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충북지역 독립운동가와 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과 활용

        박경목(Park, Kyung-Mok)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13 중원문화연구 Vol.20 No.-

        This study discovered new independent activists in Chungbuk area and examined the preservation status of independent movement sites in Chungbuk by field visit together with the consideration of utilization of those sites. First of all, 69 new independent activists in Chungbuk were discovered by analyzing prison record analysis. There were engaged in 3·1 Movement, educ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t movement. It is recommended to study further on their activities specifically to expand the scope of independent movement history of Chungbuk. It was followed by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of independent movement. The status of preservation was overall good. But, some historical sites have insufficient explanation, and the monument tended to be uniform with birthplace and tombstone. And the movement using a torch suggested by Jo, Dong-Sik of Chungbuk Cheongwon needs more clarification as the accurate location was not verified. Finally, on the use of historical sites, it demonstrates there is wide need on creative on-the-spot experience study. But, as it is impossible to consider all sites in Chungbuk, a humanistic investigation on cultural original form for memory and commemoration must be made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make a storytelling on historical sites, and culture contents so that everyone can access and tell easily. After such preliminary work, it needs to activate utilization in the local society in cooperation with school and education office in-local. To attract external tourists, it needs to open programs including experience program, performance, music concert and programs with military unit. To encourage participation by the public on historical sites, it needs to develop camping using parking lot, promotional policy in line with local special products and food and allied tour development with attractive resources. As such, it would develop identity of Chungbuk area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local society.

      • 청양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활용 방안

        박경목(Park Kyung-mo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0 충청문화연구 Vol.5 No.-

        With the recent extension of leisure time for people from 5-working days and others and interest on history and culture, each local government has developed the tourism industry as the future core industry. From the major resources, the issues to facilitate on historic and cultural relics tha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become a key now. A great role is undertaken within this flow is the historic site for independent movement of modern time to represent the recent regional sentiment. Cheongyang also is the area undertaken for representative volunteer military work during the Daehan Empire era and massive 3.1 Independent Movement during the colonialization period with famous leaders in civil militants. Therefore, it is urgent to seek for plans to facilitate the relevant historic site for independent movement.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a few historic sites, most have insufficient management with almost no existence of facilitation plans. Therefore, through their historic site for independent movement, the plan to publicize the historic site for independent movement is shown with the linkage with the tourist industry to be the foundation of the local advancement. As a part thereof, it indicates to prepare the conditions through the formation of emotional consensus of local residents on conservation and facilitation of the historic site, linkage with the surrounding tourism resources, establishment of plan to fit into the local situation and the like. Mter preparing the conditions, it presented the plan on arranging short-term youth experiment program operation, information personnel and major historic site and others. On mid-term and long-term basis, it proposed to build up major landmarks in the special area to represent the museum establishment and independent movement of Cheongyang. In this proces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local scale are considered to present the method for active facilitation of existing facilities, such as, accommodation facilities already made around and closed school and others. Through this process, the facilitation of the historic site for independent movement of the Cheongyang area would be the creative activities for the local advancement by establishing the historic implication of the Cheongyang area and strengthening the local competitiveness.

      • 계룡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활용과 호국보훈문화 센터 건립

        박경목(Park, Kyung-mo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3 충청문화연구 Vol.11 No.-

        This study examines these of historic sites of independent movements in Gyeryong-si, Chungcheongnam-do and establishment of patriots and veterans culture center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historic sites and tourism resources. Located under Gyeryong Mountain, Gyeryongsi was called as ‘Sindoan’ by being selected as a new capital of Joseon right after the foundation by King Taejo Lee, Seong-gye. In fact, there was about a year of royal palace construction work, but the plan of relocation of capital was cancelled. Since 1910, many national religious leaders gathered to escape the colonial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ccordingly, many independent movement activities carried out independent movements with this region as its center. After the liberation, the head quarters of Army, Navy and Air Force were installed in 1989 playing as a military city and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In 2003, the city was formally promoted as ‘Gyeryong-si.’ Currently, it is the smallest city in the country with 60.7㎢ in size and population of 41,550. Because of such historic reasons, there are many historic sites of independent movement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also many remains related on the capital relocation of Joseon, and shrines of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Representative sites include house site of Han, Hoon who organized Gwangbokdan, Gwangbokdan death-defying band monument, house site of Bae, Young-jik who carried out March 1st Independent Movement, Samsindang as the sphere of activity of Jeong, Won-kang, an national religious leader, and Sindoan foundation stone. Meanwhile, head quarters of Army, Navy and Air Force were installed in 1989 in Gyeryong-si, and ‘Gyeryongdae’ and ‘Gyeryongdae monument’ are used for national security tourism resourc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s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t movements, historic remains and identity of current military city in order to activate the city.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resources, it is also required to take partial restoration of som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t movements, storytelling of those sites, open of restricted remains in the military area and tourism merchandising on the patriotic experiences. And, ultimately, it is also recommended to have a certain facility that plays a role of land mark in the tourism of Gyeryong-si that integrated and managed resources of Gyeryong-si. It is tentatively called as patriots and veterans culture center to demonstrate regional identity and long-term urban activ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수형기록카드 현황과 명칭

