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규표의 대형화와 횡량의 역할

        민병희,이기원,김상혁,이용삼,Mihn, Byeong-Hee,Lee, Ki-Won,Kim, Sang Hyuk,Lee, Yong Sam 한국천문학회 2013 天文學論叢 Vol.28 No.3

        동아시아에서 규표는 가장 전통적인 천문의기 중 하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적 규표는 표의 수직 설치와 유지가 어렵고, 눈금의 시작점이 모호하였으며, 무엇보다도 태양의 표 그림자가 퍼져 관측의 정밀성이 떨어졌다. 이러한 고전적 규표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물로 13세기에 횡량형 규표가 개발되었다(민병희 등, 2011). 횡량형 규표는 영부를 사용하여 선명한 횡량 그림자를 얻었다. 영부를 통해 얻은 횡량 그림자는 예리하여 관측의 모호성이 없으며, 동시에 태양의 중심 위치를 관측하는 최적의 천문의기이었다. 대규표는 횡량을 설치하였는데, 이 횡량의 크기는 길이 6자(124.2 cm), 직경 3치(6.21 cm)이었다. 표 기둥 위에 횡량을 올린 것을 얼이라고 하고, 이 얼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횡량형 규표의 핵심이었다. 삼점현추법을 사용하여 얼을 규에 수직으로 세울 수 있었다. 삼점현추법을 사용하기 위해 횡량은 길이 5치(10.35 cm), 직경 2푼(4.14 mm)의 철사 3개를 이용하고 있다. 삼점현추법은 단지 횡량을 정렬하는데 만 필요한 것이 아니고, 횡량을 점검하고 진단하는데도 활용되었다. 횡량의 개발은 태양 중심의 그림자길이를 측정하는 천문학적 이점과 더불어 규표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규표의 적절한 건설 공정과 삼점현추법을 적용하면 이상적으로는 높이에 무관하게 얼을 수직하게 설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얼의 크기가 높아질수록 결과적으로 눈금의 분해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이용삼 등, 2006) 관측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Gyupyo (圭表, Gnomon) consists of Gyu (圭, Measuring Scale) and Pyo (表, Column), and was one of the traditional astronomical instruments in East Asia. Daegyupyo (Large Gnomon) was manufactured in the Joseon dynasty around 1434 ~ 1435. To increase the measurement accuracy, it was equipped with a Hoengyang (橫梁, Cross-bar) and used a Youngbu (影符, Shadow-Definer) which was invented during the Yuan dynasty (1271 ~ 1368). The cross-bar wa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lumn and this structure was called Eol. In addition, three plumbs hanging from the cross-bar was employed to vertically built Eol on the measuring scale. This method was also used to not only check the vertical of Eol but also diagnose the horizontal of the cross-bar. Throughout this study, we found that a cross-bar in a gnomon has played three important roles; measurement of the shadow length made by the central part of the Sun, increase of the measurement precision using the shadow-definer, and diagnosis of the vertical of Eol and the horizontal of the cross-bar itself using the three plumbs. Henc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employment of a cross-bar and a shadow-definer in a gnomon was a high technology in the contemporary times.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is study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Large Gnomon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육조건과 먹이생물에 따른 왕우럭조개 (Tresus keenae) 유생의 성장과 생존

        민병희 한국패류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5 No.1

        In order to determine optimal larval rearing conditions, the growth and the survival (%) of larvae on rearing conditions (water temperature, salinity, rearing density) and live food for keen's gaper Tresus keenae were investigated. Live food was used by cultured three microalgal species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gracilis, Tetraselmis tetrathele) and microalgae concentrates (Shellfish diet 1800®, Reed Mariculture Inc., San Jose, CA, USA). The fastest growth was observed at 25℃ and the survival rate was over 30% at 15℃ and 20℃. The fastest growth and high survival of larvae were observed at 30 psu. The rearing density of larvae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 highest survival at 5 inds./mL. In the optimum rearing conditions of larvae the water temperature was 20℃, salinity was 30-35 psu and the rearing density of larvae was below 5 inds./mL. Larvae fed o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ultured microalgae showed the fastest growth at 3 × 104 cells/mL/day and the highest survival at 1 × 104 cells/mL/day. Larvae fed on cultured microalgal species and microalgae concentrates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 highest survival at CM100 (cultured microalgae 100%) but the late growth at IA100 (instant algae 100%). Larvae fed on different feeding concentrations of microalgae concentrates showed the fastest growth at 2 × 104 cells/mL/day and the high survival at 1 × 104 cells/mL/day. Thus, larvae showed the fast growth and the high survival fed on microalgae concentrates or cultured microalgal species mixed instant alga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microalgae concentrates was 1 × 104 - 2 × 104 cells/mL/day for elevating the growth and the survival for larval rearing of T. keenae.

