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남항 해저퇴적물 중 유해화학물질의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민병규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산남항 해저퇴적물 중 유해화학물질의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민 병 규 전남대학교대학원 환경해양학과 (지도교수 : 조현서) (국문초록) 정화?복원으로 준설이 행해지고 있는 부산 남항 주변에 선박수리소, 공동어시장, 수산물 가공업체 등의 산업시설들이 위치하여 오염물의 유입이 발생 할 수 있는 해역으로, 항만의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해저퇴적물 중 COD, AVS, IL은 BN 7번에서 다른 정점에 비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지형적으로 입구가 좁아 해수의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 지지 않은 결과로 다소 높은 농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물양장과 공동어시장 부근 해역에 위치한 BN 2번, BN 3번, BN 4번에서 국외 퇴적물 관리 기준을 적용한 결과 중간 오염 수준 이상을 보여 해저퇴적물에 대한 관리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2차 조사와 1차 조사의 결과를 비교하면, 비슷한 농도를 보이거나, 1차 조사에 2차 조사 결과 보다 높은 농도 수준을 보였다. 유해화학물질 중 PCBs, PAHs, BTs의 경우 2차 조사의 농도 범위가 1차 조사의 농도 범위에 비해 다소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미량 금속의 오염도 평가 결과에서 BN 7번에서 8개 항목 모두 Class 5의 수준 이상을 보여 다소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구리는 선박수리소 부근 해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Class 6의 수준으로 심각한 오염 수준을 보였다. 유해화학물질의 유입원을 각 화합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PAHs의 경우 1차 조사 전 정점에서 연소기원의 형태를 보였으나, 2차 조사에서 준설 등의 영향으로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유입되는 기원 또한 연소기원과 유류기원의 형태를 보였다. 2차 조사에 농도의 감소로 인하여 유입되는 기원 또한 다양하게 바뀐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PCBs의 Congener 분포 결과 1차, 2차 조사에 BN 2번, BN 5번, BN 8번에서 육상의 유입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BN 8번에서 1 염소화에서 높은 비율로 최근 유입이 강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자세한 유입원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Ts는 선박의 활동으로 인해 TBT가 최근에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 항목과 유해화학물질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1차 조사에서 높은 농도의 유해화학물질로 인해 일반항목과 상관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2차 조사에서 준설의 영향으로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유기물 지표인 COD, IL 등과 좋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유기물은 중금속과 좋은 상관성을 보여 항만 내에 동시에 유입이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3단계 교정-수술 병행치료와 선수술-후교정치료의 치료기간에 관한 연구

        민병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3단계 교정-수술 병행치료 환자 (1군) 와 선수술-후교정치료 환자 (2군, 100일 이하의 최소 술전 교정치료를 포함) 의 전체 치료기간과 술전 및 술후 교정치료 기간을 비교하고, (2) 1군의 술전 교정치료 기간과 술후 교정치료 기간 사이의 상관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재료 및 방법: 연구 대상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인 환자로서 비발치 교정치료와 양악수술을 시행했고, 초진 (T0), 수술 1달전 (T1), 수술 직후 (T2), 장치제거 (T3) 시의 차트 와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 의 자료가 확보된 환자이다. 1군 (n=26, 남자 11명, 여자 15명, 평균연령=21.16±2.77세) 과 2군 (n=18, 남자 7명, 여자 11명, 평균연령=23.86±5.63 세) 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T0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치아-골격변수와 수술량 (T2-T1) 을 측정하고, 전체 치료기간 (T0-T3) 과 술전 (T0-T1) 및 술후 교정치료 기간 (T2-T3) 을 기록하였다. 통계는 independent t-test 과 Correlation analysis 를 시행하였다. 결과: T0에서 두 군간의 치아-골격변수값의 차이가 없었고, 수술량의 차이도 없었다. 따라서 전체 치료기간과 술후 교정 치료기간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3단계 교정-수술 병행치료와 선수술-후교정 치료에 의한 치료법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전체 치료 기간과 술전 교정치료 기간은 1군이 2군에 비하여 각각 324.21일, 385.71일 길었다 (647.15 days vs. 322.94 days; 416.27 days vs. 30.56 days; all P<0.001). 술후 교정치료 기간은 2군이 1군에 비해 63.26일 길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 (257.61 days vs. 194.35 days; P>0.05). 1군에서 술전 교정치료 기간과 술후 교정치료 기간 사이의 역상관 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으며 (P>0.05), 술전 교정치료를 오래 시행한다고 하여도 술후 교정치료 기간이 짧아지지 않았음을 의미하였다. 결론: 선수술-후교정치료가 3단계 교정-수술 병행치료에 비하여 치료 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었다는 본 연구 결과는 선수술-후교정치료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의 기본적인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중소기업의 경영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병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조직성과의 결정변수로써 경영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지식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변수의 개념 및 관계 설정을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경영자원을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신뢰도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성과는 직무만족과 내부성과로 구분하였다. 또한 지식공유 활동도 조직지식 중심형과 정보공유 중심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 주로 국내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Stata13.1으로 분석하였다.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을 포함한 변수에 관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우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우위는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경영활동에 대하여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조직경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과 함께 경영자원을 공유하면서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경영리더는 효과적인 조직경영을 위해서 다양한 혁신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조직구성원은 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조직차원으로 공유 및 확산하는 지식경영을 통해 효과적인 전략경영을 수립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실현하고, 조직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향후의 연구에서는 폭 넓은 지식경영의 활동을 이해하면서도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연구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 분야로도 확장하여 신뢰도가 높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경영자원, 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인적배려, 거래적리더십, 상황적보상, 예외적관리, 조직이미지, 지각한 조직정체성, 해석한 외부이미지, 내부평판, 비전공유, 근무환경, 경영안정, 사회적책임, 제품우위, 기술우위, 제품 및 기술, 지속관리, 조직성과, 