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라북도 임실군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박경욱 ( Kyung Uk Park ),변무섭 ( Mu Sup Beon ),오현경 ( Hyun Kyung Oh ),유주한 ( Ju Han You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to the habita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lora,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of Rhodotypos scandens habitat.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131 taxa including 57 families, 99 genera, 107 species, 1 subspecies, 17 varieties and 6 forms. The life forms grouped as in the follows; the megaphanerophytes(MM) were 21 taxa, 24 taxa of the microphanerophytes(M), 30 taxa of nanophanerophytes(N), 6 taxa of chamaiphytes(Ch), 20 taxa of hemicryptophytes(H), 17 taxa of geophytes(G), 12 taxa of therophytes(Th) and 1 taxa of hydrophytes(HH). The present conditions of communities were 8 types including Zelkova serrata, Quercus aliena, Ulmus parvifolia, Rhamnella frangulioides, Castanea crenata, Albizia julibrissin, Celtis sinensis and Robinia pseudoacacia. In case of the dominant species by layers, the tree layer species were Zelkova serrata, Quercus aliena, Ulmus parvifolia, Castanea crenata, Albizia julibrissin, Celtis sinensis and Robinia pseudoacacia, and the subtree layer species were Rhamnella frangulioides, Q. aliena, Z. serrata, A. julibrissin, U. parvifolia and Broussonetia kazinoki. The shrub layer species was Rhodotypos scanden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versity index, H’ was from 1.691 to 2.610, from 2.197 to 3.466 in H’max, from 0.646 to 0.903 in J’ and from 0.097 to 0.354 in D. In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oil, there showed that acidity was 5.6, 0.5dS/m of electrical conductivity(EC), 59.1mg/kg of available P2O5, 49.7% of organic matter content, 0.4cmol+/kg of exchangeable K+, 13.5cmol+/kg of exchangeable Ca2+, 3.3cmol+/kg of exchangeable Mg2+.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양파김치 메탄올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활성

        박경욱(Kyung-Uk Park),김재용(Jae-Yong Kim),조영숙(Young-Sook Cho),이성태(Sung-Tae Yee),정창호(Chang-Ho Jeong),강갑석(Kap-Suk Kang),서권일(Kwon-Il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9

        양파 및 양파김치에 대한 항암 및 면역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파 및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은 aflatoxin B₁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항돌연변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파김치 첨가군이 양파의 첨가군보다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양파 및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은 A549 및 MCF-7 암세포주에 처리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1,000 ㎍/mL 농도에서 모두 20% 이상 그 성장을 억제하였다.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고, 양파 추출물보다 더 높은 증식을 유도하였다. 양파 및 양파김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대식세포주에서 NO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역시 양파김치 추출물이 양파 추출물보다 더 많은 NO을 생성량을 유도하였다. Antitumor activities of onion methanol extract (OME) and onion Kimchi methanol extract (OKME) were investigated by using aflatoxin B₁-mediated Salmonella typhimurium mutagenicity and the model of cytotoxicity on the cancer cell lines. Their immune activities were also investigated by using mouse spleen cells and macrophage cell lines, respectively. OME and OKME showed the enhanced antimutagenic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particular, the activity of OKME was higher than that of OME. OME and OKME decreased over 20% of the proliferation of the A549 (lung cancer cell) and MCF-7 (breast cancer cell) cell line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1,000 ㎍/mL.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and the NO production in marcrophage cell lines treated OME and OKME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s, and their activities of OKME were higher than those of OME.

      • KCI등재

        대두박으로부터 분리한 식용 조사포닌의 항암 및 면역활성

        박경욱(Kyung-Uk Park),위재준(Jae-Joon Wee),김재용(Jae-Yong Kim),정창호(Chang-Ho Jeong),강갑석(Kap-Suck Kang),조영숙(Young-Sook Cho),서권일(Kwon-Il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두박으로부터 HP-20 수지를 이용하여 식용조사포닌을 분리한 후 이들에 대한 항암 및 면역 활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식용사포닌은 1,000 ㎍/mL의 농도에서 A-549, MCF-7 및 SW480과 같은 암세포주의 성장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폐암세포주에 1000 ㎍/mL의 농도를 사포닌을 첨가였을 때 세포의 형태가 심하게 변화되었다. 사포닌은 생쥐의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면역세포에 대하여 1 ㎍/mL의 농도까지는 대조구에 비하여 그 증식을 유도하였으나 그 농도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 사포닌의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함량이 높게 생성되었다. To develop a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edible crude saponin was isolated from soybean cake using HP-20 resin and its anticancer effect and immuno-a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sapon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such as A549, MCF-7 and SW480 at a concentration of 1,000 ㎍/mL. Morphological changes was observed in the A549 cells surface treated with the saponin of 1,000 ㎍/mL concentrati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treated with saponin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s until the concentration of 1 ㎍/mL bu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at. The NO production in marcrophage cell lines (RAW 264.7) treated with saponin wa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s.