      • KCI등재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민병희,이기원,안영숙,안상현,이용삼,Mihn, Byeong-Hee,Lee, Ki-Won,Ahn, Young Sook,Ahn, Sang-Hyeon,Lee, Yong Sam 한국천문학회 2014 天文學論叢 Vol.29 No.1

        Sambok (三伏, Three Hottest Days) is the common designation of Chobok (初伏, Early Hot Day), Jungbok (中伏, Middle Hot Day), and Malbok (末伏, Late Hot Day), and widely known to be one of the Korean folk customs. Hence, Sambok is notated in Manseryeok (Ten Thousand-Year Almanac) and in the annual astronomical almanac publish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Sambok in Korea based on various documents such as Joseonwangjosilok (朝鮮王朝實錄,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eungbo-Jakryeoksik (增補作曆式, The Supplement of Manual for Calendar Making), astronomical almanacs, and so forth. According to Jeungbo-Jakryeoksik preserv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hobok and Jungbok are defined as the third and fourth Gyeongil (庚日,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s in Sexagenary Cycles Assigned to Each Day) after the summer solstice, respectively, and Malbok is the first Gyeongil after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However, if the summer solstice is Gyeongil, then the third Gyeongil counting from the solstice becomes Chobok. Malbok depends on the time of Ipchu. Ipchu itself becomes Malbok if the time of Ipchu is in the morning, or next Gyeongil becomes Malbok if it is the afternoon. On the other hand, Malbok is defined as Ipchu itself regardless of its time according to Chiljeongbobeob (七政步法, Calculating Method for Sun, Moon, and Five Planets), Chubocheobryeo (推步捷例, Quick Examples for Calendrical Calculations), and so on. To verify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Sambok, we examined the record in the extant almanacs during the period of 1392 to 2100 for which the summer solstice or Ipchu is Gyeongil. As a result, we found a periodicity that if the time of Ipchu is in the morning, in general, the time is in the afternoon after two years and then is back into in the morning after nineteen years, i.e., the 2 + 19 years periodicity. However, we found the 2 + 17 years periodicity in some years. We also found that the Chobok method of Jeungbo-Jakryeoksik has been used since 1712, the thirty-eighth reign of King Sukjong (肅宗). In addition, we supposed that Malbok had been determined by the method like Chubocheobryeo since either 1846, the twelfth reign of King Heonjong (憲宗), or 1867, the fourth reign of King Gojong (高宗). At present, these methods of Sambok are customarily used without any legal basis. We, therefore, think that this study will help conventionalize the method defining Sambok in the future.

