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상과 理想社會論

        閔泳炫 새한철학회 1999 哲學論叢 Vol.16 No.-

        理想社會 그것은 언제나 인류가 꿈꾸는 마지막 지점이다. 어렵고 힘든 현실에서 인간은 누구나 지치고 상처받으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인간은 이 같은 고통에서 탈출하고 싶어하며, 동시에 이러한 염원이 현실적으로 실현될 것을 바라는 것이다. 이에 동·서양의 무수한 철학과 사상들은, 그 실천적 측면에서 인생의 難問을 해결하고 현실세계를 변혁시키고자 하는 희망을 품어왔으며, 일련의 哲學史는 이러한 노력의 반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다. 어쩌면 이 같은 측면에서 韓國哲學史는 그대로 새로운 세상을 향한 민중들의 열망과 기대가 하나의 사상세계를 이루어 온 것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상사회를 위한 이념과 그 사상에는 몇 가지 필요한 것들이 있다. 그것은 현실성과 합리성의 문제이다. 이 같은 측면에서 한국의 이상사회론은 특이한 자기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開闢과 어우러진 대변혁, 그리고 살아있는 현실 속에서 만나는 좋은 세상의 이념이다. 개벽과의 연관 속에서 확인되는 것은 홍익의 이념이다. 弘益人間의 이념은 在世理化와 按化郡生이라는 전통적 化의 정신과 만나면서 생며을 중시하는 한국적 이상사회론을 표방한다. 이러한 생명성의 확장에서 弘益生命의 한국적 원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한국적 가족공동체의 사회적 접근을 통한 이상사회를 확인해 본다. 곧 가족공동체는 그대로 한국인이 지녀온 이상사회의 전형적 모델로 기능한다. 이로써 한국문화의 이상사회적 이념은 그대로 살아있는 가족들과의 교감 속에 확인되는 현실낙원으로서의 가족공동체를 통한 자기완성으로 이어짐을 찾아볼 수 있다. 모든 존재의 인식론적 변혁을 통한 자기승화가 이루어지는 곳, 그것이 가족이다. 이러한 자기승화는 존재와 인식의 변화를 통하여 현실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여기에 한국적 仙의 이념은 한국의 이상사회론에 있어 하나의 특징적인 자기세계와 그 이해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The desire of man is infinie, but the capability of society that the desire has been satisfied is finite So the social conditions of supply and demand on desires are disproportionate. From this, the problems of dissension with an individual man and society come out. At the same time, human beings have wanted to solve their problems. So, many utopias or paradises have been discussed from ancient times until now i e Politaea, Utopia, Paradise, Eldorado, etc There is a special tradition of Koreanism It isthe idea of Korean about the paradise on Earth(地上仙境). Korean has had a kind of the optimistic expectation to world So, the character of Korean paradise is epistemological, it is not ontological. It's based on the traditional Koreanism The Koreanism is based on the Korean myth In this cause. Korean myth has become an origin on the Korean philosophy. And then. we can find the facts. The Korean-ism has taught the optimism to world and life and the paradise on the real world to Korean That is the human society of naturality, it is the family Rightly, the most happiness is exist on now and here It is not artificial, but it is the real life and the natural ideal society. Therefore, it is based on the self-family community, and wonderful world The father and mother of all Korean are the gods And then, all of ancestors of Korean are the gods. In this reason, the Korean family is the world of gods And, the society with the extension of Korean family, it is the ideal society and paradise of Korean. In this case, the thoughts of extensive ability depends on the idea of Hongik-Inkan(弘益人間, extension of human welfare) It is the solution and know-how about what do I live in world. Hongik(弘益)is a harmonizing principle with the mass-society and natural family community Korean myth teaches that the thoughts of Hongik is the inner profer principle within the individual man and society In addition, the myth says the principle of Jaese-Ihwa(在世理化; leading by reason in life, assimilation by harmony in world). It is the real idea and method of Hongik ideology It is the life, the nature and the vision of community in Korean-ism. Hongik-Family community is the paradise on Korean philosophy It is for the beautiful society, beautiful nations and the wonderful new world And it is being on now and here

