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고찰과 적용: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문혜진 ( Hey Jin M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생애과정 관점’은 생애과정을 제도와 역사에 내재된 단계화된 연령구조로 인식하고, 맥락적 관점에서 개인과 집단의 생애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방향이다.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역사적 변화의 맥락 속에서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생애과정에 미친 제도와 국가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노동궤적에서 나타나는 경로와 노동성과의 차이, 생애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등에서 생애과정 관점이 적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생애과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결과가 축적되고 있으나 이론적 방향이나 체계로서 확립되지는 못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을 적용하여 개인의 생애과정과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접목시키는 시도로 1930~1979년 사이에 출생한 코호트의 역사적 위치를 확인하고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교육기간의 연장으로 인 해 후속 이행의 시기와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1960년대 출생코호트까지 젊은 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종료와 노동시장 진입, 결혼과 첫 출산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지연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구성원이 압축된 연령 구간에서 이행을 완료하는 생애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1970년대 출생 코호트는 이전 코호트와는 다른 이행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이행시기의 지연으로 구성원의 이행이 완료되지 않은 우측 절단이 발생하여 그 정확한 변화를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The Life-Course perspective is a theoretical orientation that views the life-course as the age structure embedd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history and understands the life-course of individual and group in the contextual perspective. The life-course perspective studies were developed in Germany and North America. They study social and historical effects and the effect of institutions and the state on the life-course, the pathway of the work career and differences of labour outcomes, and the inequality that is developed in the life-course. In Korea, the life-course perspective studies were tried in various fields and cumulated. However, it didn`t established as a theoretical orientation. For applying the life-course perspective to connect the individual life-course with social and historical event, I describe the historical location of individuals born between 1930 and 1979 and analyse the change of their transitions to adulthood exploratorily. On results, the extension of education mad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ir life-course, and in young cohort the timing of leaving school, entering workforce, marriage and childbirth was delayed and transitions were made in narrower spread. It means the standardization of the life-course as appears in modern society. The 1970s birth cohort has the differenciated life-course pattern, however I cannot verify that change because of the right censoring.

      • KCI등재

        외환위기 전후 청년 코호트의 노동경력 비교

        문혜진(Moon, Hey 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1

        외환위기 이후 청년실업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으나, 청년층의 노동시장 경험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경력을 단순한 일자리 이동과 달리 노동지위의 연속적 배열과 순서적이고 위계적인 변화과정으로 개념화하였으며, 배열분석을 활용하여 외환위기 전후 청년층의 노동경력을 노동지위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이 장기화되고 고용형태와 사업장 규모 면에서 첫 일자리의 질적 저하가 발생하였음이 확 인되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청년 코호트는 미취업형과 실업형, 비대기업형, 비정규직형 및 이동형 특성을 갖는 경력유형에 속할 상대적 위험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청년층의 고용불안정성이 더 커졌으며, 내부노동시장형에 비해 외부노동시장형 경력유형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early work career of youth cohort entering the labor market pre and post-the economic crisis and compare career pathway types of different cohorts. Labor market experiences of youth cohort were constructed by sequencing the number of organizations, kinds of jobs, the scale of the business, and type of employment. In addition, a holistic sequence was created by including complementary factors. In this sense, the labor market experience in this study was conceptualized as a process involving continuous sequences and hierarchical and orderly changes which differs from a simple job mobility. Sequence analysis involving Optimal Matching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ch cohort-differences in labor market experiences were related to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career pathway typ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st-economic crisis cohort had a relatively higher likelihood of falling into the non-employment type, unemployment type, non-corporate employment type, irregular employment type, and mobile employment typ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employment precariousness of cohort has exacerbated after the economic crisi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한국인 부모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김혜미(Kim, Hyemee),문혜진(Moon, Hey 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과 비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혼동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문화/비다문화가정 아동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은 평균적으로 비다문화 가정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매칭방법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특성, 부모의 양육방식의 특성을 조정한 이후에는 두 집단 간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 부/모를 가진 다문화가정 자녀라는 특성이 이들의 학교생활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려주며,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약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다문화 가정 여부와 무관하게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양육방식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 탄력성을 강화시키는 개입의 필요성과 아동청소년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까지를 포괄하는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chool adjustment has been a popular topic among scholars in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and they commonly report poor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without subjects for comparison, these findings may be considered premature.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their adjustment level to that of children from families with Korean parents. By using the matching procedu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hildren's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ttributes to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children's observable characteristics paired and matched. For the analyses, the first and fourth wave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data were used. Whe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was examined before the matching procedure, the school adjustment level was indeed lower amo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statu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chool adjustment. However, when two groups were paired and matched using matching, the family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school adjustment is not predicted by their multicultural family statu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also discussed in the paper.

      • KCI우수등재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누구에게 집중되었는가?

        손병돈(Shon, Byong Don),문혜진(Moon, Hey 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3

        본 연구는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신청 가구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주관적 경제적 어려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 경험수, 가구소득의 감소여부 및 정도로 구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의 특수형태근로자, 1인 가구와 한부모 가구, 비노인인 경제활동 연령집단, 그리고 저소득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구는 가계 경제의 규모로 인해 소득감소의 규모는 적었으나 가구소득 감소 확률과 주관적, 객관적 어려움은 더 컸다. 1인 가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가구소득의 감소확률뿐 아니라 감소규모도 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가장 큰 가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경제활동유형 중에서 자영업자와 특수형태 고용 근로자가 주관적 경제적 어려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 경험수, 소득감소 확률 및 감소 정도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코로나19의 경제적 피해 집단이 기존 사회보장정책이 대응해 온 취약계층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임을 확인시켜 준다.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사회보장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d the degree of economic damage caused by COVID-19 us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householders who applied for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s in Seoul by classifying them into subjective economic difficulties, experiences of extreme economic difficulties, and whether or not and to what extent a household"s income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COVID-19 was concentrated on special types of workers such as the self-employed and freelancer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ingle-parent households, economically active age groups of non-elderly people, and low-income groups. Low-income households experienced a smaller decrease due to the size of the household economy, but the probability of a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difficulties were greater.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household type that suffered the greatest economic damage from COVID-19 as not only the probability of a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but also the scale of the decrease was large. Among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ies, self-employed and special-type employment workers were found to have large amounts of subjective economic difficulties, experiences of extreme economic difficulties, income reduction probability, and income decrease.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economic damage group of COVID-19 goes beyond the scope of vulnerable groups that existing social security policies have responded to. 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to disaster crisis situa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overall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is necessary.