      • KCI등재후보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

        박경욱(Kyung-Uk Park),오현경(Hyun-Kyung Oh),김영하(Young-Ha Kim),양주영(Ju-Yung Yang)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4

        본 연구는 부안댐 건설로 인해 수몰위기에 처해있는 미선나무 개체를 이식한 지역으로 현재 변산반도국 립공원 특별보호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능하며,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에 있는 천연기념 물(제370호) 군락지보다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도 매우 양호하여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 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물상은 21과 33속으로 총 35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미선나 무는 환경부의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및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미선나무군락지 내의 군집구조는 2개의 조사구를 분석하여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 자귀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팽나무, 비목, 신나무 순으로, 자귀나무군락에서 산뽕 나무, 신나무, 팽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미선나무의 중요치는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3.7%, 자귀나무군락에서 6.0% 로 분석되었다. 미선나무 개체군이나 잎의 형태적 특성 또한 2개의 조사구에서 채취하거나 분석하였다. 이중 개체군은 조사구 1번에서 43개체, 조사구 2번에서 34개체를 정밀 분석하였으며, 미선나무 잎 60개를 채취하여 형태 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엽장은 73.0 mm, 평균 엽폭은 35.0 mm, 평균 엽병장은 4.9 mm 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ea which Abeliophyllum distichum in danger of being submerged because of Buan-dam construction were replanted to analyze vegetation and growing condition. This area is located in specially preserved area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 this area is not open to the public. Abeliophyllum distichum  growing in this area are growing more than a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ocated in Cheongrim, Jungkye-ri, Byeonsan-myeon, Buan-gun and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370) and growing conditions for  Abeliophyllum distichum are also better. As a result of study; we found that there are 21 families, 33 genus, 35 taxa and among these species the Abeliophyllum distichum are legally preserved species (Grade II)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endangered species of rare species from standards of IUCN standards and also one of endemic plants in Republic of Korea. The structure of this community is classified as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from investigating 2 enumeration districts. The hierarchy of importance value is in the order of Celtis  sinensis, Lindera erythrocarpa and Acer ginnala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in the order of Morus bombycis, Acer ginnala and Celtis sinensis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The percent of importance value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3.7%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6.0%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and leaves shape, 43 individuals from first district, 34 individuals from second district and 60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are closely examined. As a result, the average leaf length is 73.0 mm, the average leaf width is 35.0 mm and the average petiole length is 4.9 mm.

      •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

        오현경(Hyun-Kyung Oh),김영하(Young-Ha Kim),양주영(Ju-Yung Yang),박경욱(Kyung-Uk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부안댐 건설로 인해 수몰위기에 처해있는 미선나무 개체를 이식한 지역으로 현재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능하며,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에 있는 천연기념물(제370호) 군락지보다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도 매우 양호하여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물상은 21과 33속으로 총 35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미선나무는 환경부의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및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미선나무군락지 내의 군집구조는 2개의 조사구를 분석하여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 자귀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팽나무, 비목, 신나무 순으로, 자귀나무군락에서 산뽕나무, 신나무, 팽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미선나무의 중요치는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3.7%, 자귀나무군락에서 6.0% 로 분석되었다. 미선나무 개체군이나 잎의 형태적 특성 또한 2개의 조사구에서 채취하거나 분석하였다. 이중개체군은 조사구 1번에서 43개체, 조사구 2번에서 34개체를 정밀 분석하였으며, 미선나무 잎 60개를 채취하여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엽장은 73.0 mm, 평균 엽폭은 35.0 mm, 평균 엽병장은 4.9 mm 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ea which Abeliophyllum distichum in danger of being submerged because of Buan-dam construction were replanted to analyze vegetation and growing condition. This area is located in specially preserved area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 this area is not open to the public. Abeliophyllum distichum growing in this area are growing more than a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ocated in Cheongrim, Jungkye-ri, Byeonsan-myeon, Buan-gun and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370) and growing conditions for Abeliophyllum distichum are also better. As a result of study; we found that there are 21 families, 33 genus, 35 taxa and among these species the Abeliophyllum distichum are legally preserved species (Grade II)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endangered species of rare species from standards of IUCN standards and also one of endemic plants in Republic of Korea. The structure of this community is classified as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from investigating 2 enumeration districts. The hierarchy of importance value is in the order of Celtis sinensis, Lindera erythrocarpa and Acer ginnala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in the order of Morus bombycis, Acer ginnala and Celtis sinensis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The percent of importance value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3.7%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6.0%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and leaves shape, 43 individuals from first district, 34 individuals from second district and 60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are closely examined. As a result, the average leaf length is 73.0 mm, the average leaf width is 35.0 mm and the average petiole length is 4.9 mm.