        박경목(Park, Kyung-mo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4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작성되었던 수감자에 관한 수형기록에 대해 그 현황과 성격, 명칭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최근 문화재청에서 이 기록물을 ‘일제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이하 카드)라는 명칭으로 등록문화재 제730호로 지정했다. 이에 그 의의와 가치를 학술적으로 객관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이다. 카드는 총 6,264장이 보관되어 있으며, 원본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소장하고 있다. 수록 인물은 중복자를 제외하고 4,837명으로 확인된다. 이들은 대부분 일제에 의해 분류된 소위 ‘사상범’으로 항일 독립운동가로 볼 수 있다. 주요 기재 항목은 앞면에 사진과 이름, 나이, 신장, 특징, 지문번호, 뒷면에 본적, 출생지, 거주지, 신분의 인적 사항과 직업, 죄명, 형명·형기, 언도연월일, 형의 시작, 언도재판소, 집행 감옥, 출소연월일, 출소 사유의 수형사항과 전과, 비고 등 20여 가지이다. 1913년 2장, 1918년 1장을 제외하고 모든 카드는 1919년 3월 1일 3·1운동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작성되기 시작했다. 즉, 일제는 3·1운동을 기점으로 독립운동가에 대한 수형기록 관리와 감시 체제를 강화했던 것이다. 이는 양식의 변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양식은 총 4가지로 분류된다. 1919~1920년에 집중적으로 사용되었던 A형 카드는 대부분 3·1운동 관련자 들이다. 1923부터 1931년까지 사용된 B형은 1925년 치안유지법 제정, 발효를 기점으로 ‘사상범’에 대한 감시, 통제 강화 정책에 따라 수감자 개개인에 대한 신상정보 파악을 상세화 했다. 1930년을 전후로 사용된 C형은 1928년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사상 통제로 수감자의 급증과 일반인의 저항이 늘어남에 따른 과도기적 현상을 보인다. 이전 양식에서 일선 현장 실무에 불필요한 기재 사항을 과감히 삭제했다. 1930년 이후부터 해방까지 쓰였던 D형은 식민지 경영의 공고화를 위해 수감자의 인적 관계망 또는 소속 조직 및 단체 동향을 확보하여 주요 수감자를 지속적으로 관리, 감시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이러한 카드는 4개소의 감옥 관서와 20개소의 경찰 관서 총 24개소에서 작성되었다. 이는 사진 촬영 장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카드에 부여된 사진 보존원판 번호의 일관성으로 볼 때 한 곳의 기관에서 이것을 수집,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 기록 대상자의 수감 감옥이 대부분 서대문형무소였다는 점으로 볼 때 그 관리 기관은 서대문형무소로 추정된다. 작성주체와 관리처가 이원화 되었던 것이다. 카드의 주요 기재 항목은 철저히 수형기록 위주였다. A형 카드의 경우 ‘수형사항’이라는 분류하에 죄명, 형명형기, 언도연월일, 형의 시작, 언도재판소, 집행기관, 출옥연월일 및 기타 총 7가지의 수형 관련 기록을 기입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나머지 B, C, D형 카드도 마찬가지 양상이다. 반면, 수형기록과 무관하게 수배용이나 감시용으로 작성된 카드도 전체의 약 2.9%, 182장이 보인다. 이는 일제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경계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그 수치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는 수형기록 관리 목적 외에 일부 부가된 기능일 뿐이다. 카드를 작성한 주체가 감옥관서와 경찰관서로 수록 대상자가 모두 수감예정이거나 수감중인 점, 그 목적이 사상범에 대한 수형기록 관리인 점, 실제사용 사례로 수감자 이동시 본인 유무를 확인했다는 점 등으로 비추어 볼 때 카드는 ‘감시’의 성격 보다는 ‘수형기록 관리’의 측면이 우선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에 따라 카드의 성격과 특징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명칭으로 ‘수형기록카드’가 보다 합리적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수형기록카드는 그 속에 기재된 다양한 정보 분석을 통해 독립운동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제에 의해 작성된 소위 ‘사상범’에 대한 수형기록이지만 이제는 우리의 독립운동사를 연구하는 기록물로서, 또 일상 속에서 독립운동가를 기억하고 기념할 수 있는 문화재로서 역사적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Recent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signated the card that records prison matters of prisoner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s Registered Cultural Asset No. 730 under the name of ‘Main monitored person car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us, this thesis reviewed the status and name of the cards above. The total number of cards is 6,264 and the originals are ow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Main items are photo, name, age, height, feature, and fingerprint number on the front page. There are personal details of permanent address, birthplace, residence, and identity on the back side while there are occupation, name of crime, name of punishment, prison term, sentence date, beginning of punishment, sentence court, execution prison, and date of release from prison, The cards were prepared in earnest after the 3·1 Independent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imperialism strengthened the prison record management and surveillance of independent activists from the March First movement. There are 4 types of card forms pursuant to period. They were divided into A, B, C and D for convenience. Type A was used intensively in 1919~1920. Most of them are the March First Movement activists. Type B was used from 1923 to 1931. They detailed personal information on the prisoners according to th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so-called “political offender”. Type C was used around 1930. When the prison inmates surged due to full-scale ideological control of Japanese imperialism, unnecessary entries were removed, Type D was used from 1930 onwards until liberation. Description column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of the prisoners, their organization and trends of group were added. The main items of the car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such as prison service(受刑事項, type A), disposition result(處分結果, type B), recent sentence(最近刑, type D), and they were mainly comprised of name of crime, name of punishment, prison term, sentence court, date of entrance, date of release from prison, and execution prison. There are no categorizations of type C but 7 items from crime name to arrest institution are organized mainly in relation to prison servic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subjects were arres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police and were under the imprisonment or being imprisoned and that most of the persons were in violation of the law of ideology, the cards had strong aspect of ‘management of prison record’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If we look at the main items and the recorded subjects,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name of the card is ‘Prison record card’ containing i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일제강점기 대전형무소 설치와 확대

