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삼투계수 측정법을 이용한 차나무 삽목 최적상토 선발

        문윤호(Youn-Ho Moon),송연상(Yeon-Sang Song),정병춘(Seon-Kyeong Han),한선경(Byeong-Choon Jeong),방진기(Jin-Ki Bang) 한국차학회 2007 한국차학회지 Vol.13 No.3

        차나무 삽목시 발근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토양 물리성 중 적합한 지표를 구명하고 이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에 사용된 삽목용 상토는 황토, 육지모래, 황토와 육지모래를 부피비로 2:8, 5:5, 8:2로 혼합한 것, vermiculite와 perite를 부피비로 5:5로 혼합한 것 그리고 마사토를 사용하였다. 2. 발근률과 모래비율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발근율 80% 이상을 얻을 수 있는 모래비율은 묘상삽목, 콘테이너삽목 그리고 종이폿트 삽목에서 각각 63~74%, 64~78%, 63~79% 였다. 3. 회귀분석 결과 상토중 모래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삼투계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회귀분석 결과 상토중 모래비율과 삼투계수와 제곱 상관계수 가 0.91로 상토중 모래비율과 침투계수의 제곱상관계수보다 작았지만 삼투계수 측정법은 침투계수 측정법에 비해 도구가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측정할 수 있어 상토중 모래비율 간이측정에 적합하였다. 5. 차나무 삽목에 적합한 상토의 침투계수는 3~13 min/5.4㎝ 로 추정되었는데 이것은 모래비율 78.3~63.3%과 일치하는 값이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suitable index among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rooting media for tea plant cutting. In this experiment, used rooting media for tea plant cutting were clay (red soil), river sand, river sand+clay mixture (2:8, 5:5, 8:2, v/v), vermiculite+perite miture (5:5, v/v) and sand loam. Separated sand ratio of clay which was measured with separating method were 51.1% and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amount of river sand. With secondary regressive analysis, suitable separated sand ratio of rooting media which can get more than 80% of rooting ratio were estimated to 63~74%, 64~78% and 63~79% in nursery, container and paper pot cutting respectively. In secondary regressive analysis between separated sand ratio and osmotic coefficient, the osmotic coefficient were algebrical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separated sand ratio (R2 = 0.91). Although this R2 value was lower than that of separated sand ratio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measuring of osmotic coefficient was suitable method to select rooting media for tea plant cutting because of their simple instruments and short measuring time. In this experiment, the suitable osmotic coefficient of rooting media for tea plant cutting was 3~13 min/5.4㎝ and this was correspond to 78.3~63.3 % of separated sand ratio.

      • KCI등재

        압착식, 압출식 착유 대마 종실유의 색깔과 주요성분 비교

        문윤호(Youn Ho Moon),송연상(Yeon Sang Song),김광수(Kwang Soo Kim),이지은(Ji Eun Lee),유경단(Gyeong Dan Yu),이영화(Young Hwa Lee),이경보(Kyeong Bo Lee),최인성(In Seong Choi),차영록(Young Lok Cha)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3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γ-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α-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γ-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Hemp [Cannabis sativa L.] has been cultivated as a fiber crop for long history, but it was a good oil crop because its seed contain plenty of lipid which is high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Hemp seed oil was extracted with a extruding metho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Europe. The color of oil extracted with extruding method is dark green which could be difficult to attract consumer’s interest in Korea because of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hemp seed 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correct information about hemp seed oils which were extracted with pressuring and extruding methods. In extruding method, seeds were crushed during the extracting process and discharged oil cake in shape of thin ribbon, but maintained seed shape although the seed were slightly flatted in pressuring method. Oil yield were higher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The oil have lower degree of lightness but higher degree of greenness and yellowness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because of higher content of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ratio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γ-linolenic acid were higher but linoleic acid and α-linolenic acid were lower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The content of total tocopherol and γ -tocopherol were lower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 KCI등재

        차나무 2중 해가림 터널식 삽목의 적정 상토깊이 및 월동방법

        문윤호(Youn-Ho Moon),송연상(Yeon-Sang Song),정병춘(Byeong-Choon Jeong),한선경(Seon-Kyeong Han),방진기(Jin-Ki Bang) 한국차학회 2008 한국차학회지 Vol.14 No.2