      • 진안 성주봉 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오현경 ( Hyun Kyung Oh ),한윤희 ( Yun Hee Han ),박경욱 ( Kyung Uk Park ),변무섭 ( Mu Sup Beon ),강병선 ( Byung Sun Kang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1 No.1

        The flora of the 20m×20m (400m2) 18 inner quadrat of Seonjubong, Jinan were listed 105 taxa; 41 families, 76 genera, 95 species, 9 varieties and 1 form. Divided into 105 taxa; woody plants were 60 taxa (57.1%) and herbaceous plants were 45 taxa (42.9%).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0 taxa; Acer palmatum in class Ⅲ, 2 taxa (Viola orientalis, Caryopteris incana) in class Ⅱ, 7 taxa; Pinus koraiensis (Planted species), Alnus hirsuta (Planted species), Quercus variabilis, Ilex macropod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Hosta capitata in class Ⅰ. A total of 8 plant communities; natural forests were classified to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dentat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artificial forests, Pinus rigid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Therefore, natural forests having mostly the present time stable ecosystem maintain of area, hereafter natural forests did not injury to needing conservation or management counterplan of Seonjubong, Jinan.

      • 서천 국립생태원 조성부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분류

        오현경 ( Hyun Kyung Oh ),박경욱 ( Kyung Uk Park ),김영하 ( Young Ha Kim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1 No.2