      • 「蘇塗經典本訓」에 나타난 三․一의 의미맥락(context)과 天符經의 철학사상

        민영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선도문화 Vol.3 No.-

        The Cheonbu-Kyung is the bible of Sodo(蘇塗). It represents the theory of Three-One and the One-Three. It says that the One is Ki(氣) and the Three is God. So the God relate the One-Ki(氣). In this case, the Three becomes the God of life and changes the ultimate three elements. It is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man. Sodo's Canon says it as the Trinity of God. From this, the theory of ‘One is Three, Three is One’ represents the original thought of Korean. We say it as the culture of Sam-shin. The Sam-shin(三神, the Three God, and the God of life) is a Korean archetypical God. Most of Koreans have heard the Sam-shin. The book, 『Taebaik-ilsa(太白逸史)』 includes various stories on the Sam-shin. Literally speaking, Sam is three and Shin is the God. So the thought of Sam-shin becomes the understanding on the theory of the Three-One god. Generally the Sam(三) means the heaven one(天一), the earth one(地一) and the man one(太一, the big one). In this case, Sam-shin supervises the creative evolution of universe, the accomplishment of teaching and the order of world. Also the three ancestors of the Korea, Han-in, Han-woong, Han-Kum, have been understood as the symbol of Sam-shin and the Sam-shin Grandmother has been taken as the God of Life. The three founders of ancient Korea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Sam-shin. It has become the thought of Korean trinity. In this case, the substance of the Sam-shin is the One, but its functions are the Three. Because the numeral of three symbolizes the one which unifies the opposition by the oriental mathematical principle. In addition, the power of life is understood as the three bio-elements in the theory of Sam-Shin. They are Jeong, Ki, and Shin. In other words, the one God acts the three realities. When a man has faith with the One, he will arrive at the condition of full activity and vitality. Though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God becomes a vital energy [氣化:the changing energy in beings]. The original nature of individual encounters the real mind of inner space. The God(Shin:神) and the Ki(氣) interchange mutually. Also the Seong(性), Myung(命) and Jeong(精) are going to interact. Each has related and effected among. Like this, the Cheonbu-Kyung explains the theory of universe and man. So we can say that it has the original philosophy of Korean culture. 한국철학의 자생성을 생각해 볼 때, 『태백일사』와 「소도경전본훈」의 내용들이 가지는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비록 이것이 사학계의 위서논란에 휘말려 오해되고 왜곡된 바 있어도, 이의 철학적 가치는 결코 소홀하지 않다. 더욱이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가를 묻는 많은 현대인들에게, 본훈은 간단히 답한다. 그것은 대속함과 참됨으로 돌아가는 길이고, 널리 베풂을 실천함이다. 이것이 弘益人間, 在世理化의 오직 한 길이다. 그러면,「본훈」의 전체적인 내용들을 살펴보자. 이는 대체적으로 ‘三一의 원리’를 해설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삼일은 ‘三神의 신앙’과 상통한다. 곧 소도경이란, 전통적인 삼신신앙의 철학적 의미를 수리학적 원리와 함께 다양한 상징으로 풀이한 것이다. 이로써 天符經은 일기와 삼신으로부터 와서 다시금 삼신과 일기에로 돌아가는 과정을 지극히 간단한 81자에 압축적으로 담고 있는 경전이 된다. 그리하여 오직 하나에로 돌아가, 성통공완을 이룰 것을 사람들에게 밝히는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大一은 하늘의 근원으로 있으면서 一氣의 작용을 따라 三神으로 분화하여, 모든 살아있는 것의 본체 즉 養氣로 기능한다. 그리하여 하늘의 체용과 땅의 체용 그리고 인간의 체용이 모두 氣와 神에 의한 一三과 三一의 원환 속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로부터 하늘의 움직임을 본받아 땅에 삼한이 있으니, 이것이 옛날 삼한관경의 규범이다. 三韓이란 곧 三一의 의미이다. 이로써 인간 또한 천손 내지 하늘로부터 유래하였다 하는데, 이것은 한국철학의 근원에서 밝힌 한민족의 자기정체와 같다. 그리고 眞善美와 결부하여 인생이 말해진다. 생명 받은 인간의 일이란 결국 하나에로 돌아가 스스로를 회복하는 것이 그 業이다. ‘생사, 즉 삶과 죽음이란 다만 하나의 원환적 구조를 이루고 있을 따름이기 때문이다.’ 한민족문화의 특성은 삼신에 돌아가 오직 弘益의 대의와 하늘에 순응하며 거짓을 말하지 않고 서로가 의지하여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하였고, 이것이 행해지던 시절이 곧 神市太平의 세상이었다 한다. 천부경은 본래 마음은 지극히 밝은 것이라, 오직 이를 우러러 밝히면 사람 가운데 천지가 하나 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하였으니, 이는 곧 삼일신고에서 말하는 ‘성통공완’의 세계와 상통하고 있다. 또한 동학에서도 人乃天과 事人如天을 말하였으니, 이 역시도 천부경의 내용과 그리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더욱이 ‘執一含三’과 ‘會三歸一’의 철학이 홍암 나철 이래로 大倧敎의 철학에서 세세로 전해오고 있으니, 이 모두로부터 오늘의 한국 자생철학의 참 면모가 무엇인지 익히 짐작할 수 있는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 KCI등재