        박경목(Park, Kyung mo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3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대전형무소의 설치 배경과 개소 시점, 시설 확대 과정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대전형무소에 수감되었던 사람들을 발굴하고 그 현황을 분석했다. 대전형무소 설치는 1918년 2월 사법부장관 고쿠부 산가이의 언급으로, 4개년 사업으로 예정되었다. 그러나 강점 후 일제 조선총독부의 예상과 달리, 늘어나는 수감자로 인한 감옥 과밀현상과 특히 1919년 3·1운동으로 인한 수감자의 급증으로 설치를 서둘러 1919년 5월 8일 ‘총독부령 제86호’로 확정 고시했다. 그리고 5개월 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같은 해 10월 19일 공식 개청식을 통해 개소하였다. 건축공사는 1918년 9월부터 1938년 10월까지 20여 년간 지속되었다. 이를 3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1단계는 수감자 수용을 위한 옥사 3개동 등 초기 기반시설이 마련되는 설립기이고, 2단계는 중앙간수소와 청사 등 수감자 감시와 관리를 위한 부대시설이 마련되면서 감옥운영이 정착되는 정착기이다. 3단계는 소위 ‘사상범’ 수용을 위한 격리 옥사시설 3개동과 여옥사가 설치되어 수용기능이 확장되는 확장기이다. 이 과정을 통해 1938년 11월 옥사 7개동에 감방 259칸, 총 수용 면적 2,282.84㎡를 갖추었다. 수감인원은 시설 확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개소 초기 1919년 12월 말 250명에서 1938년 12월 말 1,250명으로 5배 늘었다. 이 수치는 1938년 한때 전국 28개소 감옥 가운데 서대문형무소 다음으로 많은 숫자였다. 대전형무소 수감자는 신문기사와 수형기록카드를 참조하여 140여 명을 살펴보았다. 신문기사를 통해 그들의 행적을 살펴보았고, 수형기록카드를 통해 115명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대는 20대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10대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형량은 징역 2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죄명은 치안유지법, 보안법, 폭발물취체규칙 등 사상법률 위반이 대다수로 분석 대상 인원 대비 94.78%를 차지하였다. Daejeon Prison(大田刑務所) is the output of the prison expansion policy enfor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n colonial Korea. The plan for constructing Daejeon Prison was discussed in 1918 to be scheduled in 4 years. However, as the number of prisoners was increased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imperialism decided to construct the prison and made an announcement in May 8, 1919. And it officially opened the prison in October 19 in that same year. Becaus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Daejeon Prison was opened 3 years earlier than scheduled. The expansion of the prison was continued for 20 years after its opening. Throughout the periods of establishment, settlement and Expansion, 259 prison cells in the area of 2,282.84㎡ were built in a total of 7 buildings of the prison(獄舍). Since 1928, 129 solitary confinements in the area of 807.1㎡ were built in a total of 3 buildings of the prison to keep political offender. Daejeon Prison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political offender(思想犯) detention policy enfor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s the prison was expanded, the number of prisoners was continu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isoners was increased by 5 times, from 250 prisoners at the end of December in 1919 to 1,250 prisoners in 1938 when the expansion of the prison was complet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of 220 prisoners showed that a large proportion of the prisoners were in their 20s. Also, the long-term prisoners as well as the political offender made up a large proportion. In the end, Daejeon Prison was operated as the major prison to monitor and punish the long-term political offender for the Japanese colonization.