직무만족, 직무효능, 대인관계, 급여보상, 업무성과, 능률성, 효과성, 공정성, 지식경영, 조직지식중심형, 정보기술중심형 (Abstract) Impact of Managerial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 Byungkyu Min Department of Asse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essor Youngkook Kim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the impact of managerial resourc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s their determinan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nd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based on these, managerial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leadership, organization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reliability whil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ere classified into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performances. In additio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knowledge focused activities and knowledge sharing focused activities. Based upon these classification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up. For an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mainly with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13.1.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were conduct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of the sampl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advantage were shown to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advantage were shown to have an impact on work performance. Third, it was shown tha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dentity of an organization as well as to share managerial resources with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ism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addition, the management leader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hould play various innovative role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enterprise and enhance its competitiveness by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that enables sharing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he future extension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in research methods that allow more objective measurement while understanding a wide range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s needed. Furthermore, for higher reliability of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into the service area. Keywords: Managerial resources,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Personal consideration, Transactional leadership, Situational compensation, Exceptional management, Organizational image,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Interpreted external image, Internal reputation, Vision sharing,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tability, Social responsibility, Product advantage, Technology advantage, Product & technology, Continuing manage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Job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ge compensation, Work perform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Fairness, Knowledge management, Organizational Knowledge-focused, Information technology-focused

      • 한국 남해 연안 및 동중국해의 미세플라스틱 (Micro Plastics, MPs) 분포 특성 연구

        민병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여름철 우리나라 남해 해역과 제주도 남측해역에 해당하는 동중해를 대상으로 표층 해수와 해저 퇴적물을 채취하여, Array detectors가 탑제된 FT-IR를 이용하여 정성·정량분석을 통해 표층 해수와 해저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의 풍도(abundance), 재질(material), 크기(Size), 형태(Shapes) 분포 특성을 연구하고, 대상 연구 해역에 유입되는 각 해류(중국연안해류, 중국의 양쯔강 유입수, 대만난류, 쓰시마 해류 등)에 의해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 특성을 밝히기 위해 대상해역에서 2021년 6월 24일부터 27일, 2021년 8월 17일부터 20일, 2021년 9월 1일부터 3일, 총 3회에 걸쳐 수온, 염분을 측정하고, 표층해수와 해저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 시료를 확보하였다. 수온의 경우 YE 해역과 EC 해역에서 북서측 해역으로 유입되는 중국연안해류(East China Sea Coastal Current)의 영향으로 저수온의 경향을 보였으며, 남동측 해역으로 유입되는 쓰시마해류(Tsushima Warm Current)의 영향으로 고수온의 영향을 보였다. 또한 SS 해역에서 남측에서 북상하는 쓰시마 해류에 의해 고수온의 경향을 보였다. 염분의 경우 YE 해역과 EC 해역에서 여름철 남서측 해역으로 강하게 유입하는 중국의 양쯔강 유입수(Yangtze River Discharge Flow)의 영향으로 매우 낮은 염분을 보인 반면, 남동측 해역으로 유입하는 쓰시마 해류의 영향으로 매우 높은 염분을 보였다. 미세플라스틱의 풍도(abundance)는, 표층 해수의 미세플라스틱 풍도의 경우 0.01 ~ 0.56 (평균 0.16±0.11) Particles/L를 나타내었으며, 해저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 풍도의 경우 8.00 ~ 356.0 (평균 104.5±80.3) Particles/kg을 나타내었다. 해저퇴적물의 풍도는 표층 해수의 풍도보다 매우 높은 수준의 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각 해역별 표층 해수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풍도는, YE 해역 > EC 해역 > SS 해역 순으로 YE 해역이 다른 해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EC 해역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각 해역별 해저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풍도는, 표층 해수의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풍도와 같은 경향으로 YE 해역 > EC 해역 > SS 해역 순으로 YE 해역이 다른 해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EC 해역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미세플라스틱 재질은 YE 해역, EC 해역, SS 해역 모두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3종만 검출되었으며, Polyethylene과 Polypropylene의 합이 약 80% 이상으로 매우 높은 백분율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크기의 경우 YE 해역과 EC 해역에서 0.02 ~ 0.3 mm Group에서 약 80% 이상으로 매우 높은 백분율을 나타낸 반면, SS 해역에서 0.02 ~ 0.3 mm Group이 약 60%를 나타내었다. 