      • KCI등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 종단적 분석

        이봉주(Bong Joo Lee),문혜진(Hey Jin Moon),김정은(Jung Eun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5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시행된 지 11년이 경과하였으나 사업의 학업성취 효과는 불분명한 상태였다. 이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아동패널 자료를 활용,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6년간의 교복투 사업이 아동의 주관적 학업성취와 교과별 학력평가 점수에 미친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에서는 교복투 사업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부적 영향을 미치거나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비관측 이질성을 통제한 고정효과 모형을 통한 추정에서는 교복투 사업이 아동의 학업성취 수준에 긍정적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석 기간을 장기화하고 보다 정교화된 종단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선행 연구에서 확인되지 못한 교복투 사업의 학업성취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향후 아동의 교육기회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해 학습능력 제고를 위한 보다 집중적이고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SPPREWI) on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While it has been more than 11 years since SPPRRWI was put into action in Korea,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identify a clear effect of SPPREWI on school achievement. Using the subsample drawn from the 1st (2004) to 6th (2009) wave of Seoul Child Panel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PPREWI on children`s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school achievement and the academic test evaluation scores o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The results from the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SPPREWI has a negative or no impact on school achievement by subject and grade. However, the results from fixed-effect models, controlling for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showed that the students of SPPREWI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chool achiev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PPREWI and school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positive SPPREWI effects. We suggest that these findings are due to methodological advantage of the panel data with longer duration of observation and statistical method controlling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The study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ies to promote future investment and continuous support for students to reduce educational inequality.

      • KCI우수등재

        성인기 자아존중감 변화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김혜미(Kim, Hyemee),문혜진(Moon, Hey Jin),장혜림(Chang, Hae-Lim)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1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학술 연구 분야에서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의 변화과정에 주목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며, 특히 개인별 특성 요인과 더불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개인내 변화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추정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의 변화 과정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대상을 연령층으로 구분하여 영향 요인들의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애주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변화 과정을 조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8차 자료 중 19세 이상 성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다수준 성장 모델을 적용한 결과, 성별, 교육수준과 같은 고정된 개인별 특성 뿐 아니라 가족, 사회적 관계, 고용 및 혼인상태 등 변화 요인들이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이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성별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더불어 심리사회적 상태 등의 복합적 산물이며, 상태적 특성을 가진 자기개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상황적 욕구에 대한 적합한 대응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as well as predictors of change in self-esteem over time. The eight waves of Korean Welfare Panel Data(KOWEPS) were used for analyses, an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5,511 individual aged 19 years and above were included. The multilevel growth curve model was specifi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self-esteem trajectory differe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with those in early adulthood and adulthood showed an increasing linear trajectories while the old age showed a declining slope. Furthermore, predictors of changes in self-esteem also differed across the age groups that while depression and relationship variables were constant in predicting self-esteem change for all three age groups, some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poverty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predicted individuals in certain age groups. Such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change in self-esteem at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청소년 가출 예측요인 성별 차이 -차우 검정 및 유사 차우 검정 방법을 활용하여-

        좌현숙 ( Hyun Suk Jwa ),오승환 ( Seung Hwan Oh ),문혜진 ( Hey Jin Moo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1

        청소년의 가출충동과 가출경험 예측요인의 성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한국청소년 생활태도 및 가출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출을 가출충동과 가출경험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예측요인을 청소년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요인 그리고 학교요인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 후 모든 요인을 통합한 통합모형을 분석하였다. 회귀모형의 성별 차이와 회귀계수의 성별 차이는 차우 검정 및 유사 차우 검정 방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가출충동 예측요인 성별 차이에 대한 요인별 분석결과, 개인요인에서는 비행행동, 가족요인에서는 부모감독, 친구요인에서는 친구애착과 친구 비행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통합모형에서는 부모감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출경험 예측요인 성별 차이에 대한 요인별 분석결과, 비행행동, 경제수준, 친구애착과 친구의 비행행동, 교사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통합모형에서는 경제수준과 친구의 비행행동이 확인되었다. 가출충동 및 가출경험 예측요인의 성차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가출문제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제언하고 후속 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on predicting variables of runaway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focusing runaway impulse and runaway experience. The study data based on 9,750 of the survey on “child youth life attitude and runaway survey”, which was the research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09. The following categories of factors associated with youth runaway were examined: individual related factors, family related factors, friend related factors and school related factor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A Chow test and Chow test anolog for equality of the regression co-efficents across male and female sub samples. In prediction on runaway impulse, delinquent behavior in individual factors, parental supervision in family related factors, friend attachment and friend`s delinquent behavior in friend related factors. Second, in runaway experience, delinquent behavior in individual factors, economic level in family related factors, friend attachment, friend`s delinquent behavior and teacher`s support in friend related factors and school related factors a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Boys and girls share common predictors and have few gender specific predictors of runaway impulse and runaway experience. In discussion were discussed mea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