        The vascular plants on the National Ecological, Seocheon were listed 235 taxa; 70 families, 161 genera, 210 species, 23 varieties and 2 forms. Divided into 235 taxa; woody plants were 86 taxa (36.6%) and herbaceous plants were 149 taxa (63.4%).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Indigofer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etc.).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2 taxa (5.1% of all 235 taxa of vascular plants); Melica nutans in class Ⅱ, 9 taxa (Quercus variabilis, Ulmus parvifolia, Stellaria filicaulis, Semiaquilegia adoxoides, Ilex macropoda, Euonymus japonica, Gynostemma pentaphyllum, Vaccinium oldhami, Microstegium japonicum) in class Ⅰ.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ed sites were 9 families, 19 genera, 25 taxa (Rumex acetocella, Chenopodium ficifloium, Amaranthus patulus,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apetalum, Robinia pseudo-acacia, Ailanthus altissima, Aster subulatus, Dactylis glomerata,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0.6% of all 235 taxa of vascular plants.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낙남정맥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오현경 ( Hyun Kyung Oh ),박경욱 ( Kyung Uk Park ),김동필 ( Dong Pil Kim ),오구균 ( Kyoon Koo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본 연구는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 식물상을 조사하여 식물상의 유형을 분류한 후 이중 희귀식물의 보전방안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관리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낙남정맥의 식물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 하였다.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 식물상은 110과 355속 523종 4아종 115변종 27품종으로 총 669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중점조사지역별 식물상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94과 438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90과 372분류군, 천주산 지역에서 90과 359분류군, 무량산 지역에서 85과 319분류군, 길마재 지역에서 80과 268분류군, 신어산 지역에서 78과 268분류군 순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중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이 확인되었으며, 길마재에서 790.4봉 중간지점의 마루금사면부에서 20여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구간의 희귀식물은 왕벚나무(식재), 거문도닥나무, 세뿔투구꽃, 산닥나무, 시호, 왜박주가리, 측백나무(식재),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희귀식물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5분류군, 길마재와 천주산 지역에서 각각 3분류군, 무량산과 신어산 지역에서 각각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개족도리풀, 은사시나무(식재),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고광나무, 해변싸리, 민땅비싸리, 노각나무, 개나리(식재), 오동나무,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벌개미취, 분취, 지리대사초, 좀비비추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특산식물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1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천주산 지역에서 11분류군, 무학산 지역에서 9분류군, 길마재와 무량산 및 신어산 지역에서 각각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에 세뿔투구꽃, 왕벚나무(식재) 등 2분류군, Ⅳ등급에 측백나무(식재), 등, 가는쇠고사리 등 3분류군, Ⅲ등급에 노각나무, 갈퀴아재비, 금족제비고사리, 거제수나무, 좀조팝나무, 낭아초(식재), 꽝꽝나무, 단풍나무, 차나무(식재), 팔손이, 산앵도나무, 왕쥐똥나무, 둥근배암차즈기, 호자덩굴, 산기장 등 15분류군, Ⅱ등급에 털괭이눈, 돌양지꽃,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노랑제비꽃, 큰참나물, 층꽃나무, 곽향, 붉은병꽃나무 등 9분류군, Ⅰ등급에 개족도리풀, 좀비비추, 산닥나무, 왜박주가리, 이팝나무, 쇠고사리, 참쇠고비, 홍지네고사리, 참꿩의다리, 잣나무(식재), 홀아비꽃대,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참느릅나무, 푸조나무, 돌뽕나무, 천선과나무, 나도물통이, 범꼬리, 큰꽃으아리, 투구꽃, 피나물, 아구장나무, 황매화(식재), 산돌배, 실거리나무, 큰여우콩, 회양목, 개산초, 백선,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거지덩굴, 피나무, 동백나무, 돌외, 오갈피나무, 개구릿대, 정금나무, 자금우, 광나무, 애기골무꽃, 빗살서덜취, 왕미꾸리광이, 민바랭이새, 큰천남성, 흰여로, 일월비비추, 진황정, 퉁둥굴레, 금난초 등 55분류군으로 도합 8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3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31분류군, 천주산 지역에서 28분류군, 길마재와 무량산 지역에서 각각 25분류군, 신어산 지역에서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털갈퀴덩굴, 붉은토끼풀,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미국실새삼, 땅꽈리, 뚱딴지, 돼지풀, 큰도꼬마리,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붉은서나물, 개쑥갓,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울산도깨비바늘, 별꽃아재비, 큰금계국, 코스모스, 서양민들레, 방가지똥, 큰이삭풀, 오리새, 큰김의털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조사된 전체 669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귀화율(NR)은 4.8%에 해당되며, 도시화지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21분류군(이유미 등, 2011)의 10.0%에 해당된다. 이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여항산과 천주산지역에서 가장 많은 18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량산과 무학산 및 신어산에서 각각 14분류군, 길마재에서 1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유형 중 약관심종 이하를 제외한 희귀식물의 보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는 팥꽃나무과(Thymeleaceae)식물로 우리나라 남해안 해안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IUCN 평가유형 중 멸종위기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무학산 산줄기인 대곡산 마루금에서 수십~수백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거문도에서 처음 확인되어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되었지만,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Broussonetia spp.) 종류가 아닌 팥꽃나무과 산닥나무 종류임으로 이름을 정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거문도산닥나무 내지 거문산닥나무가 적절한 이름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알려진 후 자생지가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으며, 추가 자생지 확인 및 기존 자생지의 보존이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다. 세뿔투구꽃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한국특산의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본 낙남정맥에서는 길마재 지역의 마루금 사면부에서 20여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경북 구미 금오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금오오돌또기 내지 꽃색이 노란빛이 도는 보라색으로 미색바꽃이라고 불러졌다. 길마재를 제외한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에서 발견되었다면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으나, 낙남정맥 분기점인 지리산 영신봉에서 삼신봉의 산줄기에서 남하한 길마재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큰 가치는 없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법정보호종임으로 추가적인 정밀조사와 장기적인 모니터링은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다. 이 식물은 독성이 강하나 약초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법정보호종이면서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임으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인근 주민들이 참여하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의 체계를 구축한다면 이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현자생지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나 생채 채집 등의 후속 조치가 필요한 식물이다.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는 팥꽃나무과(Thymeleaceae) 식물로 우리나라 남해안 해안산지나 강화도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신어산 지역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신어산 자락에 있는 은하사, 영구암 등의 사찰에서 과거에 심었던 것이 야생상태로 번진 후세개체로 보여진다. 이 식물은 경남 남해 화방사 주변에 천연기념물(제152호)로 지정된 자생지가 있으며, 강화도 전등사 주변에도 자생하는 개체가 많이 있다. 내륙쪽으로도 월출산에 있는 사찰 인근산지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개체나 면적은 풍부한 편이기 때문에 현 자생지의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호(Bupleurum falcatum)는 산형과(Umbelliferae) 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본 낙남정맥에서는 오곡재에서 여항산 방향의 마루금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지만 개체나 자생지가 많지 않으며, 특히 분포한다고 해도 개체수가 현저하게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현 자생지의 보전이 매우 중요하다. 본 식물과 유사한 개시호(B. longeradiatum)는 직립하여 자라지만 시호는 뿌리의 활착에 비해 지상부의 줄기와 잎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옆으로 처지는 경향을 보인다.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생체와 종자 채집을 통한 현지외 보전이 요구되는 식물이다.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는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산지에서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여항산과 천주산에서 여러개체가 확인되었다. 특히 여항산에서는 마루금을 따라 여러개체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천주산에서는 2개체만이 확인됨 주로 탐방로를 따라 빛이 들어오는 입지환경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자생지 보전과 더불어 후세개체 증식 등의 보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식물이다. 또한 귀화식물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과 미국 쑥부쟁이의 관리방안은 백두대간 논문에서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