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운동의 선호유형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

        문창일 ( Chang Il Mun ),유정인 ( Jung In Yoo ),김동진 ( Dong Ji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가자들이 운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경험과 생리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호/비선호 운동유형에 따라 경험하게 되는 심리·생리적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대학생으로서, 25명(남=19, 여=6)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이들은 평소에 일정시간 이상 신체활동을 유지하는 사람들이며,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집단×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점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paired-t 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긍정적 웰빙(positive well-being; PWB)의 수준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심리적 스트레스(psychological distress; PD) 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일한 운동 강도에서 선호된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지각된 피로 수준과 운동 강도 지각이 더 낮았다. 선호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신체적 스트레스(fatigue; FAT)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HR(heart rate) 수준이 높음에도 주관적 운동 강도인 RP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또한 운동강도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의 사용(예, VO2max의 사용), 성별에 따른 차이 점검, 생태학적 타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physiological response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ing when participants are taking exercise. Psychological/physiological responses experienced by exercise mode were observed and analyzed. Twenty-five university undergraduates, 19 men and 6 women, served as participants in study. All participants were those who exercise more than certain hours a day and they were healthy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2.0 using repeated measured ANOVA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with group and time. At the same time, paired t-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emotional experience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high preference group had more experience of positive affect and less experience of negative affect than low preference group. It was appeared that high preference group had higher level of PWB (positive well-being) but had lower level of PD (psychological distress) than low preference group. The second, in the same exercise intensity, high preference group had lower level of perceived fatigue (physical distress or fatigue; FAT) and RPE (perceived exercise intensity) than low preference group. It was appeared that high preference exercise group had not only lower level of FAT but also much lower level of RPE in spite of having higher level of HR than low preference group. In conclus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ome recommendations including use of objective indicator for measuring exercise intensity (e.g.; using VO2max),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research methods and future directions for making ecological validity higher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운동의 선호 유형과 강도가 운동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문창일 ( Chang Il Mu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2