이는 육상과 인접한 지점이 많고, 타 해역에 비해 높은 해상활동에 의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미세플라스틱 형태의 경우 조각 형태, 섬유 형태, 필름 형태가 검출되었으며, 이 중 조각 형태가 YE 해역, EC 해역, SS 해역 모두 약 80% 이상으로 매우 높은 백분율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해역은 수온과 염분을 이용하여 중국의 양쯔강 유입수 Group, 대만난류 Group, 한국남해연안수 Group, 중국연안해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들 해류가 연구 대상해역의 미세플라스틱 분포를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각 해류별로 미세플라스틱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만난류(Tiawan Warm Current) Group은 제주도 남서측 해역으로부터 북상하는 대만난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제주도 남동측 해역에서부터 북상하는 쓰시마해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들의 해류는 높은 염분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쓰시마 해류의 고염분으로 인해 미세플라스틱의 부력을 높여 외해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된다. 또한 빠른 유속의 영향으로 해저에 퇴적되지 않고 해류와 함께 대한해협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양쯔강 유입수(Yangtze River Discharge Flow, YDF) Group은 양쯔강에서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으로 유입된 후 대상 연구해역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낮은 염분으로 인한 낮은 부력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플라스틱과 밀도가 큰 미세플라스틱이 양쯔강 하구역에서 퇴적이 되고, 밀도가 낮은 미세플라스틱이 부력을 통해 대상 연구해역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 본 대상 연구해역에서는 밀도가 낮은 Polypropylene, Polyethylene 재질이 90% 이상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남해연안수(Korea Southern Coastal water, KSCW) Group은 열염전선을 형성하는 구간을 중심으로 여름철 제주도 남동측 해역으로부터 북상하는 쓰시마 해류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이 우리나라 남해안으로 유입이 되지 않고, 대한해협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대상 해역의 물리 모델링의 유속과 유향에서도 확인된다. 중국연안해류(Chinese Coastal Current, CCC) Group은 정점의 수가 다른 Group에 비해 다소 적어 미세플라스틱 유입에 대한 분석이 어려웠다. 그러나 이들의 Group에 속해 있는 정점에서 여름철 냉수성 개체로 분류되는 동물플랑크톤(Calanus sinicus, Centropages abdominalis)이 발견됨에 따라 이 Group은 강하게 발생하는 저온의 중국연안해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southern coastal waters and the East China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targeted to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plastics. Samples collected from the surface waters and the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FT-IR with Array detectors, and the abundance, material, size, and shape were examined. Additionally, various water masses and currents including Chinese Coastal Waters, Yangtze River Discharge Flow, Taiwan Warm Current and Tsushima Warm Current were defined to assess their influence on the microplastics distribution. Samples were collected on June 24-27, 2021, August 17-20, 2021, and September 1-3 in the Yellow Sea (YE), South Sea (SS), and East China Sea (EC) while in situ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using CTD and the surface waters and the surface sediments were collected using bucket and Smith-Mcintyre grab,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s were relatively low in the YE and EC reg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ast China Sea Coastal Current flowing from the northwestern region. Tsushima Warm Current flowing from the southeastern region led to relatively high water temperatures. In the meantime, the Tsushima Warm Current also drove high water temperatures in the SS region. Yangtze River Discharge Flow, which strongly influences water mass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in the summer, caused fairly low salinity in the YE and EC regions, whereas high saline Tsushima Warm Current led to considerably high salinit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study region. In the surface waters, the abundance of microplastics ranged 0.01 to 0.56 particles/L (mean of 0.16±0.11 particles/L) while in the surface sediments, the abundance ranged 8.0 to 356.0 particles/kg (mean of 104.5±80.3 particles/kg), suggesting that higher abundance in the surface sediments compared to that in the surface waters. The mean abundance of microplastics in the surface waters was highest in the YE region compared to the abundance in the EC and SS regions, however, the abundance in the E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YE. The pattern in the miroplastics abundance in the surface sediments was similar to that in the surface water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ester were the only materials detected in the three region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ere composed of 80% of the total materials. For the size, the microplastic group with a size range from 0.02 to 0.3 mm were largely dominant in the YE and EC region (>80% in both regions), whereas the group consisted of approximately 60% of the total materials observed in the SS region. This indicates that the SS region was relatively closer to the land than other study regions and frequent marine activities also caused. For the shape, fragments, fabrics, and films were observed. Among them, fragments were dominant in all regions with > 80% of the total materials. Water mass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using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groups were the Yangtze River Discharge Flow group, Taiwan Warm Current group, Korea Southern Coastal Waters group, and Chinese Coastal Waters group.