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恨)의 질적 변용과 절대 세계로서의 자연

        문흥술(Moon, Heung-Sul)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논총 Vol.17 No.-

        Park Jae-sam's poetry with the nature which is eternal and absolute becomes one. It is the world which life and dead, this world and the world beyond, the material and spirit, the human being and nature is united. The union becomes accomplished from two sides. The First. In his poetry, Sorrow and tear established in memory of childhood is changed into element of the nature which is beautiful. As a result, Both the mind which is fresh young and the image which is sad but twinkling appears mainly in his poetry. The Second, His poetry accepts the twinkling nature as absolute existence. It's existence makes overcome the pain of the actually which is limited and variable. But because it's nature is not to actuality, Being sad and despair is presented in his poetry. But his poetry completely accepts 'minds of the nature' with the thing of oneself. In the end, his poetry dreams of becoming the unity with it's nature.

      • KCI등재

        역사소설과 팩션(faction)

        문흥술(Moon Heung-Sul) 문학과환경학회 2006 문학과 환경 Vol.5 No.2

        Historical novel and the faction is different. The historical novel will search the upright direction that the society of present time will advance, dealing with prehistory of present. The other side, the faction is a product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formation society standardizes daily life. Both ways, through the multimedia world, it produces the new and mysterious one thing that is not a possibility of seeing from the daily which has become standardization. The one example is reactionism.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masses, the reactionism fabricates the history which becomes known well as the fact that it is strange. That outcome goods is rightly the faction. The true literature which treats the history must criticize that the reactionism of multimedia fabricates the history. The literary work which looks back past history must contain a proper history view that society will advance.

      • 플롯과 모티프, 그리고 소설의 독창성

        문흥술(Heung sul Moo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6 No.-

        The criteria that can argue the originality of the work of fiction is two ways. First, when the work of fiction that has been created by the world view of the writer as an exceptional individuals has preoccupied the correct historical directionality, the work has secured the originality. Second, when the work has had its unique plot, the work has secured the originality. The originality of plot is determined by the use for motif. Motifs are the elements that form the sujet and are the smallest unit that can not be decomposed into smaller units. There are two kinds of motif. First, 'motifs libres' can be omitted without breaking the continuity of narrative. On the other hand, 'motifs associes' can transform the causal relationship if it is omitted. Second, 'motifs dynamiques' convey a change in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motifs statiques' don't change the situation. The originality of plot is determined by the use for 'motifs libres' and 'motifs statiques'. Therefore, when we analyze the work of fi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lot, it is important to grasp motifs that bestow originality in the work.

      • KCI등재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정립을 위하여

        문흥술(Moon Heung-Sul)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2020년 최근에 이르러 한국소설은 타자지향적인 새로운 윤리적 주체로 그 소설적 주제를 심화 확장하고 있다. 이 작품들의 소설사적 의의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첫째 주체가 자신의 성립 조건인 폭력적 보편규범을 문제 삼으면서 자기반성을 통해 타자의 타자성을 인정하는 측면, 둘째 자기 반성적 주체가 보편과 특수의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 규범을 번역을 통해 되살림으로써 보편규범을 재정식화하려는 측면, 셋째 주체가 타자의 아픔에 정서적으로 공감하면서 주체와 타자, 보편과 특수의 다양하면서도 이질적인 목소리가 공존하는 공동거주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는 측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김병운의 「한밤에 두고 온 것」에서 주체는 자신의 존재론적 성립 조건인 이성애중심주의 규범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자기반성을 통해, 성소수자인 타자의 타자성을 인정하게 되고 그러한 타자와의 아름다운 만남으로 나아간다. 최윤의 「소유의 문법」에서 주체는 보편과 특수 규범의 경계를 허물면서,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정상인이 비정상인을 배척하는 보편규범의 폭력성을 폭로하고, 인간과 자연과 우주가 하나 되는 특수 규범에 의해 보편 규범을 재정식화하고자 한다. 최수철의 「다리 위에 지은 집」은 보편규범의 무의미한 삶을 거부하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창출하는 정신병 환자가 겪는 아픔을 의사인 주체가 공유하면서, 주체와 타자, 보편과 특수의 이질적이면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장을 지향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이들 소설은 주체의 타자 억압으로 인한 한국 사회의 제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한국소설이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소설사적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Today, Korean novels are expanding their novel themes into a new other-oriented ethical subject. To examine the novel significance of these works, one must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three things. First, the subject should take issue with his conditions of existence, the violent universal norms, and recognize the otherness of the other through self-reflection. Second, the self-reflection subject must revive special norms through translation across the boundaries of universality and speciality. By doing so, he must redefine universal norms. Third, the subject should empathize emotionally with the pain of the other and try to set up the field for cohabitation where the diverse and disparate voices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universal and special coexist. In Kim Byung-woon’s “Leaving at Midnight” the subject makes a self-reflection criticism on the heterosexuality-oriented norm, which is the condition of his existential establishment. Through this, the subject recognizes the otherness of the other, which is a sexual minority, and moves on to a beautiful encounter with the other. In Choi Yoon’s “The Grammar of Nature” the subject seeks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universality and special norms, exposing the violence of universal norms in which humans dominate nature and normal people reject abnormal people, and redefining universal norms by special norms in which humans, nature and the universe become one. In Choi Soo-chul’s “A house built on the Bridge” the subject try to set up the field for cohabitation where the diverse and disparate voices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universal and special coexist, sharing the pain of a mental patient who reject the meaningless life of universal norms and create new meaning of life. In this regard, these novels have secured the novel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are exploring the right direction for Korean novels, offering an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in Korean society caused by the oppression of typists.