        Parfitt, Rose & Markland(2000)는 건강운동 촉진과 관련하여 운동 강도의 선택은 개인의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자기결정에 대한 느낌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증가된 자결성은 내적동기를 증가시키고, 내적동기의 증가는 더욱 강력하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가자들이 운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경험과 생리적인 반응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호/비선호 운동유형(선호/비선호)과×운동 강도(55%, 70%, 85%)에 따른 심리·생리적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대부분 대학생으로서, 65명(남=47, 여=18)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집단×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점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paired-t 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더 낮다. 둘째, 동일한 운동 강도에서 선호된 운동유형 집단이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보다 지각된 피로 수준과 운동 강도 지각이 더 낮다. 셋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체험하는 정서경험에서 운동 강도 70%가 55%와 85%의 운동 강도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넷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감정수준(feeling scale; FS)과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의 2차원 원형 모델은 선호 운동유형 집단이 긍정적인 형태로, 비선호 운동유형 집단은 부정적인 상태를 나타냈다. 다섯째,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참가자들이 체험하는 긍정적인 감정수준(feeling scale; FS)은 70% 집단이 55%와 85%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수준(felt arousal scale; FAS)은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운동강도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의 사용(예, VO2max의 사용), 성별에 따른 차이 점검, 생태학적 타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등을 제안하였다. Relating to facilitate exercise for one`s health, Parfitt, Rose, and Markland (2000) reported that the choices of exercising intensity increase individual autonomy and satisfaction with self-determination. They also suggested that higher self-determination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increase of intrinsic motivation can continue exercise more stro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physiological response to physical exercise experiencing while participants are exercising. Psychological/physiological responses experienced by exercise mode (high preference / low preference) and exercise intensity (55%, 70%, 85%) were observed and analyzed. Sixty-five university undergraduates (47 male and 18 female) serv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2.0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with group and time. Both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emotional experience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high preference group had more experience of positive affect and less experience of negative affect than low preference group. (2) In the same exercise intensity, high preference group had lower level of perceived fatigue (physical distress or fatigue; FAT) and RPE (perceived exercise intensity) than low preference group. (3) In emotional experience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70% of exercise intensity was more efficient than 55% or 85%. In both high preference group and low preference group, 70% group had highest level of positive well-being (PWB) of the three groups while having lower or similar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4) Two dimensional circumflex model of FS (feeling scale) and FAS (felt arousal scale)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during exercise and after exercise showed that high preference exercise was placed in positiv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low preference exercise was in negative condition. (5) Positive FS experienced during exercise or after exercise appeared higher in 70% group than in 55% and 85% group, but level of arousal didn`t mak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In conclus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ome recommendations including use of objective indicator for measuring exercise intensity (e.g.; using VO2max),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research method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엘리트 양궁선수의 심리기술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이은경 ( Eun Kyung Lee ),문창일 ( Chang Il M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양궁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기술의 개념구조를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수 양궁선수 및 코치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스포츠심리학 전문가 집단의 문헌조사 및 내용분석을 통하여 요인구조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개방형 질문지 80명(남자=30, 여자=50), 면접조사 15명(여자=15)이었으며, 본조사에는 386명(남자=176, 여자=210)이 조사에 참가하였고, 이들 대부분은 현재 양궁선수로 활동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통해 확인된 양궁선수들의 심리기술 요인구조는 ``혼잣말 전략``, ``불안 및 각성조절``, ``심상 조절``, ``목표설정``, ``자신감``, ``끈기``의 6가지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은 총 25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수집된 자료에 대한 내적 일관성 검사(Cronbach`s α)와 검사지 문항의 유사성(split-half reliability)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집단차를 분석한 결과 남자선수들의 심리기술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력이 증가할수록 심리기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원다변량 분석(one-way MANOVA) 결과,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동호인 순으로 심리기술 수준이 우수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수 선수는 비우수 선수에 비해 심리기술 수준이 뛰어났다. 모든 요인에서 우수선수는 높은 수준의 심리기술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pection tool to explore conceptional structure for psychological skills for elite archery and to measure it.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arried out open 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for elite archery and coaches and also explored structures of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expert group from sport psychologist and content analysis. And based on these, the study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95 (open ended questionnaire; male=30, female=50, interview; female=15) and main survey for 386 people (male=176, female=210) and most of the participants are currently archery athletes. After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acquired. First, Psychological skills factor structur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hows 6 factor: ``Self-talk strategy``, ``Anxiety and arousal regulation``, ``Imagery regulation``, ``Goal setting``, ``Self-confidence`` and ``Mental toughness``. A total of 25 question items are confirmed. Secon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and split-half reliability for the collected data are shown to be excellent. Third, as the analysis result of group differences for each gender, psychological skills of male athletes is shown to be higher. Fourth, the more an career increases, the higher psychological skills level becomes. As the result of one-way MANOVA analysis, psychological skills is shown to be high as order of general athletes, university athletes, high school athletes and hobby group athletes. Finally, elite athletes are proved to be higher than non-elite athletes. Elite athletes are proved to have high psychological skills in all aspects. some suggestion for this study are discussed. Checking differences for each gender, study and study method to enhance ecological validity a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운동 수행의 붕괴 : 얼어붙음 현상에 대한 고찰

        김나라(Kim Na-Ra),문창일(Mun Chang-Il)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3

        People have experienced unexpected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performing under pressure. In the sporting context, this phenomenon is commonly known as ‘choking under pressure’. Choking refers to performance decrements under pressure circumstances. Many social psychologists and sport psychologists have produced a number of important findings regarding the variables that relate to ‘choking under pressure'. A number of models have been proposed as useful frameworks for investigating and describing ‘choking under pressure'. Nevertheless, the phenomenon of ‘choking under pressure’ remains unexpla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critically evaluate these approaches that have been utilized within the choking under pressure literature. This article offers a critical appraisal of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this phenomenon and provides an overview of two mechanisms which have been proposed to account for this phenomenon. Also, Research specifically investigating choking in golf was addressed in this article, because in choking research, the ‘yips’ in golf has been most frequently studied. In additio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eature of the phenomenon in Korean athletes. Alongside this, practical implications emerging from this research base are outlined and futur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hat may be of benefit to sport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like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