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구 공원 녹지 배치 계획 이론의 초기 발전 과정과 특성

        구원 ( Koo Won Park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6 녹지환경학회지 Vol.2 No.2

        In America and Europe from the latter part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planning ideologies of park system and greenbelts were made and these planning ideologies are called Green Network System. They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purpose, type and method, but the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of encouraging order and amenity in cities based on the consecutive connection of green space, and of coping with the problems happening in cities. Just as the park system was made, centering around new America and greenbelts were developed to meet with the problems happening in large cities, the structural arrangement and the roles of greens should be different. However, this connection system of greens was oriented in the circumstances of America and Europe at that time so it has not been confirmed what sizes of cities it would be useful for. On the other hand, separately from the Green Network System, the theory of park arrangement is being developed. It intends to cope with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caused by overcrowded cities and with increase in the demands of public parks. It is based on the neighborhood unit and the science of human settlement. In addition, the theory of park arrangement is based on the effects of greens in use, rather than, in decoration so it encourages dispersion and hierarchical system of parks, having the human settlement as base. Consequently, the theory of park arrangement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households, and it has a required area and planning unit. However, this theory has the right for walking and human scale as the basic unit so for the large parks that are beyond the human scale, the planning criteria are not clear. The theory of park arrangement, which is based on the neighborhood unit, may be useful for the cities with tens of thousands of residents, but it is partially applied for the cities with 500,000~1,000,000 residents. And further, in organizing the green system for the whole city, the theory of park arrangement can be ignored. As seen in the above, the existing arrangement theory has some problems: it is just for partial application; and it is not suitable for the size and the growing speed of cities. The greens in cities should be operated as the comprehensive system, but greenbelts and park arrangement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so far. That`s why it is necessary to review again the existing arrangement theory.

      • KCI등재

        대규모 LPWA기반 네트워크에서 분산된 주차 공간 관리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신열 ( Shinyeol Park ),정종필 ( Jongpil Jeong ),동범 ( Dongbeom Park ),병준 ( Byungju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10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인구유입에 따른 차량의 증가로 부족한 도시의 주차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고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주차장 관리시스템은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제한되어 있거나,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의 분산된 주차 공간 관리서비스에 LPWA기반의 통신, IoT 클라우드를 구축하여 주차 공간 관리서비스에 대한 효율화 및 편리성을 높이도록 제안한다. 주차 센서는 주차장의 주차 공간 정보를 수집하며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며, 모든 주차 데이터는 IoT 클라우드에서 처리되고 분석되어, 주차 공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도시의 사람들에게 주차 가능 면적을 확인하도록 하여 시간적인 편리함과 주차 공간에 대한 면적 효율화를 제공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the increase of vehicles, effective control of parking space management service in cities is needed. However, the existing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does not provide limited or convenient service in terms of space and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distributed park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large scale LPWA (Low-Power Wide-Area). The parking sensor collects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parking lot and is transmitted over a low-power wide network. All parking data is processed and analyzed in the IoT cloud. Through a parking space management service system in all cities, users are given the temporal convenience of determining the parking space and the area efficiency of the parking space.