      • KCI등재

        이상 문학의 일본어 시 텍스트에 나타나는 언술 주체의 분열

        문흥술(Moon Heung sul)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한글→일본어→한글로 전개되면서 언술 체계의 분열을 일으키고 있는 이상 문학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의 원형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異常ナ可逆反應》, 《烏瞰圖》, 《三次角設計圖》, 《建築無限六面角體》의 일본어 텍스트에서는 언술 주체의 무의식의 욕망이 강력하거l 분출되면서 분열이 가장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텍스트야말로 욕망의 원형에 가장 근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들 텍스트를 통해, 이상 문학의 글쓰기의 원형이 탈근대적 지식에 해당하는 상대적 지식 세계에 대한 욕망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이상 문학은 상대적 지식 세계를 욕망하면서 그 무의식적 욕망의 언술을 1930년대 근대 이성적 담론이 지배하는 언술 체계에 분출시킴으로써 언술 주체의 분열과 언술 체계의 분열을 일으키고 있다. 이 점은 일본어 시 텍스트 중에서 특히 분열이 더욱 심하게 일어나고 있는 《三次角設計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텍스트에서는 ‘언술내용 주제’의 언술에 ‘언술행위 주체’의 무의식의 욕망의 언술이 표출되고 있다. 숫자의 추상화, 실어증 중 인접성 장애 유형에 해당하는 일문과 일어문과 같은 형태를 통해 언술 주체는 무의식의 욕망을 강렬하게 분출하면서 일본어 언술 체계를 분열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언술 주체는 뉴턴 물리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으로 표상되는 근대 과학적 지식을 비판하고 아인슈타인 물리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으로 표상되는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이처럼 《三次角設計圖》를 비롯한 일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분열된 언술 주체의 욕망은 이상 문학의 전개 과정에서 글쓰기의 원형으로 작동한다. 이 원형은 일본어 텍스트와 한글 시, 한글 소설 텍스트를 거치면서 근대 과학적 지식은 물론이고 근대 인간과 근대 도시를 비롯한 근대 지식 일반에 대한 비판으로 확장, 심화된다. In order to approach to the text of Lee-Sang's literature which is difficult due to its fragment, one needs to reconstruct the sub-text which is the origin of fragmented text. In Japanese language text of Lee-Sang' literature, the enunciation of the subject's unconscious desire is erupting violently. Therefore, this text has been the closest to sub-text. Through Japanese language text, One can see that the relativistic knowledge on post-modem knowledge is established in the sub-text of Lee-Sang's literature. Lee-Sang's literature with fragment of subject was born in 1930's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the modem knowledge by the post-modem knowledge. Japanese language text including 〈Sam cha gak seol gye do〉 criticizes the modern scientific knowledge which is represented by Newton's physics and Euclid geometry.

