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1세기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한국사회학의 새로운 이론적 위상 정립을 위하여

        민문홍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이 연구의 목표는 뒤르케임의 저작들이 어떠한 통찰력 덕분에 출간 후 한 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여러 가지 도전들을 겪으면서도 수많은 사회학자들로부터 고전으로 인정받고 발전되어 왔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필자가 사용한 방법론은 뒤르케임 연구 관련 사회학자들의 문헌연구와 그 내용분석이다. 그러나 이 주제가 너무 광범위하고 그동안 축적된 수많은 연구들이 있기 때문에, 필자는 연구범위를 21세기 초부터 20년 동안의 뒤르케임 연구들에만 한정시켰다. 그리고 이 연구를 전략적으로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는 뒤르케임 관련 기념총서 세 권-『사회학 창시자로서의 에밀 뒤르케임(2008)』, 『뒤르케임은 오늘날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뒤르케임이 맞는가?(2011)』,『21세기 오늘날 다시 보는 뒤르케임(2018)』- 의 내용 중 몇 가지 핵심적 주제들을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둘째는 위의 세 기념총서 중 소르본 대학에서 뒤르케임 교수직을 계승하고 평생 고전사회학을 연구해온 ‘부동’의 논문과 저술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문화사회학 이론과 지배적인 뒤르케임 연구들에 대해 어떠한 비판적 입장과 평가를 내리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 셋째는 현대사회학의 거장인 부동이 다양한 고전사회학 전통을 종합해서 뒤르케임 사회학을 어떻게 혁신적․독창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고유한 현대사회학 이론인 ‘일상적 합리성 이론’을 만들어 갔는가를 그의 후반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21세기에 들어 새롭게 수행된 뒤르케임 관련 연구들과 부동의 사회학이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회학의 새로운 소명의식과 정신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각자 자신의 시대에 맞게 새로운 ‘사회학 이론 틀’을 만들어서, 현대사회의 ‘이념 갈등’과 ‘시민적 가치관’ 혼란의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뒤르케임에서 부동에 이르는 학자들이 자기 분야를 개척하고 해당 시대의 거장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들이 각자가 필요로 하는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해서 기존의 고전사회학을 혁신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인문사회학적 ‘분석 틀’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특히 37년간 부동에게서 배우고 그의 저작들을 연구해 온 필자는, 그의 ‘일상적 합리성 이론’에서 현대사회의 이념적 갈등 상황과 대의민주주의 제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참신한 이론적 대안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의 이론적 대안은 한국사회가 가장 시급히 필요로 하는 좌․우 이념 갈등의 극복과 21세기 우리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시민적 가치관’ 정립에 중요한 가르침을 주었다. 결국 필자가 5년간의 연구 끝에 발견한 21세기의 새로운 사회학 사상은, 사회학의 고전들을 지나치게 고정된 틀로 이해하지 않고 시대적 과제에 맞게 창의적 방식으로 종합하여 합리적․과학적 기반을 갖춘 새로운 통합과학적 인문사회학을 찾는 것이다. 필자는 이 모범 사례를 레이몽 부동에게서 찾았고, 그가 제안한 ‘일상적 합리성 이론’은 한국사회의 이념 갈등을 극복하는 것은 물론, 사회과학의 기초연구를 강화하거나 구체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reasons why so many modern sociologists have respected and developed Durkheim’s works as classic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critiques against his sociology for over one century. The methodology of our research 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Durkheimian studies collected by my research design. Because of a great many studies accumulated concerning Durkheim in this period, I set limits the period of our research from 2000 to 2020 and check various books published in this period. But still there are many books studied and published by sociologists of various schools, I strategically planned our work in three stages. Firstly, I have chosen three books celebrating the birth and the death of our founder of discipline. They are Emile Durkheim as a founder of modern sociology(2008), Durkheim whom we usually talk about is really Durkheimian? by his own standards?(2011), Emile Durkheim reevaluated by the view of sociologists of late modern society(2018). We reviewed these three books by focusing on key concepts as solidarity, cultural sociology, typology of social relations. And then we have explored the some new areas of sociology such as economic sociology, political sociology inherited from the Durkheimian sociological tradition. Secondly, among various articles edited by three books mentioned above, we have chosen only two important articles of Raymond Boudon to clarify his theoretical positions vis à vis cultural sociology of Jeffrey Alexander and the other dominant positions in interpreting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Finally we have explored the Raymond Boudon’s sociological theory-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from the view of 21st contemporary sociology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ways of synthesizing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sts such as Tocqueville, Durkheim, Weber, Simmel, and Adam Smith. In this research, we specially paid attention to his innovative and original way of interpreting the Durkheimian sociology on the basis of his overall synthesis of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es. And then we have observed him to elaborate his own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as a master scholar of this domai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at Durkheim and Boudon are sharing the same spirit of vocation of sociology and professionalism in seeking their own ways of sociology for the new academic frontier areas. This spirit consists in elaboration of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in tune with their times, necessary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for establishing righteous value system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e reasons why Boudon and Durkheim could become master scholars in their times in their own way. It’s because of their spirit for pioneering the new social scientific problematics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ir times. I finally reconfirm the scholar spirit and professionalism in their adventurous and persevering works for creating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against various challenges ahead of their vocation. Personally, I think that our research will provide new theoretical alternative for Korean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Korean sociologists who are wandering facing the crisis without any soli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I hope that this kind of theoretical research will help us to overcome the deep-seated ideological conflicts of our society and to establish the righteous value system, adequate and necessary for realizing the new future just order. The new sociological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we have discovered will guide us to the new way of thought in interpreting classical sociological tradition for developing boldly original ways of thoughts in tune with the task of our times. This will help us to find a integrated human & social sciences on the basis of a new rational and scientific foundation.

