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에서의 수면무호흡

        문화식,이상학,Moon, Hwa-Sik,Lee, Sang-Haak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1

        Sleep disordered breathing is highly prevalent in the elderly and affects older men and women similarly. Nocturia, cardiovascular diseases, cognitive impairment, traffic accidents and repeated falls are common manifestations of sleep apnea in the elderly and sleep study may be indicated in these patients. When a sleep study is planned, reliable markers of respiratory efforts and a tibial EMG should be included because central sleep apneas and periodic leg movements are common in the elderly patients. Although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seem to be lower in the elderly than in middle-aged adults, these may not be as low as commonly believe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ognitive dysfunction and nocturia can be improved by effective treatment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d a therapeutic trial should be recommended to all symptomatic patients. It is still unclear whether sleep apnea in older adults is a specific entity or the same disease as in younger adults. Further clinical research is warranted.

      • KCI등재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가 심혈관계의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문화식,Moon, Hwa-Sik 대한수면의학회 1997 수면·정신생리 Vol.4 No.2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의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를 동반한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심혈관계 기능부전이 초래되어 이들 환자의 임상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수면 무호흡증후군,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수면장애의 여러 가지 원인 중 임상영역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질환으로 전신성 고혈압,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및 우심실 부전,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뇌졸증등의 발병률이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달리 중추성 수면 무호흡은 수면중에 호흡중추를 불안정하게 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역시 심혈관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는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달리 만성적인 저산소증과 고탄산증이 동반되며 이로 인해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우심실 부전(폐성심) 등의 심혈관계 이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수면과 관련된 호홉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는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더불어 동반될 수 있는 심혈관계의 기능부전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기관절개술, 기계적 호흡, 지속적 양압공급치료, 적절한 산소요법 등의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인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data collected to date indicate that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cluding sleep-disordered breathing(sleep apnea) and underlying respiratory system diseases, are one of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ysfunction. Sleep-disordered breathing(sleep apnea) is now recognized a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systemic hypertension, cardiac arrhythmias, coronary heart disease, pulmonary hypertension, right heart failure, and stroke. Sleep may exert a profound effect on breathing in patients with underlying respiratory system disease including bronchopumonary diseases, chest wall abnormalities, central alveolar hypoventilation syndromes or respiratory neuromuscular disorders. Chronic hypoxia and hypercapnia in these patients may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long term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cardiac arrhythmias, pulmonary hypertension, and right heart failure(cor pulmonale). Several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long-term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Careful assessment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these patients is critical. Aggressive and highly effective treatment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using tracheostomy, mechanical ventilation,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nCPAP), intercurrent oxygen therapy or other interventions can reduce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ysfunction and the long-term mortality.

      • KCI등재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문화식,Moon, Hwa-Sik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During sleep, relatively major respiratory physiological changes occur in healthy subjects. The contributions and interactions of voluntary and metabolic breathing control systems during waking and sleep are quite different Alterations of ventilatory control occur in chemosensitivity, response to mechanical loads, and stability of ventilation. The activities of intercostal muscles and muscles involved in regulating upper airway size are decreased during sleep. These respiratory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sleep compromise the nocturnal ventilatory function, and sleep is an important physiological cause of the nocturnal alveolar hypoventilation. There are several causes of chronic alveolar hypoventilation including cardiopulmonary, neuromuscular diseas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an important cause of nocturnal hypoventilation and hypoxia. Coexistent cardiopulmonary or neuromu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OSA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iurnal alveolar hypoventilation, diurnal hypoxia and hypercapnia. The existing data indicates that nocturnal recurrent hypoxia and fragmentation of sleep in patients with OSA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ystemic hypertension and cardiac bradytachyarrhythmia, and diurnal pulmonary hypertension and cor pulmonale in patients with OSAS is usually present in patients with coexisting cardiac or pulmonary disease.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untreated patients with OSAS had high long-term mortality rates,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OSAS had a major effect on mortal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OSAS significantly decreased mortality.

      • 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각성시와 수면중의 혈중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 변화