      • KCI등재
      • KCI등재

        이상 시『烏瞰圖』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문흥술(Moon Heungsul)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이상 문학에서 한글시 『烏瞰圖』 15편은 그 내용에 따라 크게 세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언술주체와 언술체계의 분열과 관련하여 일본어와 한글의 이중 언어가 갖는 차이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품, 두 번째는 한글 언술 영역에서 언술주체의 욕망의 좌절과 내면 상태를 보여주는 작품, 세 번째는 한글언술 영역으로 담지되는 지식 세계에 대해 소모적인 비판을 가하는 작품이 그것이다. 이 글은 두 번째 계열에 해당하는 작품을 대상으로 언술주체의 분열양태를 고찰하였다. 「詩第八號 解剖」의 언술주체는 '태양광선'으로 표상되는 근대적 지식에 의해 '거울'의 수술 행위, 곧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을 표출하는 행위가 실패할 것임을 미리 예감하고 있다. 거울의 수술 실패로 인한 상대적 지식에 대한 욕망 좌절은 「詩第十五號」에서 거울 속의 '나'와 거울 밖의 '나'의 분열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분열은 주체의 동일화 이론에 따를 때, 상상계의 거울 단계에서의 분열에 해당한다. 곧 「詩第十五號」의 언술주체가 거울에 비친 영상이라는 '이자적 관계'에서 그 영상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분열을 인식하는 것은 바로 거울 단계에서 자기동일화에 실패한 때문이다. 「詩第十號 나비」도 거울단계에서의 주체의 동일화 실패를 다루고 있다. 거울상의 단계에서 주체의 동일화 확보에 실패한 언술주체는 '조각난 몸의 고뇌'를 극복하지 못한 채 자해 행위 내지 마조히즘적 공격성을 표출한다. 이와관련있는 작품이 「詩第十一號」와 「詩第十三號」이다. 그리고 「詩第七號」, 「詩第九號 銃口」, 「詩第十四號」는 '조각난 몸의 고뇌'를 극복하지 못한 언술주체의 좌절된 욕망과 그로 인한 내면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詩第七號」에서 보듯, 언술주체는 '구원적거의 지'와 같은 근대적 지식이 지배하는 한글 언술 영역에서 욕망의 좌절을 겪는다. 그러나 언술주체는 실현 불가능한 그 욕망을 계속 추구함으로써 점차 형해화되어 간다. 『烏瞰圖』 이후 이상 문학의 언술주체는 한글소설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어린아이 해골'(「童骸」) →'形骸'(「失花」) → '홍안미소년의 노옹화'(「終生記」)로 더욱 형해화되어 간다. OGAMDO can be divided into three affiliation, depending on its context. The first affiliation shows the meaning on the dual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The second affiliation shows that the desire of the subject of énoncé is frustrated in Korean énoncé. The third affiliation shows wasteful criticism on the field carried by Korean énoncé. This manuscript has paid attention to the fragment of subject of énoncé that appears in the second affiliation. The subject of énoncé in SIJEPALHO is foiled in the desire for the relative knowledge. And the subject of énoncé in SIJESIBOHO is divided into the self in the mirror and the self out the mirror. Applying the theories of 'identity of subject', this fragment of the subject of énoncé equates to the fragmentation of the stage of mirror in l'imaginaire. SIJESIBHO deals with the failure in 'identity of subject' in the stage of mirror. The subject of énoncé who is foiled in 'identity of subject' can't get over 'l'angoisse du corps morcele´' and shows aggression such as self-injury. SIJESIBILHO and SIJESIBSAMHO exemplifies this aspect. SIJECHILHO, SIJEGUHO, SIJESIBHO exemplifies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of énoncé who the desire for the relative knowledge is frustrated.

