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VM 회귀 모형을 활용한 격자 강우량 상세화 기법

        문희원,백종진,황석환,최민하,Moon, Heewon,Baik, Jongjin,Hwang, Sukhwan,Choi, Minha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1

        본 연구에서는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3B43 V7 (25 km)의 월 누적 격자 강우량을 1 km 해상도로 상세화하기 위해 Support Vector Machine (SVM) 회귀를 활용한 상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비선형 예측모델인 SVM은 상세화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수문기상인자와 강우 발생간의 월별 상관성 구축에 효율적으로 활용되었다. 상세화된 격자 강우는 전국에 고루 분포한 64개 지점 관측 강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세화 이전의 격자 강우 보다 다소 개선된 정확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세화 이전 격자 강우가 지니는 양의 Bias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상세화 전후의 공간분포 비교에서 두 분포는 평균적으로 유사했으나, 상세화 이전 강우의 공간분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강우의 국지적 특성이 상세화된 공간분포를 통해 잘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지점의 과소 및 과대산정이 상세화를 통해 개선되어 전반적인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세화 기법이 적용된 격자 강우는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입력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SVM 외에 다른 회귀 방식을 활용하여 최적의 강우 상세화 기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 spatial downscaling method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Regression for 25 km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Monthly precipitation is propos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among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and precipitation was effectively depicted by the SVM for predicting downscaled grid precipitation. The accuracy of spatially downscaled precipitation was estimated by comparing with rain gauge data from sixty-four stations and found to be improved than the original TRMM data in overall. Especially the positive bias of the original TRMM data was effectively removed after the downscaling procedur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25 km and 1 km grid precipitation were generally similar, while the local spatial trend was better detected by 1 km grid precipitation. The downscaled grid data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in hydrological modelling for higher accuracy and further be studied for developing optimized downscaling method incorporation other regression methods.

      • KCI우수등재

        학교급 간 혁신교육 연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문희원(Moon, Heewon),이승민(Lee, Seungmin),정영현(Jung, Younghyu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기 혁신학교 재학 경험과 중학교 시기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어느 정도 연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연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초등학생 코호트의 1-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진학유형에 따라 학생들을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 혁신초 졸업 후 혁신중에 입학한 학생들을 처치집단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세 개의 유형을 각각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중3 시기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이때 진학유형과 학업성취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혼동요인으로 인한 선택 편의를 완화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PSM)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초 졸업자의 60% 이상이 혁신중 진학을 희망함에도 실제로 혁신중에 진학한 경우는 40% 정도에 그쳐 혁신교육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혁신교육이 연계될 경우 학생이 경험하는 학생중심수업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내재적 학습동기의 감소 폭은 유의미하게 작았다. 또한, 혁신교육 연계는 학업성취도에도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간 혁신교육 연계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관련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o what extent experiences in innovation schools have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education and analyzed how the connectivity had an impac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Using 1-6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type of schools they attended. Before comparing academic achievements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were utilized to control for potential selection bias among students in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though more than 60% of the graduates of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wanted to go to innovation middle schools, only about 40% of them actually did so. This confirms that the linkage of innovation education between school levels does not work appropriately.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who attended innovati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onsecutively considered the degree of student-centered learning comparatively high, and the degree of reduction in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small. Lastly, the linkage of innovation education had several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continuity in innovation education between school levels and suggests relevant alternatives.

      • 인공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 관측 현황 및 활용방안

        문희원 ( Heewon Moon ),박종민 ( Jongmin Park ),최민하 ( Minha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토양수분은 수문순환 내에서 지표와 대기 간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 근래에 빈번해진 수재해 발생으로 통합적 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화됨에 따라 토양수분의 정확한 관측과 이를 활용한 연구에 대한 중요성 또한 재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토양수분 관측 현황은 관측지점 수의 부족과 빈번한 결측으로 인해 식생 및 지형이 불균일한 국내 환경 내에서 토양수분이 갖는 높은 시공간적 변동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필요한 면밀한 자료 구축에 다소 미비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인공위성으로 관측된 토양수분 자료는 자료가 갖는 시간적 연속성과 넓은 관측 범위는 토양수분 지점 관측자료의 보완 또는 대안으로 활용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관측에 활용되어 온 다양한 인공위성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각을 통해 산정된 토양수분 자료에 대해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측에 활용되는 다양한 인공위성 별로 물리적 관측 방식과 원시자료를 토대로 한 토양수분의 산정 과정은 상이하며, 이에 따라 결정된 자료의 특성은 자료의 활용에 앞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처럼 중요한 인공위성 토양수분 자료의 특성에 대한 올바른 파악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차후 국내 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인공위성 토양수분 자료 선정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심리적 안정감이 높은 학교의 특성 : 교장 리더십을 중심으로