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plastics was assessed with the major groups due to the noticeable influence of the water masses on the distribution. The high saline Taiwan Warm Current and Tsushima Warm Current affected the Taiwan Warm Current group. Particularly, the high salinity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creased buoyancy of microplastics, and in turn enabled the microplastics to be transported from offshore. Additionally, the fast flow rates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lso assisted microplastics to stay afloat in the surface waters and to be rapidly transported through the Korean Strait. The Yangtze River Discharge Flow group was associated with microplastics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Yangtze River. However, the low buoyancy driven by the low salinity enhanced that a majority of microplastics with a large size and high density settled at the Yangtze River estuary before transported. In the meanwhile, it was likely that microplastics with the low density were transported to the study region due to high buoyancy. Thus, microplastics with the low density such as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were composed of 90% of the total microplastics in the study region.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s group was characterized by the separation by the thermohaline front which did not allow microplastics to across the front and further not to move close to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Instead, the microplastics were transported to Korean Strait along with the Tsushima Warm Current. As a result of physical modeling, the separation was also confirmed by flow rates and flow directions. The Chinese Coastal Waters group had less sampling stations, which managed to analyze the intrusion of microplastics into the study region. Given that the cold water zooplankton species such as Calanus sinicus and Centropages abdominalis were detected in the group, the significantly low water temperatures of the Chinese Coastal Waters was likely to influence this group.

      •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민병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주거문제는 역사적으로 비추어 볼 때 어제오늘의 사회문제로 볼 수 없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고질적인 사회문제 중의 하나이다. 해방이후 한국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경제적인 수탈에 주거문제는 경제적 사정에 기대하기 어려웠고, 한국전쟁 이후 전란으로 남북한의 피해는 주택의 패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 주택의 절대량은 부족하였다. 이후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의 물결은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유입은 경제개발이라는 정책의 우선에 밀려 주거 상황은 도시의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어 산동네, 달동네 중심으로 판자촌 등 무허가 불량주택으로 겨우 비바람을 막아 주는 은신처의 역할에 머무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은 주택문제를 심화시키는데 역할을 하였다.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의 현상이 주거문제를 악화시키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급속한 인구증가는 당시 전통적인 가족의 분화로 핵가족화는 가구 수의 증가로 이어져 주택문제를 야기하는데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일반 주거의 양적 확대로 어느 정도 주거문제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나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과 주거안정은 갈수록 어려워 정부에서 위기의식을 느끼고, 이후 임대주택의 공급 활성화를 위해 관심을 갖고, 소형 위주의 아파트, 다가구, 다중다세대 주택을 중심으로 임대주택의 건설 공급을 추진하였다. 그 간의 임대주택의 정책들은 서민들의 주거 공간 확보를 마련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시중보다 저렴한 임대료 지원을 통해 자가 촉진을 위한 기회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계가 있었다. 비로소 1984년 정부가 임대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하는 정책으로 「임대주택건설촉진법」을 제정․공포하여 임대주택정책의 제도적인 지원 수단으로 임대주택의 택지지원, 세재지원, 금융지원 등으로 어느 정도 효과는 있었으나 정책적으로 현장에서 실행되지 못한 정책의 괴리도 있었다. 1993년 「임대주택건설촉진법」을 「임대주택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고령화 사회에서 이미 고령사회로의 전환은 거주자들의 ‘삶의 질 ’ 향상은 곧 인구 및 사회의 가구구조가 수요의 다양화로 실수요 중심으로 패턴이 변화되고 있다. 그 간 임대주택정책이 본격적으로 개정되어 도입된 후 25년이 경과하여 임대주택정책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 ‘열등재’로만 여겨왔던 공공재에서 주거만족도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주거 가치를 충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인식이 필요하다. 이에 대응하여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한 저소득가구의 지불 능력 부족으로 임대주택을 선호한 정부 정책의 대안으로 주거안정을 위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공급에 한계가 있었다. 민간공공임대주택과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임대주택과의 비교 시 물리적인 환경과 사회적․심리적인 환경의 입지여건 등은 민간공공임대주택정책의 이분적인 정책으로 유기적인 연계망 등 부족으로 수요에 대응하여 질적인 공급의 획일성 등에 소홀한 점들이 있다. 이러한 정책들의 평가는 향후 민간공공임대주택정책의 주거만족도 질적인 향상의 필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에 따라 필요성을 인식하고, 민간임대주택이 지니고 있는 주요 환경의 제 인자를 중심으로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변수들을 매개로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결과 변수를 분석 평가한다. 앞으로 민간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정책과제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 연구의 수행 방법으로 민간공공임대주택의 거주환경의 전체적인 질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해 수도권 중심으로 민간공공임대주택의 중형(34평형)을 대상집단(target group)으로 선정하였다. 수요자 중심으로 민간공공임대주택이 질적인 측면에서 임차인들의 만족이 어느 정도 충족되었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민간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임차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의 결정요인 중요도는 물리적인 환경요소를 주로 평가 요소로 하여 조사 대상은 수도권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총 120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집 된 임차인의 설문 조사결과는 SPSS 19 컴퓨터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의 내용은 주거환경에 대한 빈도분석, 내적인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신뢰도분석, 변인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분석, 인구학적인 특성과 주거환경 간의 연관성에 따른 교차분석, 변인 간의 연관을 위한 상관관계분석,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등을 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 선진외국의 사례에 분석한 내용과 함께 정책적인 제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의 연구 분석은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해 검토 및 분석하기 위해 국내의 정부 기관의 자료와 통계자료, 임대주택 관련 참고 문헌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범위를 넓혀 선진외국의 임대주택제도 및 실태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대주택의 제도가 처음으로 도입한 시기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빈곤을 면하기 어려운 시기에 주된 관심사는 우선, 의⦁식 ⦁주가 선결의 과제였으며 임대주택이란 제도의 시스템은 전무였다. 