        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선도문화 Vol.35 No.-

        Now physics is turning to metaphysics and Eastern philosophy. It is to find the world of the isotropy and mutual embrace of the universe in Dante’s La Divina Commedia(The Divine Comedy), or to find the origin of Quantum Theory in Democritus’ Atomism today. An invisible source, it will another understanding be possible through the meeting of the past and present, the East and the West, and science and philosophy. Meta-physics asks about the nature of physics or beyond matter. And now, understanding the new dimension and state of quantum is emerging as a key task in modern physics. But when asked, "What is quantum?" no one can say they know it. Nevertheless, more than 90% of modern civilizations rely on quantum mechanics. However, the quantum state in quantum theory itself goes beyond general logic and realistic rationality. Quantum jumps in quantum tunnels, duality of entanglement and overlap, and problems of symmetry, etc., all feel distant. There is also considerable controversy within physics. It is a conflict between a group that sees both as elementary particle and a group of researchers that sees them as strings. Here, the concept of information is also emerging as a major issue, but nothing is clear yet. Nevertheless, traditional metaphysics rather gives way to physical quantum theory. A quantum worldview that there is a world of different essence from a rational situ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now, I will talk about the concepts of Taegeuk(太極) and Yin-Yang(陰 陽) in understanding the world of the East. This is because it has many similarities to the subject of symmetry in quantum physics. Therefore, beyond simply the difference in terms of philosophy and physics, we feel the need to review each other in terms of the worldview. This is also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the nature and phenomenon of the world.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will continue to depend on physics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the reasons and sources of human life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the world of philosophy. It is hoped that scientific discoveries will turn into universal common sense an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many to understand that the meeting between science and philosophy is not impossib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복제시대의 생명윤리 담론과 한국 '仙'의 제안

        민영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6 코기토 Vol.60 No.-

        Nowadays we are asked for a newer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er ethical approaching method in the life science. For biotechnology developed rapidly in these days has changed the condition of humanizing, and we need to worry about the traditional life culture deeply since then. Our traditional life culture has been shaped from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There is no exception in the Korean culture. Today the issue of life needs the new interpretations and approaches. The reason is biotechnological influence and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force us to create a ground of our new life culture. Most of human cultures are resulted from how they should define their life and death. The study on the thoughts of life in Korean culture is focused on the inquiring into how we could accept other elements on our own cultural ground and make them conciliate our own life culture. From it, we can communicate with other culture and form an universal life culture at last. Indeed the study on the Korean thoughts of life is the work that seeks to the universal truth of the cultural interchanging and philosophical mixture in the Korean history. S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Korean culture must be founded on this work of searching. It is said that the Great Cosmos itself is a life in the Sun. Also I-Jing(易經) said that the Cosmos doesn’t rest for the living and living. Everything come and go, go and come. So to live is life and to die is also lif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value of life. To die and live are the other phenomenons of one life. The man knows the difficulty of livelihood. Nevertheless he hopes to exist in the state which the vital energy is filled up. At last he hopes to expand the life and relations with the world. The purpose which he hopes may be to sublime the dimension of existence. To sublime is to pursue the perfection finally. In the end, these hoping must be the aim of all beings. And the life becomes the ultimate end of all beings. With this aim, the Sun is going to expect the expanding of dimension in the interchanging and the eternal circle of life. This works are performed by the Sun who arrives at the new and holy spirits world.

