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비교

        이상옥 ( Lee Sang Ok ),민교 ( Min Qiao ),여은정 ( Yeo Eunje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수준과 인식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시민교육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197명과 중국 유아교사 163명 총 36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8일부터 2월 5일까지 3주간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모두 세계시민 역량에서 지식 및 이해, 태도 및 실천, 기술 순으로 인식하였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에서 한국의 유아교사는 유아 세계시민교육 실천,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순으로, 중국의 유아교사는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유아세계시민교육 실천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다음 세계시민 역량 인식을 비교하면 세계시민 역량에서 지식 및 이해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들이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유아세계시민교육 실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사교육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재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erception level and differ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purports to indicate meaningful the direc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306 participants including 197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63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for three weeks from January 18 to February 5, 2021.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oth Korea and China acknowledged the factors in the order of knowledge,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actical skills among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I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Korean teachers attached importance to the factors in the orde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e, the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sequ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le Chinese teacher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e sequ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children. Next, comparing the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Korea showed lower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than China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children. In addition the survey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and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structure the teaching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eacher re-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국내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상옥 ( Lee Sang Ok ),김수진 ( Kim Su Jin ),손은령 ( Son Eun Young ),김하늬 ( Kim Ha Ni ),이재성 ( Lee Jea Sung ),민교 ( Min Qia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외상 후 성장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203편의 외상 후 성장의 연구를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 외상 사건 유형, 연구 방법, 연구변인을 분석 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행연도별 동향은 2016년에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별 동향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자들이 경험한 외상 사건 경험의 특성으로는 대인외상을 보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 중 변인관계를 밝히는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변인별 동향은 외상 후 성장이 종속변인으로 된 연구로 외상 후 성장에 관련 한 변인 중에는 인지적 요소에 관한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posttraumatic growth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KCI-registered journals from 2014 to 2019. A total of 203 posttraumatic growth studies were analyed focus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the subject of study, the type of trauma the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variables. The main result were as follows. The highest number of publication was in 2016, the subjects most studied were adults, and the trauma most reported on in personal trauma. Among quantitative studie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wa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 with posttraumatic growth being the dependent variable.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cognitive factors were the most studied.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