비로소 1966년 ‘공동주택법’을 제정하면서 제도를 마련하였으나 임대주택공급은 쉽지 않았다. 1984년 ‘임대주택건설촉진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임대주택공금이 활성화하는 데 있어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후 1993년 ‘임대주택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금융지원 및 택지지원 등으로 체계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임대주택제도의 기틀을 마련한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부터 민간건설임대사업자들이 본격적으로 공공임대아파트 건설 사업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공공임대주택의 제도를 도입하여 본격적으로 건설⦁ 공급에 있어서 성과적인 측면에서 재정지원을 통해 저렴한 주거비로 서민 주거안정과 생활 안정을 도모하였다. 주택시장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임대주택의 활성화는 생산과 더불어 고용을 유도하고 주택공급의 확대로 이어져 집값을 안정화 및 주택보급률 증대에 기여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집 없는 서민들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가 보유에 기여하였다. 위에서 임대주택 관련 제도와 공급에 따른 변천 과정 등을 살펴본 결과 서민 주거안정, 내 집 마련의 기회 등 양적인 기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아파트에 비해 공공임대아파트는 소형평형, 시공사의 부실공사, 마감재의 부실시공, 아파트의 관리, 입지에 따른 접근성 등은 여전하게 공공임대아파트 거주들로부터 주거만족도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아 본 논문에서 신도시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임대아파트는 크게 제도권임대아파트와 비 제도권임대아파트로 구분한다. 본 연구는 제도권의 임대아파트 중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재정지원, 국민주택 기금지원, 택지지원 등으로 건설하여 임대하는 민간건설 공공임대아파트에 한하고 있다. 최근에 아파트 가격과 전세가의 급격한 상승은 공공건설임대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즉 임대아파트의 쾌적한 주거환경의 만족도의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변인 항목으로 선정하여 연구 모형의 체계성에 의한 인과성(因果性)과 연관성(連貫性) 등을 통해 분석(分析)하였다. 넷쩨, 조사대상에 대한 의견으로 현재 살고 있는 공공임대아파트로 이주동기와 개선분야에 따른 질문 의견이다. 직접적인 이주의 동기는 내 집 마련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두 번째로 향후 투자가치 수단으로 이주하게 된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개선분야의 질문에 대한 의견은 아파트의 질적인 수준 향상에 따른 문제점으로 입지여건과 외부환경요인, 내부구조의 설계, 품질 및 시공 상태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입지선정에 따른 접근성이 높게 개선방안으로 나타났다. 아직도 정부의 근본적인 정책방안이 수립되지 않아 공공임대아파트의 질적 수준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연구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음은 구매의향, 추천의향, 분양전환 적당 시기, 이전 주택과의 비교 등에 관하여 질문한 의견이다. 앞으로 임대아파트의 분양전환 시 구매의향이 93.5%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추천의향이 72.9%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주거만족도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나 직접적인 내부 마감재, 바닥재 등의 직접적인 보수 등 개선이 빠르게 진행되고 반복적으로 하자의 빈도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간접적으로 내 집 마련과 자가 구입의 촉진요인으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구매의향과 추천의향 등이 보다 높게 나타나는 현상은 부동산의 구매력이 큰 재화로 이를 구매하거나 남에게 추천하기에는 다소 심리적인 부담이 되는 재화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높게 통계가 나타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자료 등을 감안하여 비추어 볼 때 양면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으로 보인다. 다섯째, 본 논문을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공공임대아파트의 질적인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우선 민간건설업자의 하자 빈도의 발생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부실시공에 기인한다. 임대아파트의 건축의 평가 및 건축비, 감리비용, 부대비용, 공사비 등의 기준이 되는 ‘표준건축비’와 관련성이 있다. 이에 따른 부실시공 등을 방지하고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 우선 매년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인상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정부에서 동결하고 있는 ‘표준건축비’의 현실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민간사업자들의 발목을 묶고 있다. 이에 따른 관련 법 등 제도 마련 등의 개선안이 필요하다. 다음은 선진외국의 사례에서 이론적인 고찰에서 연구 분석한 정책들로 임대주택의‘품질점수 연동재’이다. 우리나라의 임대주택시장에 비추어 볼 때 선진외국의 경우 사회주택의 개념으로 일반주택과 비교 시 임대주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점은 우리나라보다 재정적인 지원과 더불어 다양한 정책적인 제도가 마련되어 임대사업자들이 임대주택건설 공급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즉 국가 위주의 개발보다 민간 위주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각종 정책들이 현실화에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주택의 환경 등을 반영한 물리적인 상황 등을 산정방식에 따라 주택의 질을 평가하여 임대료 인상 등에 반영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를 정책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음은 공공임대아파트의 단지의 ‘입지접근성’의 개선이다. 질적인 서비스 수준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임대아파트가 지니고 있는 가장 문제점이 단지의 입지선정 접근성의 불편이다. 단지의 입지선정의 형성은 재개발사업이나 정부의 택지조성 사업에서도 자주 목격되듯이 단지의 균형발전을 위한 형평성의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정책적인 제도가 마련하여야 한다.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대부분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러한 직종은 시간과의 전쟁이고 곧 싸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곽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 등의 접근성이 떨어져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 등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짓고 있는 신도시 개발 주택사업구역에서도 외곽지역에 위치하여 지하철의 역세권으로부터 떨어져 환승 등을 이용하여 대중교통편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향후 임대아파트 단지와 일반 아파트단지의 균형 있는 조성 사업으로 차별화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 세심한 배려의 정책들이 입안단계부터 수립되어야 한다. 향후 공공임대아파트의 정책들이 위에서 개선방안으로 제시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e housing problem in Korea has been a social problem for a long tim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t is one of the chronic social problems of our society. After independence, due to economical exploi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difficult for Koreans to expect that economic situation would resolve housing problems. After the Korean War, the loss of housing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damag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absolute amount of housing was insufficient. Since then, the wave of urbanization caused by industrialization has pushed the influx of population from rural areas to the city and housing policy was set aside as a priority when the policy of economic development took the center. The housing situation has spread to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city. The houses were just hiding places from only rain and wind, which are illegal houses centered on slums around the cities.   