        문희원(Heewon Moon),김시은(Kim Sieun),김옥결(Kim, Okkyol),이승민(Lee Seungmin),임주현(Lim Joohyeon),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되던 리더십 유형에서 벗어나, 바람직한 학교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교장 리더십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정감, 즉 조직 내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사소통에 참여해도 아무런 불이익을 당하지 않으리라는 믿음 형성을 바람직한 학교문화로 상정하였다. 심리적 안정감이 구축된 사례로 A 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학교 교사와 면담을 통해 학교 및 리더십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A 초등학교 교장의 리더십은 ‘신뢰를 주는 리더십’, ‘수업과 교사를 지원하는 리더십’, ‘비전공유를 위해 노력하는 리더십’, ‘자신의 권위를 내세우지 않는 리더십’, 그리고 ‘교사의 의견을 존중하는 리더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외에 교육철학을 공유하는 교사공동체 문화, 논의해서 결정하는 문화와 같이 기존부터 이어지던 A 초등학교의 문화적 요인과 작은 학교라는 환경적 요인, 혁신학교와 내부형 교장공모제라는 제도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구축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심리적 안정감 구축을 위한 일반 조직의 리더십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학교 조직의 심리적 안정감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incipal leadership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positive school culture. In this study,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a theory that explains the belief of organization members will not be disadvantaged even if they freely participate in discussion, was assumed as a positive schoo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those of principal leadership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e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here psychological safety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principal leadership, which can be summarized as trustworthy leadership , supportive leadership , shared leadership , leadership without authority , and respectful leadership ,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building psychological safety. Analysis also revealed that cultural,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factors, as well as principal leadership, affected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Specifically, factors such as teacher community, decision making process, school size, Innovation school, and the Internal Open Recruitment System of Principals (IORSP) interacted in a complex manner to create psychological safety.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leadership to build psychological safety in general organizations, and recommendations with regard to building psychological safety in school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교원교육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 정권별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문희원(Moon Hee Won),서지현(Suh Ji Hyun),김시은(Kim Si Eun),엄문영(Eom Moon 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한국교원교육학회’는 한국의 교원 교육에 관한 연구 및 협의를 통해 그 개선과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되었으며, 「한국교원교육연구(이하 교원교육연구)」를 연 4회 발간하고 있다. 교육행정 연구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여러 학회 중 하나로서 해당 학회의 정체성을 보다 분명하게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발간 중인 학술지의 연구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 시도되었던 분석 준거들뿐만 아니라 ‘의미연결망 분석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관점으로 「교원교육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학술지를 정권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각 정권의 교육공약과 실제 한국교원교육학술지에서 다루어지는 연구 내용의 유사성 및 관련성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교원교육연구」의 연구들은 각 정권에서 중점적으로 이슈화되었던 교육 주제들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현장 교원의 연구 참여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실제 현장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의 비중도 함께 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교원교육학회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is quarterly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KSSTE), the research association founded for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study. There are other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the similar aim, develop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Therefore, it is crucial to differentiate the identity of KSSTE from others,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allows us to clarify the identity. This study aimed to look back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especiall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at is allowing new and broaden perspective in reviewing research trends. Furthermore, we analyzed research topics by the regime and reasoned inductively the relation between research topics and educational policies of each regim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It seems that th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have reflected educational issues at each period, and the proportion of theoretical-practical research was also increasing as the participation rate of field teachers increased rec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KSSTE).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성과지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희원(HeeWon Moon),장웅조(WoongJo Cha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23 예술경영연구 Vol.- No.68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문화예술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성과지표를 탐색하여 이들이 창출한 성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토대로 현재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회적가치지표(SVI)와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평가모형(ARC-SPEM) 사례를 재검토하고 종합하여 사회적, 경제적, 예술적 측면에서 성과지표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계층분석과정(AHP)을 거쳤다. 분석결과를 통해 지표들 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적 성과지표와 예술적 성과지표에 비해사회적 성과지표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이 인식되고 있었다. 