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광원,박찬민,이철원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일과 대칭되는 의미를 지닌 일상적 여가 경험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지한 여가 경험 단계가 아닌, 일상적 여가 경험을 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을 선별하여 이들로부터 그들이 경험하는 여가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일상적 여가참여자들은 일과는 다르게 시간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여가 시간을 부담없는 자유시간과 시간에 대한 기대감을 높게 가지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일상적 여가 참여자는 일과는 다른 몰입과 재미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일상적 여가 참여자들은 여가를 통해 타인에 대한 상호 이해와 관계 구축이 가능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는 다른 일상적 여가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여가 경험의 요인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파악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상대적으로 여가학 분야에서 간과되었던 일상적 여가 경험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casual leisure as reversed meaning of work and studying. For this purpose, the selected participants experiencing in casual leisure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hree conclusions were suggested. Firstly, casual leisur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erent time from work. Secondly, they experienced different psychological involvement and interest from work. Third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erent social relations from work in terms of understanding other leisure participants and social bon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ing casual leisure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leisure for the people suffered from leisure time constraints. In addition, this leads to new research direction related to the supporting significant casual leisure experience different from work experience.
출소자대상 직업훈련과 심리상담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기낙인의 매개효과 검증
박광원,공정식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9 법무보호연구 Vol.5 No.1
법무보호 이념은 형의 집행유예·선고유예 또는 가석방 처분이나 형기의 종료 등으 로 교정시설로부터 출소한 자에게 정신적·물질적 원조를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적응 할 수 있는 자원을 마련토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범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이다. 대부분의 출소자들은 생활 취약계층이고, 출소 후 가족해체를 경험하는 비율이 높다. 이 같은 상황에서 출소 후 활용할 직업기술과 능력이 부족한 경우 생계유지의 어려 움으로 자신에게 해를 입히는 극단적 선택이나 재범을 저지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 에서 출소자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 및 재사회화를 위해서 경제적 안정성과 직업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출소자의 취업과 직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에 비하여 직업에 미치는 영향요인 들을 밝히는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국내에서 출소자의 직업과 관련된 연구들은 문헌연구와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는 출소자에 대한 접 근이 어려운 것도 있지만,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부족과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들이 성공적으로 취업하고 직업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법무보호의 목적인 재범방지와 사회적응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 다. 이에 취업에 성공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하고 타인과 원만하게 교류 하여 직업적응을 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직업적응으로 정의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그 경로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소자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직업훈련 만족도, 심리상담 만족도, 직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자기 낙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업훈련 만족도와 심리상담 만족도는 직업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자기낙인이 투입된 3단계 모형에서 심리상담 만족도의 영향은 감소하 고, 직업훈련 만족도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직업훈련 만족도와 심리상담 만족도가 본 연구의 매 개변수인 직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 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업훈련은 자기낙인을 제외한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 적 지지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상담의 경우 직업적 자기효능감, 사 회적 지지, 자기낙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최종적으로 직업훈련과 심리상담 만족도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적 자 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자기낙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업훈련 만 족도는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지만, 자기낙인은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 리상담 만족도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낙인을 매개하여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지만,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출소자의 직업적응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hilosophy of rehabilitation is to provide mental and physical aid to those who have been released from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due to probation, suspended sentence, suspension of sentence, parole, or after sentencing. This helps released convicts receive resources to resocialize to society and prevent recidivism. Most of the released convicts are vulnerable to economic conditions and have a high rate of experiencing family dismantling after their release. In such a situation, if they have a lack of skills and abilities to sustain their lives after the release, they would not have a choice but to commit other crimes or harm themselves due to difficulties in maintaining a living.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economic stability and occupation for the released convicts has been emphasized for the successful reintegration and resocialization.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and occupation for released convicts, there is limited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ccupation empirically. In Korea, studies related to the occupation of released convicts had been conducted primarily by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This is because released convicts are restricted to contact, but also there is a lack of social attention and interventions for them.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preventing recidivism and resocialization of the released convicts by helping them to get occupation. In this circum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and pathways of Job Adaptation in order to achieve job success, fulfilling responsibilities and having the ability to appropriately adjust to work with other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variables,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occupation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self-stigma on Job Adaptation of released convicts are examin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daptation. When the mediating variables, which are occupat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and self-stigma, are added in the three-step model, however,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decreases, and th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was not e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occupation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and self-stigma, which are the mediating variables of this study, a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is found to affect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s except self-stigma,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and self-stigma. Finally,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Job Adaptation of the released convicts are verified having mediating effects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and self-stigma. To put it specifically,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affects on Job Adaptation through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s, but self-stigma shows that mediating effect i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affects on Job Adaptation through social supports and self-stigma, but occupational self-efficacy h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synthetically, which suggests poli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Job Adaptation of the released convicts.
박광원,최종근 한국자원공학회 200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1 No.5
Heterogeneous aquifers can be characterized by various geostatistical methods and inverse modeling methods with limited core and well data. In this paper, simulated annealing method is applied to find the permeability field that satisfies hydraulic head and breakthrough data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wells. For an effective forward modeling, flow is simulated by a finite difference method with conjugate gradient solution method, and tracer transport by streamline simulation. In comparison with simple Kriging, this approach gives more reliable permeability distribution and consequently better results on predicting the contaminant transport. Distribution of monitoring wells i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for aquifer characterization. For an effective aquifer characterization, monitoring wells should be placed to cover as much as flow area rather than uniform distribution in the system of interest. Multiple wells on the same streamline path would not help for a better aquifer characterization. 불균질한 대수층을 특성화하기 위하여 제한된 시추 코어 자료, 정호 자료들로 지구통계 기법 및 역산 모델링 등의 방법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개의 관측정에서 측정한 수두 자료와 반응성 없는 추적자의 농도 변화를 바탕으로 담금질 모사법을 통해 참조필드의 투수율을 추정하였다. 효과적인 전위 모델링을 위하여 CG(conjugate gradient)법을 이용하여 행렬방정식을 풀어 유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반응성 없는 추적자의 거동 모사를 위해 유선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였다. 크리깅에 의한 결과와 담금질 모사법으로 추정한 결과를 비교하면, 대수층에서의 오염물 거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담금질 모사법이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함을 알 수 있었다. 동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는 대수층 특성화를 위해서는 관측정의 분포가 큰 영향을 미친다. 관측정이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보다 많은 유량이 관측정을 통과하도록 분포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인자이다. 동일 유선 상에 여러 개의 관측정을 분포시키는 것은 역산 결과의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65-nm CMOS 공정을 이용한 MOM 캐패시터 설계 및 분석
박광원,전상근 한국전자파학회 201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0 No.10
Three types of metal–oxide–metal capacitors fabricated in a 65-nm CMOS process are compared. The HPP structure utilizing only the vertical electric field exhibits a higher capacitance density of 0.2, 0.64, and 0.76 fF/μm2 as the number of stacked metal layers increase to four, six, and eight, respectively. The VPP structure, which utilizes only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exhibits a relatively small capacitance density of 0.27 fF/μm2. In contrast, the PW structure us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lectric fields exhibits the highest capacitance density of 0.88 fF/μm2. In the given CMOS process, it is observed that the HPP structure with many metal layers and the PW structure are advantageous at millimeter-wave frequencies, offering a suitable replacement for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