Thes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epening the housing problem. Although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large cities accounted for a big part in exacerbating the housing problem,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t that time led to the division of traditional families, and the nuclear family caused the number of households to increase, which is one of the reasons causing the housing problems.  In this situation,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existing general housing could alleviate the problems somewhat, but it becomes more difficult for the common people to bear housing costs and have a stable house.  The construction and supply of rental housing was promoted focusing on small-sized apartments, multi-family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After the government felt the crisis, they were interested in revitalizing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and promoted the construction and supply of rental housing, focusing on small-sized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Although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elf-promotion through cheaper support for rents than the market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 in order to secure residential space for the common people, there are limitations. In 1984, the government enacted and promulgated the “Rental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Act” to support the revitalization of rental housing with housing site support for rental housing, tax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lthough it was effective, there was also a gap that the policy was not implemented in the field.  In 1993, as the 「Rental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Act」 was completely revised into the 「Rental Housing Act」, it was implemented in earnest.  In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the transition from an aging society to an already aged society,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become a new pattern that is centered on practical demands of users because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in society has become various. After 25 years the rental housing policy was revised and introduced in earnest, and the rental housing policy has also shifted to a new paradigm, it is needed to change a consciousness from public goods considered as ‘inferior goods’ to a new direction considered as satisfaction on housing valu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quality improvements in housing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hat, even though it contributed to housing stability as an alternative to the government policy because of the lack of ability to pay for low income households who could not afford to have their own house. there was a limit to supply.  In comparison with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and public rental housing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there are some neglected points on uniformity of quality supply in physical conditions and location condition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since organic connections lack due to dichotomous in the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policy. It is a necessary process of qualitative improvements to evaluate these policies in future private and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based on the background, and focusing on the factors of the main environment of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and depending on the factors to influence housing satisfaction, it derives the determinants and then it analyzes and evaluates result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as a policy task for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a target group with medium-sized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34 pyeo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review the overall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by conducting the research method. It measured how much residents satisfied the quality of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centered on consumers. It surveyed households living in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It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determinant of housing satisfaction mainly ba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s an evaluation factor, and it selected 120 households living in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t analyzed the survey results of the sampled residents by using the SPSS 19 computer statistics package. Its contents of statistical analysis include frequency analysi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eliability analysis to check internal consistenc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variables, cross-analysis depend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a policy proposal along with the analysis of cases in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data and statistical data of domestic government agencies and reference literature related to rental housing in order to review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that could affect housing satisfaction. In addition, it expanded a research scope that analyzed and utilized the rental housing system and actual conditions of advanced countries.    