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람에 만족하십니까, 장소에 만족하십니까?

        박기덕 ( Park Kiduk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9 不動産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재개발로 인해, 공공임대주택 거주민들의 이주 후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주 경험이 그들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며, 저소득가구들에 미치는 주거이동의 효과와 주거 만족도, 근린의 특성에 관한 문헌들의 공백을 채우는데 기여한다. 기존의 공공임대주택거주민의 주거 환경에 관한 주관적 인지에 관한 연구들은 파편적이었고, 그 인과관계가 불투명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개념들을 하나의 종합적인 모델로 구성하고, 개인 혹은 가구 수준의 특성과 근린 특성에 대한 인지, 근린의 사회적 유대관계, 장소애착, 주거 만족도의 직,간접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거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주는 이주 경험과 과정의 복잡함을 이해하고자하는 노력은 주택정책의 새로운 다자인과 기존 정책들을 수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주거 만족도와, 근린특성에 대한 인지, 그리고 공공 임대주택의 재개발에 의해 퇴거되는 저소득 가구들의 주거이동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해 아래의 연구 질문들을 제기하였다: 1) 기존의 공곰임대주택에서 가지고 있던 주거 환경에 대한 인식들이 이주 후 새로운 주거환경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2)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애착이 근린특성에 대한 인지의 효과와 새로운 장소로 이주 후의 주거 만족도 사이에서 어떻게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것인가?, 3) 비자발적 이주가 새로운 장소로 이주 후 근린의 사회적 유대관계, 장소애착, 주거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미국 워싱턴 주 Bremerton시의 Westpark 재개발 사업의 세 시점 (이주 전 후향적, 이주 후, 그리고 그 이년 뒤) 을 포함한 두 차례의 설문조사 (이주 후 그리고 그 이년 뒤)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1) crosslagged effect modeling을 통해 어떤 변인들이 주거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2) 구조 방적식의 프레임워크를 통한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Westpark에서 이주한 높은 수준의 근린 사회적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던 거주민들은 비슷한 수준의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에 살던 거주민들의 근린 사회적 유대관계는 이주 후 시간이 지난 뒤 (이년 뒤)의 주거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영향은 이주 후의 높은 수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접적인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애착에 대한 중요한 결과는 주거 만족도와 근린의 사회적 유대관계가 장소애착에 양의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또한, 비자발적 이주와 이주 후의 긴 거주기간이 시간이 지난 후의 주거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새로운 근린에 성공적인 적응과 통합을 위한 이주 전후 지속적인 이사 상담 (mobility consultations)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개발 프로그램의 거주민들이 실질적으로 근린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근린내의 직장과 공공용지등의 접근성이 필요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근린에서 이웃과의 만남을 촉진시켜야 하며 이러한 정책적 시사점이 거주민들의 이주 후 주거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유대관계가 주거이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기덕(Kiduk Park),서원석(Wonseok Seo) 한국주택학회 2020 주택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거주민들의 이웃과의 유대가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그들의 주거이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공공임대주택의 사회적 혼합 주거정책이 실행된 이후 사회적 배제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곧 단지 내 주민 간 갈등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 높은 이주 의사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거만족도는 세입자들의 이주 의사에 대해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동시에 이웃 간 유대관계의 결과변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공공임대주택 내 이웃 간 유대관계와 주거이주 의사 사이에서 주거만족도가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웃과의 유대관계, 주거만족도, 주거이주 의사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유대관계가 주거이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공공임대주택 거주민들 간 유대는 주거만족도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그들의 이주 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만족도는 이웃 간 유대관계와 이주 의사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저소득 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거복지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With the social mixed housing policy of public rental housing implemented, the problem of social exclusion has been raised. This social problem brings about a conflict between residents, potentially increasing an intention to move out. In this process, residential satisfaction acts as a crucial determinant of resident mobility int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s is a key predictor of residential satisfaction. This supports tha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may act as an import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social ties and residential mobility intention. Based on the panel data from public rental housing in Seoul, we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rhood social ties and moving intention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has an influence on moving intention indirectly only through residential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residential welfare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residential stability for resid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 KCI등재

        주거지원 프로그램과 저소득층 가구의 건강: 건강상태인지와 보건의료비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박기덕(Park, Kiduk) SH도시연구원 2020 주택도시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주거지원 프로그램과 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정책적 평가를 통해,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혜의 여부와 그 종류가 저소득층의 건강상태 인지와 보건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의 한국복지패널조사 11차~13차(2016년~2018년) 표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영구임대주택 거주가 저소득층의 건강상태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와 민간주택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건강상태가 각각의 비교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량하게 나타났다. 셋째, 저소득층의 보건의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택의 성능 및 환경, 진나 1년간 이사 경험여부, 주거비 과부담 등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주거지원, 의료급여, 식품 바우쳐 프로그램등의 효과적인 연계를 통하여, 저소득층이 단기적으로는 긴급한 의료비용을 해결하고,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using assistance programs on low-income familie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pending through the policy evaluations. Using the three waves (11<SUP>th</SUP>-13<SUP>th</SUP>)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6-2018), the results showed: 1)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contributes to exacerbating low-income households’ health status. 2) The health status of residents in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households receiving housing allowances in private rental housing was relatively poorer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s. 3) The major factors impacting the health status and spending of low-income households are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stability, and if they receive housing allowances. The effective collaboration of housing assistance, medical allowance, and food vouchers programs may facilitate in low-income families investing in emergency health spending in the short-term, as well as engaging in healthy eating habits and exercise in the long-term.

      • SCOPUSKCI등재

        지방신경판과 근신경판을 이용한 선가공 자가신경이식이 신경재생에 미치는 효과

        조홍규,이동진,차진한,김양우,박기덕 大韓成形外科學會誌 200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7 No.1

        Most of the peripheral nerve injuries from crushing or compressive forces are accompanied by surrounding soft tissue injuries. As a result, poor vascularity due to fibrosis and sacr formation compromises regeneration of the grafted nerve. Vascularized nerve graft shows superior regeneration to that of a non-vascularized one. However, the human body provides few donor sites of vascularized nerve graft clinically. We presumed that the prefabricated myoneural or adiponeural flap, which include fabricated nerves wrapped with surrounding vascularized muscle or adipose tissue flap, influences superiorly on the regeneration of grafted nerve because that surrounding vasculatity indirectly enhances the vascularity of the grafted nerve itself. Thirty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 conventional reversed autogenous graft of the femoral nerve alone(n=10); 2) nerve graft entubulated with abdominal adipose tissue flap with a pedicle of inferior epigastric artery(n=10); 3) nerve graft entubulated with adductor muscle flap with a pedicle of the first muscular branch of the femoral artery(n=10). At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grafted nerves were examined by electrophysiologic study to check amplitudes an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ies, as well as histopathologic study for evaluation of regenerated nerve cells, fibrosis and neo-vascularization. Consquently, nerve regeneration was found in all three groups. Both the myoneural and adiponeural flap groups had better improved results of nerve regeneration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nerve graft group. The result of myoneural flap group was superior to that of the adiponeural flap group. The myoneural flap group showed minimal fibrosis and less prominent neovascularization around moderately regenerated nerves. The adiponeural flap group showed more severe perineural and endoneural fibrosis, as well as vascular proliferation around focal regenerated nerves. The results of myoneural flap group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nerve graft entubulated with a vascularized muscle flap (myoneural flap) as a substitute for vascularized nerve gra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