      • KCI등재후보

        붉은 응원단과 공동체 문화

        민영현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9 No.-

        문얼마 전 한민족은 붉은 응원단의 폭발적인 열기에 힘입어 전 세계사람들의 환호와 탄성을 자아낸 바 있다. 그런데 도대체 그 무엇이 이런 놀라운 사건을 만들어내게 했는가. 해방 후의 감격과 환호, 80년의 봄과 87년의 여름이라는 시민항쟁, 민주적 정권교체의 힘, 무수한 의병들의 존재를 통해 숱한 난리를 겪으면서도 결코 무너지지 않았던, 한국 아니 한국인의 참모습, 한민족은 멸사봉공(滅私奉公)의 정신으로 공동체와 함께 했음을 한민족사는 기록하고 있다. 다만 이 같은 현상과 사회문화의 배후에 숨겨진 힘 또는 한국문화와 그 정신의 실체에 대해, 이제는 이해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 같은 정신은 한민족문화의 자기 정체성과 연결된다. 모든 집단의식은 무의식적이며, 여기에는 반드시 자기 이해의 정신세계가 있다. 이 같은 정신세계에서 한국인의 한(恨)과 풀이의 한마당 그리고 하나됨과 어울림의 정서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민족적 통합이 보여준 거대한 인간 정신의 결집은 다양한 개별성이 전체로 녹아드는, 정녕 21세기 새로운 문명이 지향해야 할 화합과 전진의 메시지에 분명하다. 새롭게 시작되는 21세기는 지금까지의 물질적 토대 위에서 새로운 정신문화의 신세계로의 변혁을 생각해야만 할 때이다. A few months ago, Korean red supporters amazed the world. It is the wonderful reality which is based on the communistic principle of Korean. What happened in June, 2002 in Korea? In Korean history, there are the cheers and the deep emotion of liberation, the resistance of people's power(namely, the spring in 1980 and the summer in 1987) and the many loyal volunteered army. According to Korean history, the Korean has built up the human community with the spirit of Han(one for all, all for one). Probably, it is like the identity of Korea and Korean. Finally, It is connected with the future and the characters of Korean culture. All the consciousness of group is unconscious. There is the spiritual world of self identity in the unconsciousness. In the spiritual world of Korean, we can find the mind of grief and the satisfaction of evolution, the oneness and the emotion of harmony. There is the thought of 'Woori'(you and me, I and you are the one) in Korean. It represents the cultural code of Korean oneness with the idea of Hongik-Inkan(間; extension of human welfare). I encounter you. You meet me. And then, You and I become the 'we'. So 'we' are the plural name in English. But the 'Woori' of Korean is not the plural but the singular name. In this case, the 'Woori' means the whole oneness. So Korean say that I am a 'Woori', you are a 'Woori', we are a 'Woori', all we are the 'Woori'. When we say that the language express the spirit, the language of 'Woori' presents the Korean mind and culture. The culture of 'Woori' is the life and the language of the Korean. And this cultural mind has based on the idea of Hongik-Inkan. So I can say that the idea of Hongik-Inkan is the communistic consciousness of the Korean. In June, 2002 in Korea, the one mind of 'Woori' is realized by Korean beyond the disruption. From this, 'Woori' has harmonized the disunion and has become the one. I live with you. You save me. As so, the world save human-beings and we live with the world. Thus I and the world become the 'Woori'. Like this, everything has related each other with vital energy. So if you don't live, also I will die. Now the 21th century is the age of one global society. Now We need the human culture of the tolerance and the philosophy of the open world. We must think the principle of th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So we must build the new human life culture and the new wonderful world. In this present condition, I suggest the Han, 'Woori' and the idea of Hongik-Inkan as the dynamic life principle.