      • KCI등재

        여성의 정체성 찾기와 규범의 경계 가로지르기

        문흥술(Moon, Heungsul)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다루는 소설은 1990년대 이후 ‘남성중심주의 사회 제도, 폭력적 남성, 희생되는 여성’이라는 도식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층위에서 여성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규범, 주체, 타자의 관계를 핵심축으로 하는 주체 형성 과정에 주목해 이들 작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오정희의 「옛 우물」, 한강의 「몽고반점」, 주지영의 「사나사나」에 나타나는 여성 정체성 찾기를 고찰하였다. 세 작품 모두 남성/여성의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넘어, 보편규범과 특수규범의 대립, 주체와 타자의 대립, 타자의 특수규범에 대한 지향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옛 우물」에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하지 않는 점, 「몽고반점」에서는 특수규범의 세계에 틈입하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사나사나」에서는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시키는 번역의 단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오정희의 「옛 우물」의 여성 ‘나’는 ‘옛 우물’로 표상되는 모성성의 세계를 특수규범으로 설정하고, 이 규범을 통해 타자로서 도구화된 ‘나’를 해체하고 새로운 ‘나’의 정체성을 확보한다. 한강의 「몽고반점」의 처제는 동물적 폭력이 난무하는 보편규범에 길들여지기를 거부하고 ‘몽고반점’으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을 강렬히 욕망함으로써 화석화되어 간다. 한편 ‘그’는 처제의 특수규범의 세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등장한다. 주지영의 「사나사나」의 여성 소설가 ‘나’는 도구화된 여성 되기를 거부하고 두 명의 경계선상의 주체를 매개로 해서 ‘옹이 나무’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으로 나아간다. ‘나’는 ‘옹이의 언어’로 ‘옹이의 세계’를 지향하는 소설을 쓰고자 함으로써,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번역)시켜 보편규범을 재정식화하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질적으로 전회한다.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이러한 여성 인물 ‘나’의 등장으로, 이 작품은 현 단계 여성 정체성 찾기 소설이 나아갈 한 방향을 강렬하게 제시하게 된다. Since the 1990s, novels dealing with women’s identities have been approaching women’s problems from various levels, away from the schematic narrative structure of “male-centered social system, violent men, and victimized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se works,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forming a subject that has the relationship of norms, subjects, and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considered finding female identity of Oh Jeong-hee’s “the Old Well”, Han kang “Mongo Banjeom”, and Ju Ji-young’s “Sana Sana”. All three works commonly deal with the confrontation between universal and special norms, the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s and others, and the orientation of others to special norms. The difference is that “the Old Well” does not have a boundary-line subject, “Mongo Banjeom” show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aims for special norms, and “Sana Sana” show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moves special norms across the boundary. ‘I’ in “the Old Well” sets the world of motherhood which is represented as ‘Old Well’ as a special norm, and through this norm, the instrumentalized ‘I’ is dismantled and the identity of the new ‘I’ is secured. The sister-in-law of “Mongo Banjeom” refuses to be tamed by universal norms rampant in animal violence. She is becoming fossilized by intense desire for special norms represented as ‘mongolian mark’. Meanwhile, ‘he’ appears a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aims for special norms of the sister-in-law. The female novelist ‘I’ of “Sana Sana” refuses to be a tooled woman and moves on to a special norm represented by ‘knotty tree’ through the medium of two boundary-line subjects. I’m going to write a novel aimed at ‘the world of the knotty tree’ in ‘the language of knotty tree.’ Through this, I translate special norms across boundaries and turn qualitatively to a boundary-line subject that redefines the universal norms. With the advent of the female character ‘I’ who is a novelist and a translator, this work strongl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novels seeking female identity today will take.

      • 복수 화자의 시점 중첩과 시간의 모순

        문흥술(Heung sul Moo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화자의 시점이 복잡하게 뒤섞이고 시간과 공간도 이질적인 층위가 다양하게 중첩되면서 전통 서사 구조를 파괴하는 작품을 분석하고자 할 때, 복수 화자의 특성과 역할, 그리고 그런 화자와 관련된 시간과 공간의 분절과 조합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복수 화자의 시점 중첩과 관련해 초점화의 개념은 유효한 분석틀을 제공한다. 서술자는 어떤 명백한 의도를 갖고 이야기를 진행하면서, 각각의 초점화자에게 각각의 관점, 역할, 전망을 부여하여 특정주제에 대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복수의 초점화자의 관점과 역할과 전망을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의 서사 구조가 어떻게 짜여 져 있는가를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의 모순과 관련해 스토리 시간과 텍스트 시간의 불일치 역시 유효한 분석틀을 제공한다. 하나의 작품에서 순서, 빈도, 지속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정밀히 분석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분절과 조합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고, 또 그들이 서사에서 어떻게 직조되고 있는가를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초점화와 시간의 불일치라는 개념을 통해, 작품의 서사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를 밝힐 수 있고 나아가 그 구조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주제적 측면이 무엇언가를 다각적이면서 깊이 있게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In case of a work to maintain the traditional narrative structure, a point of view of narrator is mixed, and a disparate time-space is overlapped. Therefore, when analyzing this kind of work, the characteristic and role of plural narrator, the segment and combination of time and space are important analysis elements. When analyzing a point of view of plural narrator who are overlapped, focalization is a useful analysis equipment. A descriptor who is progressing story with an obvious intention invests each focalizer with each perspective, role, viewpoint. And he approaches to specific subject in multilateral aspects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each focalizer. Therefore, each perspective, role, viewpoint of each focalizer is analyzed. Building on this analysis, narrative structure of a work is analyzed in depth.. When analyz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 The disagreement between story-time and text-time is a useful analysis equipment. Therefore, order, duration, frequency in a work is analyzed accurately.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this analysis, we understand the way that time and space is segmented and combined. Building on this analysis, narrative structure of a work is analyzed in depth.