      • KCI등재

        <기획논문 - 기록으로 보는 3·1혁명> 3·1운동 관련 서대문형무소 수감자 현황과 특징

        박경목 ( Park Kyung Mok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6 No.-

        서대문형무소 수형기록카드 분석을 통해 1919~1920년 사이 3·1운동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인원 1,013명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들의 연령대, 신분과 직업, 죄명과 해당 형량, 수감자 사이의 관계망을 살펴보았다. 수감자들의 연령은 10대부터 60대까지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참여했다. 특히 20대의 참여 비중이 57%에 달하는 독립운동 전반의 경향과 비교하여 20대의 비중이 42%로 보다 연령대별 고른 참여분포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3·1운동은 전 계층이 참여한 민족운동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의 직업분포도 70여 종에 이르는 다양한 직업이 확인되었다. 학생, 종교인, 교사 등 지식인층은 물론 상인, 자영업자, 노동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방법으로 3·1운동에 참여했던 것이다. 특히 일제 식민통치의 말단으로 여겨졌던 면사무소 면장과 면서기, 순사보 등도 참여하여 3·1운동이 전조선인의 거족적 운동이었음을 알 수 있다. 3·1운동 수감자들은 일제로부터 정치사상범으로 인식되어 ‘보안법 범’으로 취급당했다. 따라서 ‘보안법 위반’등 정치사상적 죄명이 붙여졌다. 이들 가운데 99% 이상이 6개월이상의 형량을 받아 높은 행형이 적용되었다. 일제는 3·1운동을 체제 변혁 운동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단순 범죄가 아닌 정치적 사건으로 취급하였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형량을 적용한 것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사람들 사이의 관계 추적을 통해 이들이 혈연 관계, 지역적 연고, 학교 관계로 상당 부분 연결되 있음을 확인했다. 3·1운동은 혈연, 지연, 학연이라는 지역적 관계망을 통해 급속도로 전국에 전파되고 효과적으로 계획, 추진되면서 적극적인 운동의 양상을 보였던 것이다. 이상을 통해 3·1운동은 단순한 ‘운동’차원을 넘어 일제 식민 체제를 변혁하려는 전 민족의 정치적 변혁 운동의 단계였음을 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Seodaemun Prison's Inmate Record Cards(6,259 cards) to discuss the age, social status and occupation, offense and sentence, and relationships of 1,013 inmates who were confined at Seodaemun Prison because of the 3.1 Movement between 1919 and 1920. The inmates(收監者) had a wide distribution of age from teens to the 60s. In particular, 42% were in their 20s and participated most actively. There were about 70 kinds of occupations, from students, religious leaders, and teachers to merchants, business owners, and labor workers. They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in their own ways. Chiefs, secretaries, and assistant police officers of town office, who were considered the pawns of the Japanese Imperial Rule, als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manifesting that it was a national movement for the people of Joseon. The inmates were recorded as political criminals who ‘violated the Security Act(保安法 違反), etc.’ and over 99% of them were sentenced to over 6 months in prison, which was longer than the sentences for general crimes. Japan treated them as political criminals because the 3.1 Movement was considered as a reformation movement. The inmates' mutual relationships were tracked to find that they were mostly related by kinship(血緣), regionalism(地緣), school relation(學緣)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 3.1 Movement quickly spread nationwide through kinship, regionalism, school relation as an active movement.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3.1 Movement was not a mere ‘movement’, but a political reformation movement to reform the Japanese Imperial Rule.