      • KCI우수등재

        변화와 변용으로 본 근대기 서울 남산의 공원

        희성,Park, Hee-Sou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남산은 수도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여타의 다른 산과 달리 도심의 공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되는 시점인 대한제국기와 식민지기를 주요 배경으로 변화와 변용의 과정 및 내용을 살폈다. 남산이 공원이 되고 공원이 다시 종교시설로 변용되는 일련의 과정이, 실은 일본의 도시 식민지화 과정과 식민지적 공간 통치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혔다. 일본이 왜성대공원(矮城臺公園)을 시작으로 경성공원(京城公園), 한양공원(漢陽公園)에 이르기까지 도성 안 남산을 모두 공원화한 것은 한성부에 대한 일본의 세력 확장과 관련한 것으로, 여기서 공원은 일본이 한성부를 점거하는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남산의 공원화는 단순히 위락과 여가시설의 확보가 아니라 공원 조성을 명분으로 한 타자의 공간 점유로 보아야 한다. 이 시기 남산의 공원 가운데 왜성대공원과 한양공원은 각각 경성신사(京城神社)와 조선신궁(朝鮮神宮)으로 변용되는데, 주체와 목적에 따라 그 양상은 점진적이기도 하고 폭력적이기도 하였다. 공원에 일본의 문화가 이식되고 공원이 지배자의 공간으로 치환되는 이러한 사실은 일본이 공원을 이용해 남산을 물리적으로 점거한 것과는 또 다른 공간 지배 양상을 의미한다. 즉 남산의 공원화가 한성부 내 일본의 세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이후의 변용은 식민지 지배를 공간의 양태로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남산은 공원이라 불렸지만 실제로 공원으로 이용된 시간은 매우 짧았다. 그나마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될 수 있었던 것은 경성공원 일대의 산림자원 덕분인데, 그 배경에는 신사와 신궁을 위한 신원의 보존과 관리가 있다. 이 또한 식민 공간 통치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Unlike other mountains in Korea, Seoul Namsan(南山), which is one of the landmarks that represent the country's capital city, is perceived as a city park.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and the transformation of its place in Korean Emperor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erial changes in Namsan, in early modern era, mean that is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urbanization and the rule of space by Japan. The stages of Waeseongdae Park(倭城臺公園), Gyeongseong Park(京城公園) and Hanyang Park(漢陽公園) under the leadership of Japan, due to the extension of Japan's power, Namsan has became the park. Here, the park has become a strategic tool of other's occupying Hanseongbu(漢城府), a capital city.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dose not mean making the space for recreation and rest, but is an excuse for using the land. Since then, Namsan's parks barely fulfilled its original function as park as it was transformed into a shrine, Gyeongseong Jinjya(京城神社), for Japanese warriors or was incurred upon by Joseon Singung(朝鮮神宮), which was established as a facility to govern Korea, sometimes is gradually and sometimes is mercilessly. The fact, transplantation of Japanese culture and replacement as ruler space, is another aspect of occupying and govern place. In other words, while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is the way of establishing Japanese force, the transformation of its place show a colonial rule as an aspect of space. Meanwhile, in spite of transformation to shrine, Namsan became accepted as a park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 forest of Namsan. Japan managed forest as a sacred place. It is also a result of the Japanese rule of space.

      • KCI등재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

        염성진,청인,Yeom, Sung-Jin,Park, Chung-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는 도시의 구조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공원녹지계획이 도시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계획의 대부분은 녹지의 양의 증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정된 도시공간에서 공원녹지의 물리적인 확충은 토지의 확보가 어려워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원녹지와 녹지에 대한 이용자평가를 통해 향후 공원녹지계획상의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 구축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특성에 균등배치와 집약배치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일본의 타마뉴타운의 두 지구를 선택하여 319명의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가 다른 두 지구의 만족도평가요인은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각 지구내의 세부평가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원녹지의 질, 주변녹지의 질, 접근성, 차도분리의 요인이 두 지구의 공통요인인 것이 확인되었다. 공원녹지가 집약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주변녹지의 질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공원녹지가 균등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보행공간의 차도분리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Parks and green spaces have various functions for improving urban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have been appli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rban environment. The most popular method for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is incrementing the quantity of parks and green spaces. However, it may not be possible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in a large c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obtaining land. This study explores how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produces better quality urban environments without having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The study evaluates existing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evaluation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ose plann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ama Newtown, Japan, within two districts with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ark systems: concentration and equality arrangement forms. For comparison, on-site questionnaires were used, with 319 residents in the area responding to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study fou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factors be tween the two districts. However, differences were found within each of the districts, depending on parks and green space components. For example, the quality of green spa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istrict with a planned concentration arrangement form of parks and green spaces, but, separation of the pedestrian and vehicular system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strict with a planned equality arrangement form of park system.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were common between the two sites were: accessibility, quality of park, quality of green space, and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ular traffics.

