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hould Sociologists Be Reflexive?: A Reflexive Critique on Bourdieu's Reflexive Sociology and a Suggestion of the Bridging Institutions

        민병교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6

        The article explores the problem of reflexivity by critically examining Bourdieu’s reflexive sociology. The distinctiveness of his reflexive sociology l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flexivity and scientificity. I am interested in how reflexive sociology makes sociology scientific and objective. First, I 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autonomy, objectivity and symbolic power by summarizing his sociology of science. Second, while presenting his reflexive sociology, I argue that it cannot contribute to sociologists’ attaining symbolic power even if it might help the sociological field to be autonomous; he dismisses the fact that autonomy and symbolic power are different matters. Third, I attempt to shift the focus from the epistemic strategy to the social one for symbolically powerful sociology. Bridging institutions have two functions: making sociology authoritative by show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to the public and autonomous by screening external interventions

      • KCI등재

        사상과 대학이 만났을 때: 19세기 말 윌리엄 제임스의 생리학적 심리학 사상과 찰스 윌리엄 엘리엇의 하버드 개혁 간 상호의존성

        민병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찰스 윌리엄 엘리엇의 하버드대학 교육 개혁 초기 과정과 윌리엄 제임스의 생리학적 심리학 사상의 제도화 및 성장 과정 간 관계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물 뿐만 아니라, 이를 다룬 기존 연구의 경우에도 제도가 사상 성장의 조건이 된다는 관점에 입각해 제임스의 사상을 엘리엇의 제도 개혁의 결과물로 설명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제임스의 생리학적 심리학 강의 개설 과정이 곧 하버드 개혁의 걸림돌인 정신도덕철학자인 보웬의 권력 약화 과정이었음을 제시함으로써 양자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엘리엇의 개혁 없이는 제임스의 신심리학이 없었고, 제임스의 신심리학이 없었다면 엘리엇의 하버드 교육 개혁도 불가능했다고 논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상의 출현/성장과 제도의 출현/성장은 하나가 조건이 되고 다른 하나는 결과가 되는 일방적 관계가 아닌 상호 조건과 결과가 되는 상호의 존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쿤 대 부르디외: 쿤에게는 없지만 부르디외에게는 있는 과학 혁명의 구조

        민병교(Min, Byoung-Kyo)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과학 혁명에 대한 설명에 있어 토머스 쿤과 피에르 부르디외의 차이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과학 혁명의 원인을 쿤은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반면 부르디외는 할 수 있다고 논하고 그 이유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 연구에서의 교조주의가 패러다임이 확립된 정상과학뿐만 아니라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과학 혁명도 가능하게 한다는 쿤의 논의를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 혁명의 원인에 대한 쿤의 설명은 자가당착에 빠질 수밖에 없고, 이에서 벗어나기 위해 쿤은 패러다임 전환을 갑작스럽고 우연적인 믿음의 변화로 얼버무리며 설명을 회피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이처럼 쿤이 과학 혁명의 원인을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은 쿤의 이론적 도식에 과학 혁명의 원인이 되는 사회적 요인을 포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과학장 내 권력관계 구조 개념이 부재하기 때문이라고 논한다. 그리고 과학장의 권력관계 구조에 입각하면 어떻게 과학 혁명의 원인이 이론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 부르디외의 과학장 이론을 통해 제시한다. 이를 통해 지식의 변화에 대한 인과적 설명에서 이 개념이 가지는 유용성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omas S. Kuhn and Pierre Bourdieu in their explanations of scientific revolutions and argues that whereas the former cannot successfully explain scientific revolutions, the latter can. The article first presents Kuhn’s argument that dogmatism in scientific research enables normal science under an established paradigm and scientific revolutions. Based on this, the article shows that Kuhn’s explanation of scientific revolutions is bound to be self-contradictory—the only way to avoid it within his theoretical framework is to explain paradigm shifts through irrational factors such as sudden and accidental changes in beliefs. The article then argues that Kuhn’s inability to explain scientific revolutions is due to his lack of a concept of the structure of power relations in the relatively autonomous scientific field. Finally, by presenting how this concept can explain scientific revolutions, the article demonstrates its usefulness in explaining changes in knowledge.

      • KCI등재

        지능화된 플랫폼과 유기적 연대의 쇠퇴: 뒤르켐 이론의 변용

        김연철,민병교,박치현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5 No.-

        As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advance, the social impact of intelligent-platform technologies is growing. The existing studies focus on economic systems, the labor market, and job issues.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s a social change caused by intelligent-platform technologies from the Durkheimian perspective previously dismissed. To do so, it presents the operation and properties of intelligent-platform technologies. Then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intelligent-platform technologies on solidarity based on a reinterpretation of Durkheim’s theory.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as the dynamic density thinned because of the spread of intelligent-platform technologies; as a result, organic solidarity in society shall decline.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지능화된 플랫폼 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류적인 관점은 경제체제 및 노동과 일자리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지능화된 플랫폼이 미치는 전면적인 사회적 영향을 고려한다면, 더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부재했던 뒤르켐적인 관점에서 지능화된 플랫폼 기술이 가져온 변화를 연대 문제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능화된 플랫폼 기술의 작동과 속성을 분석하고, 뒤르켐의 연대 이론을 재해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능화된 플랫폼 기술의 확산으로 사회의 역동적 밀도는 낮아지게 되고, 이런 현상의 총체적 결과로 사회의 유기적 연대 수준이 낮아지게 될 것이라고 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