        문화식,최영미,송정섭,박성학,Moon, Hwa-Sik,Choi, Young-Mee,Song, Jeong-Sup,Park, Sung-Hak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2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정상인과 달리 각성시보다 수면중에 뇨량과 나트륨 뇨배설이 증가하며 이러한 현상은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의 분비반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으로 확진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각성시와 수면중에 말초 정맥혈로부터 혈중 ANP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는 수면전 ANP 농도 ($60.2\;{\pm}\;5.8pg/ml$)에 비해 수변중 ANP 농도 ($122.9\;{\pm}\;29.9pg/ml$)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 <0.05), 대조군에서는 수면전 ANP 농도($59.2\;{\pm}\;5.7pg/ml$)와 수면중 ANP 농도($69.6\;{\pm}\;3.0pg/ml$)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05). 2) 수면전 ANP 농도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60.2\;{\pm}\;5.8pg/ml$)과 대조군($59.2\;{\pm}\;5.7pg/ml$)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 0.05), 수면 중 ANP 농도 역시 환자군($122.9\;{\pm}\;29.9pg/ml$)과 대조군 ($69.6\;{\pm}\;3.0pg/ml$)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3)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 수면중 ANP 농도는 무호흡지수(r = 0.3846, p < 0.05) 및 호흡장애지수 (r = 0.3939, p < 0.0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각성시에 비해 수면중에 혈중 ANP 농도가 증가하며 ANP 농도의 증가는 무호흡지수 및 호흡장애지수와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often complain of nocturnal enuresis. There are a few reports that OSAS patients have altered renal function, and there are some evidences that the increased release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nocturnal urinary symptoms of OSAS patients. In this study, we measured plasma ANP concentrations during waking and sleep in OSAS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of ANP concentrations between OSAS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Methods : 27 patients with OSAS and 10 normal subjects were studied. All subjects underwent a full-night polysomnographic study. Venous blood samples were separately drawn during waking and sleep. Plasma ANP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radioimmunoassay. Results : In OSAS patients, ANP concentrations during sleep($122.9\;{\pm}\;29.9pg/m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NP concentrations during waking($60.2\;{\pm}\;5.8pg/ml$)(p < 0.05). However, in normal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P concentrations during waking($59.2\;{\pm}\;5.7pg/ml$) and sleep($69.6\;{\pm}\;3.0pg/ml$)(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NP concentrations during waking between OSAS patients($60.2\;{\pm}\;5.8pg/ml$) and normal controls($59.2\;{\pm}\;5.7pg/ml$)(p > 0.05), and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sleep between OSAS patients($122.9\;{\pm}\;29.9pg/ml$) and normal subjects($69.6\;{\pm}\;3.0pg/ml$)(p > 0.05). Plasma ANP concentrations during slee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pnea index(r = 0.3846, p < 0.05)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 = 0.3939, p < 0.05) in OSAS patients.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in OSAS patients, plasma ANP concentrations during slee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lasma ANP concentrations during waking, a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lasma ANP concentration during sleep and the severity of sleep apnea.

      • KCI등재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내과적 치료

        문화식,최영미,Moon, Hwa-Sik,Choi, Young-Mee 대한수면의학회 1996 수면·정신생리 Vol.3 No.2

        Data collected to date indicate that sleep apnea syndrome is a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ysfunction such as systemic hypertension, cardiac arrhythmias, pulmonary hypertension, right heart failure,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Several reports suggest that untreated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have a higher long-term mortality than treated patients and than normal subjects. But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and there is no universally accepted standard for effective treatment. We reviewed the current approaches and options in the medical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인 호흡기질환의 효과적 관리 : 노인 연령층의 수면 무호흡

        문화식 ( Hwa Sik Moon ),이상학 ( Sang Haak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수면과 관련된 많은 질환들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수면 무호흡은 수면관련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역시 발생빈도가 증가하며, 특히 폐경 후 여성의 경우 발생빈도에 있어 남성과 큰 차이가 없다. 노인에서 주간 졸음증, 인지장애, 야뇨증, 심혈관계 질환, 교통사고, 잦은 낙상, 녹내장 등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수면 무호흡이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평가하여야 하며, 검사에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과 주기적 하지 움직임을 정확히 관찰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되어야 한다. 노인은 젊은이들에 비해 수면 무호흡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위험이 적고 이에 따른 사망률도 낮다는 보고들이 있기는 하지만 상대적 위험성이 높다는 견해들도 있다. 노인에서 수면 무호흡을 적절히 치료하면 주간 졸음증, 인지장애, 야뇨증 등의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특히 CPAP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젊은이들에 비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치료를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아직까지 노인 수면 무호흡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며 향후 노인 수면 무호흡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valence of sleep disorders increases with age. Sleep apne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in the field of sleep disorders and is also highly prevalent in the elderly. It affects older men and women similarly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ognitive impairment, nocturia, cardiovascular diseases, traffic accidents and repeated falls are common manifestations of sleep apnea in the elderly. Polysomnography is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of sleep apnea and reliable markers of respiratory efforts and a tibial EMG should be included because central sleep apneas and periodic leg movements are common in the elderly patients. Although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seem to be lower in the elderly than in middle-aged adults, these may not be as low as commonly believed. Treatment should not be withheld on the basis of age, as symptoms such as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ognitive dysfunction and nocturia can be improved by effective treatment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and compliance to CPAP use is not different from that in younger patients.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warranted. (Korean J Med 75:156-161, 2008)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