      • KCI우수등재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 분석

        길지혜,희성,재민,Gil, Ji-Hye,Park, Hee-Soung,Park, Jae-M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2005년 도시공원법 개정 이후 국내에는 역사유산의 보전은 물론 도시민의 휴식과 교육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역사공원이 등장하였다. 이제는 역사공원의 운영 실태를 통해 국내 역사공원의 특성을 알고 그에 따른 제도적 보완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역사공원 제도의 특성과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을 분석하여 역사공원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되, 역사공원 현황과 조성 과정을 관계 공무원과 전문가에게 전화 및 이메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자원은 주로 조선시대 유적에 집중되어 있지만 인물, 사건, 장소 등의 유산도 포함되며 근대기 유산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역사공원은 기존도시와 신도시, 대도시와 지방도시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지방도시는 최근 경제 활성화와 정체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역사공원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원의 종류를 역사공원으로 변경한 경우, 기존 기능과 일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역사공원은 역사유산공원, 역사기념공원, 역사주제공원과 역사적공원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부적 유형분류는 향후 역사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토대가 되며 역사공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ark Act in 2005, historical parks emerged in Korea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 while also offering recreation and education to ordinary citizens. It is now tim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by examining their current operational conditions, and seek appropriate institutional improvement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arks in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the trends in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role of historical parks, and seeks a direction for future action. Through it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al park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despite historical resources being concentrated in site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they also include heritage pertaining to persons, events, and places. There is also a trend toward increasing the focus on modern heritage. Historical parks show differences across existing cities and new towns, as well as between major cities and provincial cities. Provincial cities showed a recent trend of using historical parks as important resources for strengthening their economics and solidifying their identities. Al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esignated category for a park is changed to a historical park. In such cases, there may be a problem where certain functions of the park run into conflict. Domestic historical park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heritage parks, memorial parks, historical theme parks, and historic parks. Such detailed classification schemes may serve as the strategic foundation for later conservation and usage of historical heritage, as well as a standard for suggesting concrete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historical parks.

      • KCI등재

        공원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연구

        이화(Lee, Hwa),행렬(Park, Haeng Ryeol)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는 공원 CPTED 원리를 가이드라인으로 하여 대전광역시 어린이공원 50곳을 현장조사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야간 약 50%로 사각지대 가 발생하고, 공원 주위에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시각 가림 현상이 일어나는 곳도 약 50% 정도였다. 조명은 전체적으로 밝고 높이가 적정하여 가시성을 확보할수 있었지만 설치위치가 부적당하여(60%) 추가 또는 이전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입구는 1~3개로 적절했으며, 출입구 이외의 경계부는 철제, 관목을 주로 한 펜스로 이루어져 있어 공원 내・외부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CCTV는 360°회전 가능한 구조로 98% 설치되어 있어 감시기능에는 문제 가 없었다. 공원 내 비상벨이 설치된 비율은 28%로 매우 낮았다. 셋째, 공원 내부 및 주위 이용 인원은 주・야간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나 조사 대상 공원이 덜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50%정도의 공원은 청결했지만 28%는 쓰레기 투기로 인해 불결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각지대에 대한 재정비, 양방향 자연적 감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주・정차 차량 단속,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비상벨의 설치, 지속적인 유지 관리 등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겨울철에 조사된 결과이므로 이용인원, 수목관리 상태 등 일부항목은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기에 향후 계절별 조사를 더한 전반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provided ways for safe parks from crime through field survey, based on the principle of park CPTED, of 50 children s park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bout 50 percent of the park caused blind spots and 50 percent of the park was blocked one’s view by cars parked around the park. Although the lighting was generally bright and properly high enough to ensure visibility,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was unsuitable (60%). Second, the gates were from one to three gates, and the boundaries consisted mainly of steel and shrubs so that the inside park from outside could be clearly identified. Since CCTV is installed with a 360° rotating structure, there were no problems with its monitoring function. The rate of emergency bells installed in the park was 28 percent, very low. Third,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park was low, indicating that the park under investigation was less active. Fourth, about 50 percent of the parks were clean but 28 percent were unclean due to trash speculation. Improving these problems will require readjustment of blind spots, installation of emergency bells to cope with emergencies, and ongoing maintenance.