사회적 성과지표에서는 ‘문화복지 및 향유’와 ‘문화예술교육’이, 경제적 성과지표에서는 ‘예술가 일자리제공’이, 예술적 성과지표에서는 예술을 수단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가치를 유발하는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예술’이 우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현재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측정하고 있는 사례분석을 통해서는 기관마다 성과지표에 대한 기준이나 용어, 그리고그 범주가 상이하며,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을 만큼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여전히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술가 일자리 특성이나 기부금 및 후원, 서비스 중심의 활동과 장르별 가치사슬의 특수성을 사회적, 경제적, 예술적 측면에서 동시에 고려해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게 있어 예술적 성과지표 항목들은 예술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각 기업의 예술적 특성을 재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도 다시금 각지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성과지표를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성과지표를 다시 톺아보게 하는 동시에, 문화예술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술적 성과지표를 새롭게 제시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s are organizations that create diverse social values through cultural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rformance indicators for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ir performance and investigate their sustainability. To this end, we reviewed and synthesized literature on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cusing on the Social Value Index (SVI) and the Art & Culture Socia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ARC-SPEM) currently in use. This synthesis informed the proposal of new performance indicators spanning social, economic, and artistic dimensions. Subsequently, a survey among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 experts and a hierarchical analysis process (AHP) were conducted. The analysis highlighted the relatively recognized importance of social performance indicators compared to economic and artistic ones. ‘Cultural welfare and appreciation’ an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emerged as priorities in the social dimension; ‘providing jobs for artists’ was prominent in the economic dimension; and ‘art as a social activity’—which employs art to generate diverse values— was underscored in the artistic dimension. However, a case study on the current performance measurement practices of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s in Korea revealed inconsistencies in the criteria, terminology, and categories used across organizations, along with a lack of comprehensiv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or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 We conclude that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s, it is crucial to concurrently consider the peculiarities of art jobs, donations and sponsorships, service-oriented activities, and genre-specific value chains from social, economic, and artistic perspectives. Furthermore, artistic performance indicators not only impact artistic outputs but also influence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highlighting the need to acknowledge each organization’s unique artistic nature.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acknowledging the unique attributes of arts and cultural social enterprises.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revisiting previously overlooked performance metrics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by introducing new artistic performance indicators tailored to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 KCI등재
      • KCI등재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 효과성 분석 :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문찬주(Moon, Chanju),문희원(Moon, Heewon),이영선(Lee, Youngsu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일반고 교육여건을 개선하고자 도입된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효과를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생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2010, 2012, 2013, 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정책의 효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학교 만족도에 주목하여 이원고정효과(Two-way fixed effect)를 활용한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 결과,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모두 고1 시점에 비해 고3 시점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 태도, 학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최종 모형인 이원고정효과모형 분석 결과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을 경험한 처치집단의 고3 학생들의 국어, 수학 과목 학업성취도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학습 태도와 학교 만족도 역시 처치집단에서 정적인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으로 정책 수요자의 필요를 반영한 정책 환류 체계를 제언하였다. 또한, 일반고 교육역량을 강화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공유할 것과 세부 정책과제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licy to enhance educational capacity in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4 as high schools have been considered at risk of the growing percentage of low-performing and discouraged students. With the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different cohorts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the study us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reatment group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 to 2015), and control group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0 to 2012). First, descriptiv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cademic grades of Korean and Mathematics, and the levels of learning attitudes and school satisfaction had improved in their senior years compared to their 10th years for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Next, the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es indicated that academic grades of students who were treated were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y became senior. Also, the levels of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increased than before for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This study validated the policy in high schools to be continued to develop school capacity and meet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Also, recommendations for extending the policies are provi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