        차나무 삽목상의 적정 상토 두께, 삽목상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월동방법을 구명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적합한 2중 해가림 터널식 삽목기술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1중 해가림 삽목상은 최고온도가 40℃ 이상이 많아 삽수의 발근에 부적합 하였으나 2중 해가림 삽목상의 온도는 23~32℃를 유지하여 차나무 발근에 적합한 온도인 25~30℃에 근접함으로서 발근에 유리한 조건이었다. 2. 육지모래와 황토의 혼합토 및 마사토 모두 상토를 5㎝ 깊이로 설치한 곳에서 발근율이 각각 73.6%, 65.9% 이었다. 10㎝ 에서는 각각 95.0%, 91.7% 이었고 15㎝ 에서는 각각 94.2%, 86.7% 이었으나 10㎝와 15㎝ 간의 유의성이 없었다. 3. 제주도에서는 모든 처리에서 묘목의 동해가 없었고, 무안에서는 1중 비닐터널을 설치한 것에서는 중간정도(3)의 동해가 관찰되었고 2중 비닐터널 설치 및 2중 비닐터널+전열선을 설치한 곳에서는 동해가 없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double shading & tunnel type cutting method of tea plant(Cammellia sinensis L.)" suitable for Korean environment by determining of temperature control method during the rooting period, depth of rooting media and wintering method in cutting nursery. The temperature of double shaded cutting nursery during the rooting period were maintained from 23℃ to 32℃ which are optimum for rooting of cutting whereas the temperature of single shaded cutting nursery were reached to 40℃ which was disadvantage condition. The rooting ratio of cutting in 5㎝ nursery in depth amassed by sand+clay or sand loam were 73.6%, 65.9% while 10㎝ were 95.0%, 91.7%, and 15㎝ were 94.2%, 86.7%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of rooting ratio were not shown between 10㎝ and 15㎝ nursery in depth. In the experiment of Jeju Island, the frost damage of nursery plants were not observed in all wintering treatments. In the experiment of Muan region, middle degree of frost damage were observed in nursery plant of single plastic tunnel but not observed in nursery plant of double plastic tunnel and doble plastic tunnel + heating element.

      • KCI등재

        유망 바이오에너지작물 “억새” 개발

        문윤호(Youn-Ho Moon),구본철(Bon-Cheol Koo),최용환(Yoyng-Hwan Choi),안승현(Seung-Hyun Ahn),박선태(Surn-Teh Bark),차영록(Young-Lok Cha),안기홍(Gi-Hong An),김중곤(Jung Kon Kim),서세정(Sae-Jung Suh)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4

        억새의 식물학적인 분류 및 형태, 선진국의 억새 육종, 재배 및 이용 현황 그리고 우리나라의 억새 연구성과 등을 고찰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에너지 자급율 제고를 위한 억새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억새속 식물에는 17개종이 존재하는데 이 중 바이오 에너지용으로 중요한 종은 한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인 참억새(M. sinensis)와 물억새(M. sacchariflorus) 그리고 이들 두 종의 종간 교잡종인 3배체 억새(M. x giganteous) 등이다. 여러 가지 에너지작물 중 억새는 연간 바이오매스 수량이 많고 저온, 염해, 습해 등 열악 환경 적응성과 질소이용효율이 우수하며 에너지 산출/투입 수지가 가장 높고 지상부 줄기와 땅속줄기에 다량의 탄소를 저장하기 때문에 탄수수지가 가장 높다. 유럽, 미국 및 캐나다 에서는 1930년대부터 일본으로부터 3배체 억새를 도입하여 연료용 펠릿 생산, 열병합발전, 양액재배 배지, 건축자재 및 강화 플라스틱 원료로 이용한다. 현재 재배되는 3배체 억새 단점보완을 위한 품종육성연구와 사탕수수와 억새교잡종인 "Miscane" 육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억새 유전자원 수집이 착수된 이후 2009년에 바이오매스 수량이 많은 "거대억새1호"와 억새를 증식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억새대량증식방법"을 개발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억새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분자육종 등 새로운 육종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우량 신품종을 육성하는 한편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당화 및 발효 등 셀룰로오스계 에탄올 생산공정에 관한 연구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suggest correct direction of researches on Miscanthus spp. which are promising bioenergy crop, authors had reviewed and summarized various literature about botanical taxonomy, morphology and present condition of breeding,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miscanthus. Among the genus of Miscanthus which are known 17 species, the most important species are M. sinensis and M. sacchariflorus which origin are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M. x giganteus which is inter-specific hybrid of tetraploid M. sacchariflorus and diploid M. sinensis. Miscanthus is superior to other energy crops in resistance to poor environments including cold, saline and damp soil, nitrogen utilization efficiency, budget of input energy and carbon which are required for producing biomass and output which are stored in biomass. The major species for production of energy and industrial products including construction material in Europe, USA and Canada is M. x giganteus which was introduced from Japan in 1930s. In present, many breeding programs are conducted to supplement demerits of present varieties and to develop "Miscanes" which is hybrid of miscanthus and sugar cane. In Korea, the researches on breeding and cultivation of miscanthus were initiated in 2007 by collecting germplasms, and developed "Goedae-Uksae 1" which is high biomass yield and "mass propagation method of miscanthus" which can improve propagation efficiency in 2009. In order to develop "Korean miscanthus industry" in future, the superior varieties available not only domestic but also foreign market should be developed by new breeding method including molecular markers. Researches on production process of cellulosic bio-ethanol including pre-treatment and saccharification of miscanthus biomass also should be strengthen.