      • KCI등재
      • KCI등재
      • 한국사회 구조변화의 사회사상사적 이해 : 차성환 著『한국종교사상의 사회학적 이해』에 대한 논평

        민문홍 한국사회과학 연구협의회 1993 社會科學論評 Vol.- No.11

        이제까지 한국 사회의 변동을 사상사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려는 연구들은 크게 세 방향에서 진행되어왔다. 첫째는 역사학자들에 의한 연구이다. 한국근대사의 변동과정에 관한 이 분야의 연구로는 상당한 연구들이 축적되어왔다. 두 번째는 신학자들에 의한 연구들이다. 이들은 기독교의 한국사회의 토착화하라는 주제와 올바른 선교하는 주제로 상당한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방향의 연구는 사회학자들 자신에의한 직접적인 연구들이다. 최재석의 한국의 가족주의에 관한 연구, 신용하의 독립협회에 관한 연구, 그리고 박영신의 한국현대사회의 변동과정에 관한 연구, 그리고 정재식의 한국근대사에 관한 종교사회학적 연구가 여기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별로 따로 고립된 연구나, 몇몇 역사적 사건들을 서구 이론의 문제의식에 입각해 산발적으로 다루었던 한국의 현대사상사에 관한 연구는 이제 소장 사회학자들에 의해 한국 근대사회사상사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됨으로써 서로 접목되어 가고 있다. 필자가 알기에 이러한 연구붐은 1980년도 후반부터 다시 이루어졌다. 이 때부터 한국사회학자들은 서구 사회학계에서의 이론적.방법론적인 논의를 어느 정도 옆으로 밀어둔 다음에 몇몇 고전 사회학자들의 중심적인 사회학 개념들의 직접 우리 사회에 적용하는 연구작업들을 하기 시작했다. 한국사회의 커다란 정치적 시련기였던 이 시기에 마르크스 이론이 사회구성체론이라는 이름으로 한국 근대사를 정리하기 위한 개념 틀로 소장학자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검토 되기 시작한 것도 이때엿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