간에 연관성을 어느 정도 규명하였지만, 추후 연구를 통해서 반복 입증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향후 집 그림을 통해서 학생 내면의 심리적 상태를 좀 더 정밀하게 파악하는 보조 검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 (Parenting Attitude Test) sub-categories check by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102 children, enrolled in the A city elementary school as grade 5∼6. The score of PAT categories and house drawing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test. Results wer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ssential and additional compositions of the house and the sub-categories of PAT when drawing a house. Essential compositions of the house drawing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achievement press and high expectation. However, additional compositions of the house drawing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Second, the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 scores of the PAT sub-categories. Especially, there are much differences in the line thickness of house, the connecting line of roof, the lean of a wall, the number of windows, the scrutinized house drawing and distortion, and the using space of paper. Even this research found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 subdivisions and evaluation scales of a house drawing, it also needs to be rechecked by follow-up studies. This study was contributed for proofing the usefulness of the house drawing in predicting the children's feeling to their parenting attitude.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이성-감성적 평가를 통하여 서비스 품질 요인이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문희,Park, Moon-He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0 No.5
모바일 쇼핑은 오늘날 뉴노멀이라고 할 정도로 일반적인 쇼핑 방법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쇼핑을 연구하던 초기와 달리 현재에 보다 중요한 요인들은 상당히 달라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서비스품질 요인들을 선별하고 이것이 소비자의 이성-감성적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피는 한편, 향후 구매의도와 구매의도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고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서비스품질 중 개인화와 반응성만이 소비자 심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과 기대감정은 소비자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개인화와 반응성은 중요한 요인임을 증명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소비자의 만족이 높으면 소비자 행동도 긍정적일 것으로 본 연구결과 나타났다. Mobile shopping has been settled down as one of the general shopping methods, good enough to be called new normal today. Contrary to the initial stage for researching the shopping in online environment, the factors more important today must be changed quite a lot. Thus, this study aimed to select the service quality factors regarded as important in mobile shopping, to examine their effects on consumers' rational-emotional evaluation, and also to understand a series of influence relations led to the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effect in the future, and then obtained the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ly the Personalization and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sumer sentiment, and the consumer senti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sumer behavior. Such results verified that the Personalization and responsiveness would be important factors to consumers. Also, when the consumer satisfaction is high, the consumer behavior would be positive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