      • KCI등재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김신원(Shin Won Kim),태석(Tae Seok Park),노희곤(Hee Gon N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도시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삶에 있어 정신적, 문화적 욕구의 충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는 과거에 비해 더욱 심화되었다. 조경 분야에서 외부 환경의 물리적 요소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한 골격은 토지, 식물, 정형적 요소 등이다. 도시생활에서 이용자가 향유하는 공간으로는 주로 자연이 우세한 자연적 공간, 인공적 요소가 가미된 자연적 공간, 인공성이 주가 되는 자연적 공간 등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사람들이 자연과 접하며 휴식하고 만나고 담소를 나누는 장소가 된다. 외부 공간은 실용적인 기능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인 아름다움도 지녀야 한다. 최근 들어 조경디자인 분야에서 공간을 구성하는데 질 높은 다양한 재료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시공원을 보면 특히 바닥포장과 관련해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 시대의 흐름 및 도시민의 요구에 부응하여 빠른 시일 내에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재료 선정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도시공원의 바닥포장은 이용자의 쾌적성, 안전성, 접근성 등에 영향을 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본 연구는 쾌적한 도시공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바닥포장의 조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선유도, 서울숲, 월드컵공원의 현황을 조사하여 바닥포장과 관련된 문제의 요인과 유형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공간의 질을 높이기 위해 바닥포장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품질 개선을 도모하며, 향후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수준을 제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공원 바닥포장에 대해 현황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바람직한 바닥포장 재료 및 색채를 선정하고 적절한 바닥포장 디자인의 변경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변경이 요구되는 현황을 조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시한 본 연구의 내용은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공간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cities continue to develop, people desire to fulfil their mental and cultural desires. So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city environment is more palatable than ever. The `outer-space` physical element in landscape architecture has its own role to play in satisfying this demand. The general frame of `outer-space` is mostly based on land, plants, and formative factors, regardless of size, fixedness, or location. The space for leisure us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is `natural space` including mountains, rivers, and seas. The second is `natural space with added artificial elements` such as parks and terraced land on the rivers, which are created to protect the natural space from probable damage and to make full use of the space as rest areas. The third is `purposeful space` such as squares and parks with environmental and human facilities. They are the spaces made for the purposes of resting, recreation, and/or indicating the border of inside or outside of buildings. The ideal function of the elements of outer space is not only providing beauty, but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atmosphere of limited space like parks.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norm, the design period tends to get shorter and shorter, and the recent trend is to use materials with high quality and diversity. However, the design of pavement in city parks has not been remodeled. Great improvements to facility maintenance, repair work, and plant preservation in parks have been made, but the issue of remodelling pavement has hardly been considered. Given that the type of pavement can give comfort or stress to the people visiting park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rk design.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reate surface pa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e specific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design criteria for creating user-responsive outdoor space,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drawn from site survey and analysis focusing on the surface pavement in city parks; and to make specific design recommendations, if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is research study focused on surface pavement in 3 city parks (Seonyu Island, Seoul Forest, World Cup Park) such as overall image, arrangement of pavement, design and pattern, material, and color. With this background, and with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will suggest design changes to pavement in order to make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park more satisfying and comfortable to its users. Finding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tudy could be used in the designing of future projects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users. The changes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and to improve the spatial quality of the city park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은하 ( Eun Ha Park ),최수정 ( Su Jung Choi ),오충현 ( Choong Hyeon Oh ),정부희 ( Boo Hee Jung ),이나연 ( Na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ㆍ교육적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concept of Eco-welfare emerg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ealthy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eco-welfare policy realization by conceptualizing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since national parks are appropriate places for eco-welfare to be optimally implemented. A pre-workshop and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 and the main elements to be included in ecosystem service.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defined as efforts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ecosystem and create harmony between ‘National Park Ecosystem Welfare’ and ‘National Park Human Welfare’.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policy, we identified the main elements of ecosystem servic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Park. These are comprised of 3 elements (food, fresh water and genetic resources) from supply service, all elements from regulating service and supporting/habitat service and 4 elements (aesthetic information, recreation-based ecotourism, healing, and knowledge systems with educational values) from culture servic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established, and its policy objectives and scope were suggeste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ction plans areand thereby realize the policy.

