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 지질별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및 수질 관리실태 비교연구

        문유리,유은혜 한국환경연구원 2006 수시연구보고서 Vol.2006 No.-

        지하수는 지하의 지층 또는 암석 내의 공극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지표수에 비해 기상변화나 지표 오염원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그 수질이 비교적 안전하며 안정적이다. 또한 빗물 또는 강물 등의 침투현상에 의해 재충전되므로, 올바른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자원인 것이다. 더욱이 지하수에는 암석으로부터 용해된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필요한 무기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일찍부터 이러한 지하수의 장점을 인식하고, 이를 음용수의 주요 공급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지별 또는 미네랄 함량별로 특성화시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다양한 연구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노력과 지원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수자원을 하천과 저수지 등의 지표수로부터 공급하고 있으며, 지하수는 일부 상수도시설이 보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진행된 도시화와 산업화는 각종 오염원을 유발시켰고, 상대적으로 오염원에 노출이 많은 지표수는 그 수질이 점차 악화되어 용수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반 국민들은 '좋은 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보다 나은 수자원 확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표수에 비해 안전하고 안정적인 수질을 가진 지하수를 음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보다 체계적인 관리정책 수립하기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노력이 시급하다.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의 유동형태와 수질특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대수층이 분포되어 있는 지질이 일차적인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고결 퇴적층에 분포되어 있는 대수층의 지하수 산출량이 변성암에 분포되어 있는 대수층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미고결 퇴적층의 공극이 변성암에 비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석회암에서 산출된 지하수에서는 칼슘이온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화강암에서 산출된 지하수에서는 규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물과 암석간의 반응에 의해 지하수로 용해되는 물질이 지질별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리정책을 살펴보면 지질특성을 고려한 방안은 부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질별 지하수 특성을 지하수 관리정책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관련 정책 및 연구사업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 · 분석을 통해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지하수 관리에 필요한 연구사업과 관리정책을 제시하여 지질 특성을 반영한 지하수 관리체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의 2장에서는 우선 지질별로 나타나는 지하수 유동 및 수질 특성과 더불어, 기존의 이용 가능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지질별 지하수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하수 산출량의 경우 4대강 유역과 제주도 등의 1차공극이 발달된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질의 경우는 기존 자료의 부족과 자료간의 통일성 결여로 인해, 지질별 수질특성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 · 이용 및 관리 현황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지하수 의존도는 전체 수자원 이용량의 11%에 불과한 반면, 이를 관리하는데 8개의 법과 5개의 부처가 관련된 분산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부처정책 간의 통일성부재, 유사업무의 반복수행, 동일지역에 대한 중복투자 등 그에 따른 부작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수 관련 행정집행 및 연구사업의 대부분은 지하수의 특성을 고려한 단위가 아닌 인위적인 행정구역단위나 지표수 중심의 하천유역단위별로 시행되고 있어, 실제로 지하수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하수 특성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장에 서술된 선진국 사례를 살펴보면 지하수 특성중심의 지하수 관리를 위해 이를 결정하는 일차요인인 지질별로 관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지하수 관리를 위해 조사 · 수집된 자료들을 지질별로 분류된 주요대수층 또는 지하수체 단위로 분류 · 정리하고 있다. 이처럼 지질별로 분류된 단위를 사용하면 지질특성과 지하수 유동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으며, 통일된 수리지질상수 등을 산정하여 향후 연구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유럽에서는 배경수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지하수 관리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BRIDGE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 사업에서는 유럽 대수층의 배경수질을 조사하여 총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좋은 물 판별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에서는 지속가능한 지하수의 개발 · 이용을 위해 지하수 관리에 지질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증대되고 있는 지하수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양질의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하수 관리의 개선이 시급하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행정구역이나 하천유역 대신, 선진국 사례에서 제시된 주요대수층이나 지하수체와 같은 대수층 특성 중심의 관리단위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현재 유럽에서 진행 중인 배경수질 자료 구축과 같은 사업을 시행하여, 지하수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마련된 관리단위와 기초자료는 향후 다양한 연구사업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전문지식이 부족한 담당공무원들의 이해를 도와 지하수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관련사업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들은 통일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지하수 조사지침서'를 마련하여 배포함으로써 향후에 시행되는 지하수 관련사업의 일관성을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 이들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담당부처의 재정적인 지원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우선적으로 요구되어진다. Ground water is located beneath the ground surface and moves through soil pores and rock fractures. It is not affected directly by weather condition and artificial pollutants. In addition, it is the sustainable resource refilled by precipitation and infiltration and may contain useful minerals for human health dissolved from geologic formations. Hence, a great percentage of population have depended their drinking water on ground water in United States (51%) and Europe (75%) and their management plan and systematic policy were established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hey also have specified its origin or mineral contents and made profits by exporting them. On the contrary, in Korea, ground water has not been appreciated as the major water resource during last a few decades, as the government has provided most of the water supply from the surface water such as river, stream, and reservoir. However,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threatened the quality of surface water and some water supply facilities had to be closed by its serious contamination, so public health concerns have arisen regarding guarantee of ‘good water’. Thus, the policy of water supply needs to shift its gear.