      • KCI등재

        『四書章句集注』와 사대부 사회의 변화

        민병희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The shift from the Five Classics to the Four Books in the classical authority reflects dramatic changes in Chinese history. This paper examines how Zhu Xi created the new set of textual tradition and how this new Classic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literati society.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Dao learning on the textual genres and practices and briefly explains the textual history of the Four Books. Zhu Xi chose interlinear commentary format as the method of exegesis. With serious reflections on the given tradition, Zhu Xi made conscious choices to create a new textual tradition in the crucial turning point of Chinese history. The literati who accepted and participated in building up this new tradition also made choices. The Four Books and the interlinear commentary format reflect the shift in the locus and nature of the authority in the new textual tradition. The nature of the new cultural tradition, the Four Books,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he authority of the texts is, in theory, grounded in the universality of human mind and in the real world it is grounded in the literati community that shares the texts as the common ground for their peer dynamics. The example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Zhu Xi and Zhang Shi and the process of Wu Shidao's conversion to the Dao learning show the way of how this new textual authority constructed the literati identity and networks through this new textual authority and diverse related textual practices in the Dao learning. 유가의 전통적 경전적 권위였던 五經 체제에서 四書 체제로의 전환은 매우 극적인 전환이다. 송대 주희에 의해 새롭게 정립된 사서의 경전적 권위는 유가의 텍스트 전통과 교육뿐 아니라, 유가의 성격 자체를 변화시킨 일대 사건이었다. 이 논문은 사서의 출현을 문헌학적이나 경전의 철학적 의미의 구명보다는 사대부 사회의 변화라는 당시의 사회적 변화와 연결시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주희가 『사서장구집주』가 널리 전파되어 그렇듯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던 것은 이 새로운 경전적 권위가 당시 이를 수용하였던 계층의 필요와 욕구에 상당한 호소력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서의 어떠한 면이 이들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었는가? 사서의 수용과 인기는 이들의 필요와 욕구가 어떠한 것이었음을 말해주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사서장구집주』가 탄생하게 된 도학의 출현에 따른 텍스트의 다양한 변화 중에서 사서라는 새로운 경전적 권위가 필요하게 된 배경과 사서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희가 취한 주석 형식에 주목하여 이러한 새로운 경전적 권위를 요구했던 사회적 변화를 설명한다. 그리고I이러한 경전의 성격의 변화가 도학이 가져온 여러 학습 관행 등의 변화와 더불어 어떻게 사대부 사회를 변화시켰는지를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사대부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정치적 어젠더의 구현을 위해 도학은 학의 과정에서 사대부 네트워크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정치적 영역의 일들을 처리하였으며, 이때 텍스트를 통한 네트워크의 형성과 그 성격의 규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사서라는 기존의 경전적 권위를 대체한 새로운 경전 텍스트는 새로운 사대부 네트워크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사서와 행간 주석은 이러한 사대부 동료 간의 상호작용과 교류에서 가장 근원적인 공통의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사서의 권위는 사서가 사대부들이 가장 기초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텍스트라는 사실에서 오며, 사서가 창출해낸 논의의 형태와 기록은 또한 이 새로운 텍스트가 사대부들간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촉진하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공통적 텍스트에 기반을 둔 강학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사문제나 사회, 정치적인 문제도 토의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논의는 철학적, 학술적, 문헌적인 논의와 분리되지 않았다. 주자학의 학습 프로그램은 사회적, 정치적인 주제와 시사를 토론하기 위한 중요한 틀을 제공하였다. 주희와 장식의 서간의 예는 어떻게 사대부들의 일상적인 학습 네트워크가 동일한 과정에서 사회정치적 영역의 문제를 다루면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가를 보여준다. 오사도의 예는 공통된 사서라는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주자학의 학습 커리큘럼과 방식이, 개인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과 교환 등에 안정적이고 반복해서 나타나는 패턴으로서의 사대부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전파되며 유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듯 사서는 변화한 사대부 엘리트의 위상과 역할, 이들이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과 영향력의 성격의 변화를 반영한 산물이자,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요한 기제로 작용하였다.

      • 삼복의 결정법과 역사

        민병희,이기원,최고은,안영숙,Min, Byeong-Hui,Lee, Gi-Won,Choe, Go-Eun,An, Yeong-Suk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삼복(三伏; 초복, 중복, 말복)은 한국의 전통적인 세시풍속이면서 오늘날에도 널리 알려져 있는 잡절 중의 하나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역서나 1900년부터 2100년까지의 역일 자료를 계산한 "만세력"에도 삼복 일자를 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역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삼복 일자의 결정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작력식(作曆式)", "증보작력식(增補作曆式)"에 의하면 초복과 중복은 하지로부터 각각 3번째, 4번째 경일(庚日), 말복은 입추로부터 1번째 경일이며, 만일 하지가 경일인 경우에는 하지일로부터 3번째 경일을 초복으로, 입추가 경일인 경우에는 입추 시각이 오전인 경우 그날을 말복으로 오후인 경우 다음 경일을 말복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먼저 하지나 입추가 경일이 되는 해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하지 시각이 오전인 해의 2년 후에는 시각이 오후인 해가 있었고, 19년 후에 다시 하지 시각이 오전인 해가 돌아옴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종 2+19년 주기가 아닌 2+17년 주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삼복 일자와 관련하여서는 적어도 1752년(정조 22) 이후부터는 "증보작력식"의 삼복 결정법이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편찬된 1930년의 역서를 제외하고는 1861년(철종 12) 이후부터는 남병길의 "추보첩례(推步妾例)"에 따라 입추 시각에 무관하게 그날이 경일이면 말복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에는 삼복 결정법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이 "추보첩례(推步妾例)"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