It summariz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when the rental housing system was introduced it was difficult to avoid poverty due to the Korean War. At that time, people were mainly concerned about clothes, food, and housing primarily and there was no even a system of rental housing. In 1966, the ‘Communal Housing Act’ was enacted and the system was prepared, but it was not easy to supply rental housing. In 1984, the ‘Rental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Act’ was enacted, and it laid the foundation to revitalize the rental housing in earnest. After the ‘Rental Housing Act’ was completely amended in 1993, the governments established a stable system with financial support and housing site support,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ental housing system. From this period, it was an opportunity for private construction rental companies to participate in projects of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Second, after introducing the system in the aspects of performance for construction and supply, the governments pursued housing stability and living stability for the common people with low housing costs by introducing the public rental housing system and financial support. Considering the whole housing market, this study found that activation of the rental housing could infer production and employment and then led to increased housing supply, so that it contributed to housing cost stability and housing supply increase.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self-ownership opportunities for people who do not have their own hou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ystem related to rental housing and the process of change depending on the supply, the public rental apartment contributed to stability of housing for the common people and the opportunity to buy a house, but compared to the general apartment, the public rental apartment had some problems such as a small floor plan, poor construction by the contractor, and poor finishing material, apartment management, and accessibility because of location, and even they have not been resolved in an aspect of housing satisfaction from residents so that this study suggested results, which focused on new towns, as alternatives.    Third, rental apart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rental apartments. This study set research scope into public supported private rental housing constructed and leas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with financial support, national housing fund support, and housing site support. Recently, because apartment and Jeonse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t is true that many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public  rental apartments. Indeed, this study set various variable items to influence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of the rental housing apartments, and it analyzed them based on causality and correlation based on a system of a research model.   Fourth, as an opinion on the subject of the survey, it is the question on the motive for moving to the public rental apartment in which respondents currently live and their improvements. As a direct motive for moving, owning a house was rated the highest, and the motive for moving as a means of future investment was the second highest. As for the questions about the improvements, it is the problem with the improvements of the quality of the apartment that include location condition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ternal structure design, quality, and construction status. Following them,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location was the second highest.  This research found that because the governments have not yet established fundamental policy measures, the quality level of public rental apartments has not been improved and evaluated as a very low state.   Then, it is an opinion that asked for purchase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suitable time for sale conversion, and comparison with previous house, etc. When converting a rental apartment to a pre-sale in the future, the purchase intention was high at 93.5%. Following this,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72.9%. Although overall,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was low, if direct repair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looring is rapidly progressing and the frequency of defects does not occur repeatedly, indirectly, it seems that they are satisfied somewhat from a facilitating factor for owning and buying a house. Considering that the statistics appeared highly even though it had somewhat psychologically burdened financial value to purchase or recommend it, this study found that this phenomenon has an ambiguity reflecting analysis data.   Fifth, this study suggested the summary and conclusion as follows.  The reason why the repeated defects occur in private contractors is  due to poor construction. It is related to the 'standard construction cost', which is the standard for the evaluation cost of a rental apartment, supervision cost, incidental cost, and construction cost, etc. In order to prevent poor constru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cost every year, reflecting the inflation rate, etc, but the governments have frozen the standard construction cost for a long time and it cannot reflect reality so that it binds the ankles of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legal or systematic Improvements on this condition.   