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such as flow and quality are determined initially by geologic condition. If the pore ratio is relatively high and the pores are well connected, it shows the extended ground water movement and the large amount of withdrawal. The ground water extracted from granite contains lots of silicides, while that from limestone shows high concentration of calcium. This study aims (1)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eologic condition in ground water management and (2) to suggest the relevant policies and researches. If the ground water could be characterized by its geologic condition, it could be easier to collect, organize, and analyze the data and information of ground water by categorizing them into analogous geologic formations. This study, however, shows the limitations of this generalization in Korea,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inconsistent data. Besides of these, the system of ground water management in Korea shows another dilemma. It has been supervised by the incompatible policies of five ministries, which results in the inefficient management. Therefore, its system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contrast, most managements and researches regarding ground water are based on its geologic condition in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amount of ground water withdrawal in United States has been compiled by the ‘principal aquifers’, and this database has provided the standard for its henceforth usage. The geostatistical method was employed to standardize the hydrogeolgic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and specific capacity, for each major aquifer in New Jersey, the U.S. It was the state project to integrate the data and information of ground water, leaded by the New Jerse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Likewise, these compilation and standardization have been achieved in Europe. In addition,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has been utilized to make the judgement for ground water quality, which is the quality of ‘ground water itself’ caused by the water-rock interactions in the aquifer. The “BRIDGE Project” using this background concentration has been performe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In this project,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quality for each principal aquifer has been investigated and organized, and it was applied to develop the method determining ‘good water’. These ongoing projects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ound water. The above-mentioned projects are also required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increasing amount of ground water usage and demands of ‘good water’. First, the units for ground water management should be reconstituted by its geologic condition, so the existing data and information could be reorganized and the future measurements could be compiled by these. Secon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should be investigated and organized into its database, which could be employed to determine the ground water quality and its application. Furthermore, the guideline for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consistency among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선후배 간 신체・활동 기반 짝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및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문유리,최준섭,이재용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enior-junior pair play program based on physical activity for elementary student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2nd and 5th grade students (55 students) of K elementary school in C-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s a control group, 2nd and 5th grade students (57 students) in K elementary school with similar cognitive level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in 10 sessions over the course of 2 months (once or twice a week). As a test tool, This study used Park Sung-hee's (1997) emotional ability test (Davis' IRI test, Bryant's emotional awakening test after Park Sung-hee's proposa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Hyunju et al.(2006) in KEDI.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e program effect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enior-junior pair play program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enior-junior pair play program based on physical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he sessions are comprised of physical play which can be easily fostered between seniors and juniors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ctivity-based play, and actual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pairs, small groups, and large group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및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초등학생 선후배가 함께 하는 신체ㆍ활동 기반 짝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 재한 K초등학교 2학년, 5학년 학생 각 1학급(총 55명)을 실험집단으로, 같은 학년의 2학년, 5학년 학 생 각 1학급(총 57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신체ㆍ활동 기반 짝 놀이 프로그램을 2개월에 걸쳐 주 1~2회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초등학생의 공 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 설정하였으며, 회기별 내용은 짝놀이를 통한 짝과 소통하기 4회 기, 모둠놀이를 통한 배려와 협력 배우기 3회기, 전체놀이를 통한 자신감과 성취감 느끼기 3회기로 구 성하였다. 놀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연속 차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검사도구로는 Davis(1980) 의 IRI검사(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 후 초등학생용으로 수정하고 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와 KEDI에서 현주 등(2006)이 개발한 초등 학생용 학교생활적응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이용하였고, 공감능력 변인은 공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나, 공변량분석의 전제조건에 해당되지 않은 학교생활적응력 변인의 경우는 독 립표본 t검증으로 처리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 을 위한 선후배 간 신체ㆍ활동 기반 짝놀이 프로그램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구안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발달단계의 차이가 있는 선후배 간에 쉽게 할 수 있는 신체놀이, 활동 중심의 놀이로 구성하여 짝, 소집단, 대집단의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 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 연구 II