      • KCI등재

        박재삼 시의 존재론적 인식 연구 ― 후기시를 중심으로 ―

        주택 ( Park Ju-tae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박재삼은 195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이래 1997년 작고하기까지 모두 15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전통적인 서정에 뿌리를 두고 인간의 근원적인 정서인 허무와 죽음, 이별과 재생이라는 생의 방식을 노래하였다. 박재삼에서 보이는 타자는 대체로 자연이며 이 자연을 통해 주체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한다. 즉 자연의 속성과 이치를 통해 ‘나’에 대한 주체의 성찰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박재삼 시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자연의 본질적 속성에 주체의 시선을 일치시키고자 한 주체의 존재 인식을 살피고자 하였다. 후기시는 주체의 진술에 의지하여 타자인 자연과 동일성을 이루며 자연 자체의 본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미적 형상화 측면에서 형식의 완결성보다는 성찰적 사유와 관조의 미학 그리고 시간과의 상관성이 주조를 이룬다. 이 관점에서 주체는 밝음과 순수한 고요, 분열과 자기부정, 허무와 죽음, 부활과 영원과 같은 시적 세계를 보여준다. 박재삼의 후기시는 자연과 주체 사이의 성찰적 인식을 활성화시키는 한편 조화로운 질서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허무를 인식하지만 보다 큰 완전성으로 향하는 재생을 꿈꾸었다. 자연과 인간을 참된 것으로 인식하는 박재삼의 시는 이 점에서 무한에 이르는 긍정의 시학이라 할 수 있다. Since starting literary career at 『Contemporary Literature』 in 1955, Park Jae-sam published fifteen books of poetry until he passed away in 1997. Rooted in a traditional lyricism, Park Jae-sam wrote about fundamental emotions through the nihilism, death, separation and regeneration. In most of Park Jae-sam’s poems, the object is the nature, and through this nature the subject gains self-recognition. In other words, The subject makes self-examination through attributes and logic of the nature. This study on Park Jae-sam’s later poems deals with the self-recognition of the subject that tries to correspond its sight to intrinsic attributes of the nature. Park Jae-sam’s later poems try to grasp true essence of the natur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nature, based on the subject’s statements. Also, themes of introspective self-reflection, aesthetics of contemplation, and relationship with time predominate over the completion of the form as aesthetic form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subject shows a poetic world that is filled with brightness, innocent silence, division, and self-denial, nihilism, death, resurrection and eternity. Park Jae-sam’s later poems facilitate reflective thoughts between nature and the subject, and attempt to find a harmonious order. Also, while recognizing nihilism, they dream of regeneration that looks forward to a greater completion. Therefore Park Jae-sam’s poem that recognizes nature and human as true is a poetry that reaches to infinity.

      • SCIESCOPUSKCI등재

        동박과 접착력 향상을 위한 폴리이미드 합성 및 접착특성 평가

        재연(Jae Yun Park),종현(Jong Hyun Park),유민(Yu Min Park),노균(No Kyun Park),김윤호(Yun Ho Kim),원종찬(Jong Chan Won) 한국고분자학회 2017 폴리머 Vol.41 No.5

        차세대(5G) 디스플레이의 발전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량이 점차 증가하므로, 신호전송이 빠른 대역대인 고주파 대역을 사용한다. 신호전송을 위한 회로는 동박과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뤄진 유연동박적층판(FCCL)이 사용되는데, 고주파는 표면으로 신호가 흐르므로 두 소재 사이의 계면 조도를 낮춰 경로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저조도 동박을 사용하면 동박과 폴리이미드 수지와의 접착 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박과 접착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폴리이미드 구조를 설계하고, 아민계 실란 기능기를 도입한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다양한 구조의 폴리아믹산은 pyromellitic dianhydride(PMDA), 3,3"4,4"-biphenyltetracarboxylicdianhydride(BPDA), 4,4"-(hexafluoroisopropylidene) diphthalic anhydride(6FDA)와 m-tolidine(mTB), 2,2"-bis(trifluoromethyl)-[1,1"-biphenyl]-4,4"-diamine(TFMB) 등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이를 동박에 코팅하고 이미드화하여 FCCL을 제조하였다. 접착력에 대한 특성은 다양한 폴리이미드 구조에 따른 박리 강도 시험과 분리된 계면에 대한 AFM, SEM, 접촉각 측정으로 상관관계를 비교 해석하여 확인하였다. Since the development in mobile display requires high data transmission speed, there is a growing need in the development of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CCL)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at has a high signal propagation at high frequency range. The circuit for signal transmission uses FCCL which is composed of copper foil and polyimide film. The surface roughness of copper foil has to be low to reduce the pathway of signal because the current flows near the surface at high frequency range. However, such low roughness of the copper foil results in poor adhesion to polyimide, which is a problem that should be addressed. In this study, the poly(amic acid)s (PAAs) having various structures were synthesized and the silane functional group was introduced as end group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in the adhesion with the copper metal. Various polyimide structures were synthesized with the combinations of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4,4"-(hexafluoroisopropylidene) diphthalic anhydride (6FDA), 3-aminopropyltriethoxysilane (TEOS), 3,3",4,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BPDA), m-tolidine (mTB) and 2,2"-bis(trifluoromethyl) biphenyl-4,4"-diamine (TFDB). The synthesized PAAs were casted on the copper foil and were imidized for the fabrication of polyimide for FCCL.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polyimide and the copper foil was investigated by peel strength test and interfaci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with AFM, SEM, FTIR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