      • KCI등재

        상수역학(象數易學)의 기적(氣的) 세계관과 그 운동 방식에 관한 연구 - 附, 量子論의 대칭 및 파동⋅입자 이중성과의 상호이해를 중심으로

        민영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0

        Modern physics checks and tracks quantum. The most fundamental state of matter, from which a concrete science is almost in its final stage. However, a new task of interpretation was raised on how to understand thi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was requested in the physics of observation and verification. But if quantum is the origin of everything, what happens to God? What about metaphysics? People don’t know quantum exactly, but know to some extent. Modern civilization depends on it, even though it does not know exactly. Compared to this quantum, what is the understanding of the Eastern world like? In the East, there is the Ki(氣: Chinese letter ‘qi’) that has been said every day. There’s definitely something, but people don’t know. Eastern energy(Ki) also belongs to this. Therefore, the article proposes an approach to Ki in another way for quantum understanding. The origin of the Ki is the Taegeuk(太極) of Yin and Yang. There is a Tao(道) to the movement of Ki. In Yi-jing(易經), this is called ‘one-eum(陰: Chinese letter Yin)-one-yang(陽)’. In the end, the movement of all things is the self-differentiation of Taegeuk⋅Yin(陰)Yang(陽), which is the worldview of Ki. In this, Ki appears as a ‘moving metaphysical being’. Everything is based on quantum, and the world is a sea of quantum. Therefore, the worldview between the two is extremely similar. Human energy(Ki) is an inner being. However, at the same time, it is intertwined and overlapped with the movement of external energy(Ki). In their interaction, human destiny appears.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Ki, the world’s natural change of everything and exercise. When the Ki is determined, reason also exists. They always act as the way called “Yin in Yang and Yang in Yin.” From this, Myeong-ri(命理: the Law of Destiny) demands an unobstructed state of neutralization, requiring the control of needs and proper ethical practice. In other words,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not knowing ethics while talking about Myeong-ri. In the new era, an intellectual transformation in which the mind and material are harmonized must be made. There are still much more things I don’t know than I know. However, I look forward to finding an idea that can be applied to oriental energy(Ki) theory or quantum theory. 오늘 물리학은 量子를 확인하고, 이를 추적한다. 물질의 가장 근원적 상태, 이로부터 形而下學은 거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셈이다. 그러나 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새로운 해석의 과제가 제기되었다. 관찰과 검증의 물리학에 철학적 해석이 요청된 것이다. 그런데 量子가 모든 것의 기원이라면, 神은 어떻게 되는가? 정확히 모르는데 알고, 정확히 알지 못하면서도 현대문명은 여기에 의존한다. 이런 양자에 비해, 동양의 세계 이해는 어떤가? 동양에는 일상적으로 말해온 氣가 있다. 분명히 있으나 알지 못하는 것, 동양의 氣 또한 여기에 속한다. 이에 글은 양자 이해를 위한 다른 방식의 하나로 氣에 대한 접근을 제안해 본다. 易은 관찰과 경험에 따른 曆法으로, 철학과 과학이 결합한 동양 고대 지식의 정수다. 이 중 상수역학은 氣를 주 대상으로 채택한다. 기의 본원은 음⋅양의 태극이다. 氣의 움직임에는 道가 있다. 易에서는 이를 ‘一陰一陽’이라 하고, 만물의 움직임은 결국 태극⋅음양의 자기 분화의 결과로 보는데, 이는 곧 ‘氣의 세계관’이라 하겠다. 여기서 氣는 ‘운동하는 形而上者’로 나타난다. 양자역학은 모든 것은 양자에 기초하며, 세상은 양자의 바다라고 말한다. 이러한 둘 사이의 세계관은 지극히 유사하다. 사람의 기운은 내적인 존재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외적인 기의 움직임과 얽히고 중첩된다. 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람의 운명은 드러나게 된다. 내적인 기가 외적인 기와 만나 운동하는 과정에서 세상의 천변만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기가 결정되면, 이치 또한 존재한다. 태극⋅음양에 기초한 五行의 氣는 기본적으로 相生⋅相克과 相比⋅相侮, 順逆과 制化 등으로 운동하는데, 이들은 ‘陰中陽⋅陽中陰’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부터 命理는 通氣하여 막힘이 없는 中和의 상태를 최선으로 삼고, 분수에 맞는 욕구의 조절과 올바른 윤리적 실천을 요구한다. 곧, 命理를 말하면서 倫理를 알지 못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 된다. 양자와 기, 둘 사이에는 상당한 사변적 유사성이 있다. 물리학은 물질 대칭의 끝에서 양자를 만났고, 동양철학은 理의 상대라 할 氣의 움직임과 만나 정신 대칭을 밝혀 왔다. 현대수학에서는 무한대의 실수 영역에 대응하는 허수를 말한다. 유에는 무가 그리고 정신에는 물질이 있다. 존재에 운동이 있고, 생에는 사가 있음과 같다. 문제는 이 모든 대칭성마저도 수렴하는 최초 또는 최종의 1자에 대한 접근은 서로가 다른 언어와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새로운 시대에는 정신과 물질이 조화되는 지식학적 전환을 이루어야만 한다. 아직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훨씬 더 많다. 이런 상황에서 글은 동양의 氣 이론을 통해, 혹 양자론에 적용할 수 있는 어떤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