        문유리,박남식,나춘기,이정호,윤정호,김훈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10

        우리나라의 지하수 이용량은 전체 수자원 이용량의 약 11% 수준으로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그 의존도가 미비하다. 그러나 전국의 상수도 보급률은 약 87%인 반면, 해안지역에서는 보급률이 40%에 불과하여 지하수 이용량이 내륙지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도서지역에서는 상수도 보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표수의 발달도 미약하여, 대부분의 수자원 공급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지역의 대수층은 일반적인 대수층의 특성과 더불어 해수침투 및 지하수 유출 현상도 나타나므로, 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만의 특화된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해안 및 도서지역 지하수의 개발과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여 지속가능한 대수층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개년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1차년도에서는 해수침투의 이론적 특성을 살펴보고, 지하수 관측망 운영 현황 및 모델링 중심의 해수침투 연구 현황, 국내?외 관련사례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지하수 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수침투의 영향을 살펴보고, 해안 지하수 유출의 기작과 영향을 파악하며, 우리나라 서남해안 지역의 지하수 이용 현황과 지하수 수질 및 오염 특성, 국내외 해안 및 도서지역의 관리 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여, 해안 및 도서지역 지하수 수자원에 대한 통합관리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해안 및 도서지역 대수층의 대표적인 특성인 해수침투 현상은 용수 공급과 주변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취수정에서 염분이 검출되어 해당 취수정을 폐쇄에 이르게 하고, 주변의 생태계를 담수 생태계에서 해수 생태계로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지하수법과 먹는물 관리법의 용수 목적에 따라 염소이온의 기준농도를 지정하여 적합한 수질의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염소이온의 농도에 따른 동?식물의 반응을 정리하여 해안지역 생태계 보호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해수가 내륙의 대수층으로 밀고 들어오는 해수침투 현상과는 반대 기작으로, 내륙의 담수 지하수가 수리학적 압력에 의해 해양으로 유출되는 지하수 유출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이러한 지하수 유출은 내륙에서 유래된 다양한 물질들을 해양으로 이송하여 부영양화와 같은 해양오염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그 수준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해안지역의 지하수 이용 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우리나라 서남해안 지역의 지하수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하수 조사 연보에 근거하여 지하수 이용량 추이를 분석하고 지하수 이용량 변화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으나,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인한 자료의 불연속성이 한계요인으로 작용하여 정확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차년도에 해안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데 이어, 2차년도에는 도서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에 대

      • SCOPUSKCI등재

        PET/CT에서 폐암으로 의심된 폐흡충증

        문유리 ( You Ri Moon ),이양덕 ( Yang Deok Lee ),박상현 ( Sang Hyun Park ),조용수 ( Yong Soo Cho ),나동집 ( Dong Jib Na ),조용선 ( Yong Seon Cho ),한민수 ( Min Soo Han ),최희정 ( Hee Jeong Choi ),김도형 ( Do Hyung Kim ),양승오 ( Se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6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is valuable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cies. However, PET/CT is unable to discriminate exactly between inflammation and a neoplasm. We report a case of a 50-year-old man with pulmonary paragonimiasis that was suspicious for lung cancer, as detected by PET/CT. The use of PET/CT revealed multilobulated consolidation on the right lung and patchy consolidation on the left lung, with increased fluorodeoxyglucose (FDG) uptake. In addition, the left paraaortic lymph node (LN) and peripancreatic LN showed enlargement with increased FDG uptake. Lung cancer with multiple lymph node metastases was suspected from the increased standardized uptake values (SUV>4.5) determined by PET/CT. We performed wedge resection via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and found Paragonimus westermani eggs in the involved tissues. (Tuberc Respir Dis 2007;63:521-525)

      • KCI등재

        페이징 에이전트를 이용한 페이징 방법의 정확한 모델링 및 성능 분석

        문유리(Yu Ri Moon),이태한(Taehan Lee),백장현(Jang Hyun Baek) 대한산업공학회 2011 산업공학 Vol.24 No.1

        This study considers paging schemes that can page some cells or only one cell within the location area to reduce paging cost by using PAs (Paging Agents) and compares their performances by using a new analytic method. There are three ways of paging schemes using PAs; BSPA (Base Staton Paging Agent), 2SPA (2-Step Paging Agent), LAPA (Location Area Paging Agent). This study proposes exact performance of BSPA and 2SPA using a new analytic method based on Markov chain modeling to find the most efficient paging scheme.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circumstances are presented by using proposed analytic method to select a proper paging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