Then, this study found a policy from a case of advanced states, which is called ‘quality score indexed material’ of rental housing. Reflecting Korea's rental housing market,  advanced countries have the concept of social housing and they have a much higher ratio of rental housing compared to general housing. It is because they have much more financial support and political systems than Korea so that rental business operators supply rental housing construction actively.   In other words, private-oriented development occurs much more than nation-oriented development, and various policies reflect the reality. In particular, they evaluate the quality of housing depending on the calculation method, reflecting housing environments and applying it into rental cost, etc. It is necessary for Korean governments to review this policy.   The 'location accessibility' of the public rental apartment complex should be improved. It is important to Improve service quality, but the biggest problem with rental apartments is the inconvenience of accessibility. As it occurs in redevelopment projects or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of the governments, it is necessary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a rental housing apartment complex to prepare based on the standard of equity.  Most of the residents in rental apartments are engaged in the service industry. Time is very important for this industry. Nevertheless, since it is located on the outskirts, it is difficult to access transportation,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in daily life.  Recently constructed rental housing of a new town housing business sector is located in the outskirts, which is far from subway stations and residents use public transportation after transfers, so that the governments have to establish policies not to discriminate rental apartment complexes with general apartment complexes from the drafting stage. In the future, the policies of public rental apartments should be existing continuously by identifying the problems that this study suggested as improvements. 

      • Selection of Plug Mixtures for Enhanced Seedling Quality and Transplanter Adaptability

        민병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growing onion, the planting work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at about 26% and relies 100% on human labor. The rural population has been aging recently. In a bid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a prerequisite to mechanize such planting work, an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relevant equipment and material, such as seedling trays and bed soil, suitable for an onion transplanter to be developed. Among the characteristics that a bed soil must have are adaptable characteristics for mechanical transplanting, such as high cohesion and heavy weight, a condition where germination rate and seeding quality must be similar to the ones of a soil used for raising seedlings on sale in the marke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ingredient selection test for developing medium suitable for bulb onion transplanter, the vermiculite mixing treatment plot and the red clay mixing treatment plot showed similar seedling growth and bulk density with those of the other ingredient treatment plots, whereas the root ball formation of these ingredient mixing treatment plots was higher than the other ingredients mixing treatment plots. Because of this reason, peatmoss and vermiculite were selected as the appropriate ingredients. In peatmoss, although the bed root ball formation of the wet peatmoss mixing treatment plot was similar to that of the dry peatmoss mixing treatment plot, it was thought that although both wet and dry types can be used, the wet type is more favorable as the wet peatmoss mixing treatment plot showed a more favorable seedling growth and bulk density. As all tested elements of the gold vermiculite mixing treatment plot and silver vermiculite mixing treatment plot showed a similar trend, it was considered that both types could be used. 양파 재배 시 정식 작업의 노력은 전체의 26%로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양파 정식 작업은 거의 100%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농촌 인력도 고령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을 절감하기 위해, 양파 정식작업의 기계화는 반드시 필요하며, 개발 기종에 적합한 육묘트레이, 상토 등의 관련 기자재 개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양파 기계정식 시 상토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는 상토 자체 응집성과 중량이 높아야 하며, 시판 양파 육묘용 상토와 발아율 및 묘소질이 유사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보유한 상토 개발을 위해 적정 재료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로 피트모스 등 8종을 유기질, 경량 무기질, 중량 무기질의 3개 범위로 나누어,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재료를 다른 범위에 속하는 재료와 혼용하여 묘소질, 상토 응집성 및 용적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묘소질 및 용적밀도는 모든 혼용 처리구에서 유사했으나, 상토 응집성은 피트모스 혼용 처리구, 버미큘라이트 혼용 처리구 및 황토 혼용 처리구가 기타 재료 혼용 처리구보다 더욱 양호하여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및 황토를 적합한 재료로 결정하였다. 또한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의 세부 재료 규격별로 혼용하여 시험하였는데, 피트모스에서는 습식 피트모스 혼용 처리구가 건식 피트모스 혼용 처리구와 상토 응집성은 유사하였지만, 묘소질 및 용적밀도에서 더 양호하였다. 따라서 습식과 건식 피트모스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습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 버미큘라이트 혼용 처리구와 실버 버미큘라이트 혼용 처리구 간에는 전 조사 항목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모두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