      • KCI등재

        바이오에너지용 억새 펠릿의 품질 및 연소 특성

        문윤호(Youn-Ho Moon),이지은(Ji-Eun Lee),유경단(Gyeong-Dan Yu),차영록(Young-Lok Cha),송연상(Yeon-Sang Song),이경보(Kyeong-Bo Lee) 한국청정기술학회 2016 청정기술 Vol.22 No.4

        본 연구는 억새 바이오매스로 성형한 연료펠릿의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소나무 톱밥 펠릿과 비교한 성형 단계별 물리적 특성 변화, 소요 전력 그리고 성형된 펠릿의 품질을 조사하고, 연소 특성 개선을 위해 석회혼합 비율별로 펠릿을 성형하여 회분 함량 등 연소특성을 조사하였다. 겉보기 밀도는 억새가 원료단계와 분쇄 후에 소나무 톱밥에 비해 낮았으나 펠릿 성형 후에는 소나무 톱밥과 비슷하였다. 수분함량은 억새가 원료 단계에서 소나무 톱밥에 비해 높았으나 분쇄 후에는 비슷하였고, 펠릿 성형 후에는 낮아졌다. 억새는 소나무 톱밥 펠릿성형 공정에 없는 밀도증가 단계가 있지만 총 소요 전력이 비슷하였고, 성형된 펠릿의 내구성과 성형율도 소나무 톱밥과 차이가 없었다. 억새 펠릿은 석회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회분함량이 증가하고 고위 발열량이 다소 낮아졌으나, 회분 용융점이 높아지고 clinker 발생률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In this study we made fuel pellet from miscanthus biomass and investigated change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of pelletizing process in comparison with fuel pellet made of pine sawdust. We also examined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ash content and clinker forming ratio with fuel pellet made of mixing with micanthus biomass and lime powder. Bulk density of ground-miscanthus and pine sawdust were 158 g L<SUP>-1</SUP> and 187 g L<SUP>-1</SUP>, respectively. Bulk density of ground miscanthus was lower than that of pine sawdust, but increased to 653 g L<SUP>-1</SUP> after pelletizing, which was similar to 656 g L<SUP>-1</SUP> of pine sawdust pellet. Moisture content in raw miscanthus and ground miscanthus were 17.0% and 11.8%,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in ground miscanthus was similar to that of pine saw dust and decreased to 6.73% after pelletizing, which was 7.7% lower than that of pine sawdust pellet. Although 27 kWh ton-1 were required for compaction press that was an additional process in miscanthus pelleitizing, total required electricity was 193 kWh ton-1 which was similar to 195 kWh ton-1 of pine sawdust pellet pelleitizing. Pellet durability and pelletizing ratio of miscanthus were 98.0% and 99.7%,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to 98.1% and 99.4% of pine sawdust pellet. When lime mixing ratio increased, ash melting degree and clinker forming ratio of miscanthus pellet increased. While higher heating value and clinker forming ratio of miscanthus pellet decreased.

      • KCI등재

        재배조건이 소형 간식용 고구마 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학신,문윤호,정미남,안영섭,이준설,방진기,Kim, Hag-Sin,Moon, Youn-Ho,Chung, Mi-Nam,Ahn, Young-Sup,Lee, Joon-Seol,Bang, Jin-Ki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고구마 소형 간식용 생산을 위한 적정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고구마 삽식기, 재식거리 및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응한 간식용으로 적합한 소형 고구마 생산을 향상시키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간식용 고구마생산을 위한 적정 삽식시기는 4월 중순(피복재배)에 삽식거리는 $75cm{\times}15{\sim}20cm$, 6월 중 순(무피복재배) 삽식시 $75cm{\times}15cm$가 적합하였다. 2. 고구마 상저수량은 삽식후 수확일수가 길어질수록 증수되었으나, 삽식후 100일 수확이 80일이나 120일 수확보다 소형 간식용으로 적합한 고구마 괴근 비율이 높았다. 3. 삽식시기 및 삽식거리에 따라 상저수량이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4월 15일 조기 비닐피복재배에서 처리간에 변이폭이 적어 안정적이었다. 4. 보통기(5월) 비닐무피복재배보다 조기(4월) 비닐피복 재배가 농가소득이 $32{\sim}61%$ 증가되어 유리하였다. The optimum planting date, plant spacing, and harvest time for production of small-sized sweetpotato was evaluated in 2003 to 2004 at the Mokpo Experiment Station. Small-sized sweetpotato is important as snack food in Korea.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 spacing were with plastic mulch, and mid-April and $75{\times}15{\sim}20cm$ respectively, mid-June and $75{\times}15cm$ respectively without plastic mulch. Storage root yield decreased with early harvest, but the ratio of small-sized sweetpotato was higher in plots harvested after 100 days of planting (DAP) than that of 80 or 120 DAP. Considerable differences in storage root yield was noted with planting dates and plant spacings, but the use of plastic mulch resulted to smaller yield variations in plots, harvested in mid-April. Planting in mid-April and harvesting after 100 DAP increased income by about $32{\sim}61%$ compared with plantings mid-M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