      • 이기영 『두만강』에 나타나는 매개자의 변이와 그 특성

        문흥술(Heung sul Moo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논총 Vol.30 No.-

        이기영의 장편 대하소설 『두만강』에 나타나는 대립 구조는 민중계급과 지배계급과의 갈등과 조선민족과 일제와의 갈등, 곧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에 의한 갈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이러한 갈등 구조에 긍정적 인물을 보다 높은 단계로 고양시키는 매개자를 삽입한다. 그리고 그 매개자가 1부에서 3부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바뀐다. 이 매개자의 변화야말로 이 작품의 특성을 규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1부의 매개자는 양반 지식인 출신 이진경이다. 이진경은 봉건 양반과 관련된 모순된 제도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신교육을 통한 개화사상의 계몽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그러한 교육을 통해 봉건 질서와 왜놈을 물리치고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지향한다. 이처럼 개화를 통한 반봉건과 일제에 맞선 조선 민족이 결합된 이진경의 사상은 다름 아닌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해당한다. 곧 이진경의 매개적 역할은 반봉건, 반외세를 목표로 하는 부르주아 민족주의 혁명을 담지하는 것에 국한된다. 이진경을 매개자로 한 부르주아 민족주의 혁명은 실패로 귀결된다. 실패의 원인은 독립단체들의 이기적인 파행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 독립운동을 하던 이들은 죽거나, 변절하여 일제의 앞잡이가 된다. 이들의 죽음과 변절은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의한 독립운동의 실패를 의미한다. 3부에서는 씨동과 분이의 매개자로 먼저 사회주의 서적과 노동 체험이 제시된다. 씨동과 분이는 김일성 휘하로 들어가기 전에 사회주의 책과 노동 체험을 매개자로 하여 사회주의 이념을 알게 되고 그 이념에 의해 조직화되는 과정을 밟는다. 3부 30장 ‘평강판’에서부터 씨동은 반제동맹에 가입해 김일성을 만나면서 책을 통해, 또 탄부생활을 통해 받아들이게 된 계급의식과 사회주의 이념과 완벽하게 일체가 된다. 여기서 매개자는 김일성 동지이다. 반일운동이 ‘인민의 혁명적 무장투쟁’이라는 보다 적극적이며 높은 단계로 나아가야 할 필연성을 띨 때, 김일성 동지가 등장하는 것이다. 매개자로서의 김일성 동지의 등장이야말로 이 작품이 드러내고자 하는 궁극적 주제에 해당한다. 민족이 곧 노동인민계급이라는 자각을 하고 노동계급의 단결과 무장투쟁을 통해 민족해방을 지향하는 것, 그러한 민족과 노동계급 전부를 아우르는 위대한 지도자가 김일성 동지라는 것, 그 김일성 동지야말로 ‘조국’ 그 자체이자 ‘백성’을 감싸 안는 ‘부모(어버이 수령)’라는 것, 그 수령은 자신의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신비로운 존재이지만 ‘광명의 서광’을 비쳐주는 위대한 존재이며 그런 존재의 영도를 따르는 것이야말로 ‘영예로운’ 것이라는 것, 그런 김 동지와의 완전한 합일을 강렬히 지향하는 것, 그것이 이 작품의 궁극적인 주제이다. Lee Gee-Young’s 『Doomangang』(1954~1961) is written in three parts. The structure of conflict that leads this work from the first part to the last is mainly the two conflicts: One is the conflict between the people’s class and the ruling class. The other conflict is between the Korean people and Japanese imperialism. In the first part, Lee Jin Gyeong, a “yangban” intellectual, is the mediator. He leads the bourgeois nationalism revolution that sets a goal of anti-feudalism and anti-foreign, but the revolution fails. The main cause for this failure is the death and defection of people who were the memb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art three, the mediator is the books of Socialism and labor. Through its mediator, the characters experience Socialism and become a part of the organization created by Socialism. Starting from Chapter 30 Part 3, the mediator is comrade Kim Il-Sung. Through this mediator, the characters become one with Socialism and become aware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its mediator, anti-Japanese movement is a step towards the revolutionary armed struggle. The ultimate subject of this work is the appearance of comrade Kim Il-Sung as the mediator. The fundamental theme of the work is that Comrade Kim Il-Sung is a great leader who embraces people and the labor class, and that Comrade Kim Il-Sung is the homeland itself and the parent who embraces all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