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lexander Hamilton의 King's Colege에서의 修學에 관한 재조명
朴光宣 全北大學校 1996 論文集 Vol.41 No.-
Alexander Hamilton's personality appears from all sources of information to indicate a mixture of aggressive force and infinite tenderness and amiability. The former led infinite tenderness and amiability. The former led him always to speak mind freely perhaps too freely for his own comfort when he knew he was right, and when he had a wrong to master or disclose, or an end to accomplish. This Hamilton did with an unselfishness and absolute fixity of purpose, and he often wondered why others did not think and act as he did, the righteous necessities of the case seemingly being so apparent. The energy of his nature is often shown in his letters, some of which are full of resentful impatience. He never hesitated to assail the corrupt wherever they were to be found, to quickly fetter out abuses and to publicly expose them. For this reason he made numerous bitter enemies, who did not hesitate on repeated occasion to try to ruin him. In a way he was at times tactless,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he rarely erred in judgment. No man whose object is personal glory will sacrifice his popularity to his opinions, and this was Hamilton's constant habit. At no great crisis of his life do we ever find him engaged in considering whether a certain course of action will or will not conduce to his personal aggrandizement. He belonged to the class of men with whom the accomplishment of their object is their most powerful motive. In the pursuit of renown he hardly rose above the average of public characters, but his desire for achievement was a passion.
Farewell Address의 內容에 關한 檢討 : "Great Rule of Non-Entanglement" 條項을 中心으로 A Statement of Empire
朴光宣 전북대사학회 1979 전북사학 Vol.3 No.-
미국의 건국 원훈들로 알려진 사람들 중에서는 유명한 저술이나 글을 남긴 이들이 많다. 후세에 기억될 만한 다작을 쓴 Benjamin Franklin의 글 중에서는 무엇보다도 「Poor richard's Almanac」의 서문이 유명하고, Thomas Jefferson하면 그가 주로 기초한 「독립선언서」가 바로 연상된다. 한편 Alexander Hamilton의 가장 두드러진 저술로는 「The Federalist」에 들어 있는 그의 논문과 아울러 의회에 제출한 일련의 재정계획서를 들 수 있다. James Madison의 경우에 있어서는 헌법제정회의에 제출한 정부 구성계획서가 있다. George Washington의 가장 중요한 글로는 그 내용이나 후세에 끼친 영향으로 볼 때 Farewell Address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Farewell Address의 내용에는 구체적인 사건이나 사실이 지칭되어 있지않고 모호한 점이 많이 때문에 정치가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사가들까지도 그것이 제시하는 의미, 특별히 대외정책에 관한 대목에 대해서 여러 이견을 내세우고 있다. 소위 "Great Rule of Non-Entanglement"는 Washington이 후세를 향해서 말하고 있는 점이라는데 대해서 학자들의 견해가 상당히 일치되고 있지만, Farewell Address에서 이 대목을 살펴보면 그러한 주장의타당성을 얼른 확인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해서 확연히 부인할 수도 없다. 더 나아가 이 대목에서 Washington이 의도하고 있는 대상이나 범주도 매우 모호하다. 이러한 면에 관해서 Albert K. Weinberg는 Farewell Address의 어구 자체가 원래 모호한데도 불구하고 여러 사가들이 그 의미를 명묘하게 밝혀보려고 하는 일종의 환영적인 시도를 해오고 있다고 지적한다. Weinberg가 말한 바와 같이 Farewell Adress 내용 자체가 불분명한 이유 외에 더 미국 사가들은 특히 자기가 살고 있는 시대의 사상이나 문제의식, 심지어는 편견에 따라 과거사를 해석하는 성향이 짙기 때문에 Farewell Address를 둘러싼 해석이 다양하다. Farewell Address에서 Washington은 파당심, 분파작용, 지역 간의 적대감등에 대해 언급한 후에 다음과 같이 대외정책의 요체를 말하고 있다. The Great Rule of Conduct for us in regard to foreign nations is, in extedning our commercial relations, to have with them as little political connection as possible. So far as we have already formed engagements, oet them be fulfilled with perfect good faith. Here let us stop. Farewell Address는 발표되자마자 미국 외교의 중요한 지침서가 되었다. 1799년 Washington이 사망한 후, 19ㅓ세기 전반에 걸쳐 그의 전기 작가들은 그를 신화적인 인물로 부각시켰으며 그의 저술을 절대적인 진리로 받아들였다. 따라서 Washington 미국 국민들에게 최종적으로 남긴 글인 Farewell Address에 특별한 관심이 모아진 것은 어느 면에서는 당연한 결과였다. 19세기에 있어 미국 국민은 자국의 발전에 우선 관심을 집중했기 때문에 세계문제에 공식적으로 간여하기를 상당히 꺼렸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자기들의 입장을 옹호해 줄 수 있는 출처를 외국과 정치적 동맹을 맺지 말라는 Washington의 경고에서 찾았다. 19세기말까지 대다수의 외교관과 사가들은 초대 대통령의 고별사를 미국의 고립주의정책의 고전적인 문헌으로 간주하였다.
職邦派(Federalist party)와 共和派(Republican party)의 思想과 政策에 관한 史學史的 考察
朴光宣 全北大學校 1984 論文集 Vol.26 No.-
Every generation of American historians has reexamined and reinterpreted the past in terms of its own time. One of the most compelling reasons to do so has been the perennial tendency of scholars to reinter-pret the past in the light of their own prevailing ideas, prejudices, and problems. Changing interpretations resulted also from the changing structure of the American historical profession. The Federal era-1789 to 1829-forms a distinct period in American history. In the four decades after the framing of the new Constitution, Americans set up a functioning federal system, organized their first political parties, and laid the foundations of their foreign policy for years to come. Historians have been so impressed by these formative influences that some of them attributed to the Federal era an even greater significance by viewing it as a microcosm for all of American history. To certain historians the political battle between Alexander Hamilton and Thomas Jefferson in the 1790's marked the beginning of an ideological and political split that shaped the entire future course of the United State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two criteria which have shaped the writer's point of view are: what measures were necessary to promote the growth, prosperity, and cohesion of the United States; and what needed to be done to protect the individual in the exercise of his constitutional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