      • 부여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현황과 기념관 건립

        박경목(Park, Kyung-mo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충청문화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충남 부여군에 소재한 독립운동사 사적지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기념관 건립에 대한 타당성을 모색하는 한편 관련 콘텐츠 개발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부여에서는 의병, 군자금 모집, 3.1운동, 중국방면 무장 항일투쟁, 농민운동, 학생운동, 사회주의 운동 등 다양한 방법론의 독립운동이 전개 되었다. 이 가운데 충화. 임천에서 펼쳐진 1919년 3월 6일 만세운동은 충남지역 최초의 3.1운동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최근 독립운동사는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까지 아우르는 문화원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이를 대리표상하는 독립운동 사적지에 대한 보존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부여 내 독립운동 사적지는 23개소로 기념비와 생가 위주로 남아있으며 체계적인 안내 시스템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대표적인 기념관도 부재하다. 부여 전역에서 다양한 계층의 참여로 다양한 방법론의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던 만큼, 이제 부여 독립운동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동시에, 독립운동의 지속적인 기억과 기념을 가능케 하는 시설이 필요하다. 바로 독립운동 관련 기념관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념관의 명칭은 부여의 정체성과 지역을 포괄하는 동시에 부여 독립운동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일환으로 ‘부여 독립운동 기념관’이라는 명칭을 제안하고 타당성을 제시했다. 기념관의 위치는 접근성, 경제성, 효율성, 활용도 4가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부합하는 곳으로 규암면 오수리 일대 ‘부여 노인복합단지’조성지역 제 1공구 내 유보지(미 계획 공간)를 제안했다. 이곳은 교통이 편리하여 주민과 관광객의 접근이 용이하다. 이미 기반 조성 작업이 되어 있고, 주변 시설 및 자원과의 연계가 가능한 최적의 위치이다. 기념관 건립은 사업조성기, 건립 추진기, 건립과 완공기로 나누어 2018~2021년까지 4개년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과정에서 부여 시민들의 참여와 공유를 유도하고 민, 관, 학 협치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한편, 충화와 임천의 3.1운동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지방에 전개된 3.1운동 가운데 최초로 일제 헌병기관 앞에서 만세운동을 펼쳤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러한 가치를 전승하기 위해서 우선 명칭을 확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부여 충화.임천 3.6독립만세운동’이라는 명칭을 제안 했다. 다음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기념행사를 지역의 특화 축제로 육성하고, 학술, 선양, 체험, 문화 분야 등에서 관련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이는 부여 독립운동사를 주민들과 공유하고 외부인들과 공감할 수 있는 주요 소재가 될 것이다. 부여 독립운동 기념관 건립과 충화.임천 3.1운동 콘텐츠 개발을 통해 부여 지방정부의 위상이 높아지고 지역민 삶의 품격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listed the historical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Buyeo-gun, Chungnam and discussed the feasibility of constructing a memorial.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in Buyeo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including the justice army, the 3.1 Movement, fund-raising for military purposes, and labor movement. There needs to be a certain facility to symbolize Buyeo"s independent movement and for commemoration and celebration of its history. We are in need of an independent movement memorial at this point. "Buyeo Independent Movement Memorial Hall" has been suggested as the name of the memorial to represent Buyeo"s independent movement. Accessibility, economic value, efficiency, and usability were considered for the location. The empty lot within the property for "Buyeo Senior Complex" around Osu-ri, Gyuam-myeon was proposed. This place is the best location considering traffic, infrastructure, and surrounding amenities. The 3.1 Movement of Chunghwa/Imcheon is historically significant as it was the first unarmed protest in front of a Japanese military police facility in the rural areas. The proposed title of the movement is ‘Buyeo Chunghwa/Imcheon 3.6 Independence Manse Movement.’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related contents related to localized festivals, academics, enlightenment, experience, and culture to attract attention of local people and outside visitors. It is expected that the memorial brings honor to Buyeo"s local government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local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