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욕의 길 vs. 제자의 길 : 본회퍼 윤리의 한 응용

        문시영(Si?Young Moon)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8 No.-

        그리스도인은 누구이며, 교회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특별히, ‘탐욕의 시대’로 규정되는 현대사회에서 그리스도인은 누구이며 교회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이 글은 탐욕의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과제를 성찰하기 위해, 본회퍼의 제자윤리에 관한 하나의 응용(an applied approach)을 시도한다. 무엇보다도, 세 가지 질문에 관심한다. ‘왜 탐욕의 길 vs. 제자의 길인가?,’ ‘금욕의 길인가? 제자의 길인가?,’ 그리고 ‘그리스도인과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왜, 탐욕의 길 vs. 금욕의 길인가?’ 본회퍼는 제자직의 바른 이해와 실천을 통해서만 신학적, 교회적 오류를 극복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이러한 전제에서, 제자직에 대한 본회퍼의 성찰을 응용하기 위해, ‘탐욕의 길’에 유의하고자 한다. 본회퍼가 탐욕만을 문제 삼은 것이 아니지만, 탐욕이란 모든 영역에 스며들어 제자의 길을 어긋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생각했던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 글이 탐욕의 길과 제자의 길을 대비시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회퍼의 문장들은 탐욕이 사회를 위험에 빠뜨리고 그리스도인의 근본을 위험하게 만든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탐욕으로 치닫는 그리스도인과 교회에 대한 자성이야말로 제자의 길을 향한 첫걸음이다. 2) ‘금욕의 길인가? 제자의 길인가?’ 탐욕의 극복을 위한 해법을 다룬부분으로서, 그리스도인과 교회가 ‘자기 의’에 이끌리는 ‘금욕의 길’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제자의 길’을 걸어야 함을 강조한다. 본회퍼에게서, 탐욕의 극복은 자기과시적 금욕이 아니라 제자됨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오늘의 우리에게 있어서 누구인가?’의 질문이 본회퍼의 삶과 신학의 주제라는 점에 비추어 보면, 그리스도인은 ‘금욕의 길’을 넘어 ‘타자를 위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 본회퍼의 제자윤리는 ‘제자의 길 vs. 탐욕의 길’이자 ‘제자의 길 = 십자가의 길’의 관계이다. 3) ‘그리스도인과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본회퍼의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탐욕의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과 교회는 두 가지 과제에 주목해야 한다. 먼저, 제자의 길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가 제자도를 강조하면서, ‘성화’와 ‘교회’를 연관 지었던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번영의 복음’이 교회 안에서까지 탐욕의 길을 부추기고 있는 한국적 정황에서, 제자의 길에 대한 통렬한 재인식이 절실해 보인다. 또 하나의 과제로서, 공공성 구현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의 실천을 강조한 스택하우스(Max L. Stackhouse)의 공공신학은 ‘제자의 길’을 사회적으로 구현하는 통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마디로, ‘교회 안팎으로’ 윤리적 성숙이 요청되는 한국교회의 정황에서 공공성의 실천을 통하여 ‘제자의 길’을 걸어야 한다. What’s the mor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and church? Especially, people says that the most prevailing factor of these times is the problem of ‘avarice.’ This paper is an applied approach to Bonhoeffer’s ethic of ‘being disciple’ in times of avarice. The foci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y?question on ethical study of avarice,’ ‘Which?question on the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avarice and abstinence,’ and ‘What?question on the task of Christians and church in Korea.’ 1) ‘Why does this paper study on Avarice vs. Discipleship?’ This paper is an applied approach to the topic of discipleship in Bonhoeffer’s ethics and the problem of avarice in these times. Of course, the issue of avarice is neither main concern nor critical concept in Bonhoeffer’s ethics. Nevertheless, he concerns the issue of avarice as problematic factor which blocking be a disciple for Christians. In this meaning, the main structure of this paper could be summarized as a conflict of two important factors: ‘the way of avarice’ vs. ‘the way of disciple.’ 2) ‘Abstinence? or Discipleship?’ The meaning of ‘being disciple’ have to be explained more practically. According to Bonhoeffer, the exit from the persistent challenge of avarice is not the abstinence. Avarice is not the same passive suffering which Christ has undertaken.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axiom from the applied perspective: when Christians give up their identity as a ‘being for others,’ Christians become a ‘being for self’ and be captured by avarice. 3) ‘What’s the task of Christians and church in Korea?’ The genuine alternative to overcome of avarice is to be the disciple of Christ. The task for being disciple in times of avarice could be proposed in double way. First, recovering of Bonhoeffer’s meaning of discipleship is urgently needed. For example, the ethics of S. Hauerwas could be a guide for applied reading of discipleship. Second, Christians have to be morally responsible to public matters from the perspective of ‘being for others.’ Maybe M. Stackhouse could suggest a public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in this meaning.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task of Christians and church in these times is ‘being disciple faithfully.’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하나의 自省的 提案

        문시영(MOON Si-You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09 생명윤리 Vol.10 No.2

        이 글은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하나의 자성적 제안이다. 특히 필자의 교육현장의 경험에 대한 자성을 기초로 삼되, 현대기독교윤리학자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기독교적 ‘덕의 윤리’가 제안하는 관점 및 슈바이커(William Schweiker)의 기독교적 ‘책임윤리’ 등을 토대로 삼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필자는 세 가지 과제를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생명윤리교육은 ‘사람 됨됨이’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제안이다. 생명윤리교육은 교과과정의 개발이나 과목의 설강여부에 그칠 것이 아니라 생명존엄과 그 윤리적 과제에 대한 바른 인식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며 ‘인성교육’의 문제와 맞물린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필자는 생명윤리교육의 대상을 직접적으로 생명윤리를 다루는 연구자와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으로 상정하고 연구자와 대학생 모두에게 ‘사람 됨됨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교육이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덕 윤리’의 관점에서 현대영미철학자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와 현대기독교윤리학자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통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둘째, 생명윤리교육의 핵심은 ‘책임의 윤리’를 세우는 것이어야 한다는 제안이다. 필자는 특히 테크놀로지 시대의 윤리적 책임(responsibility)에 주목하였다. 현대인의 존재조건이 되어버린 테크놀로지에 내재된 ‘힘’(power)에 대한 ‘책임’의 윤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요나스(Hans Jonas)를 비롯한 윤리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였던 테크놀로지 시대의 ‘책임’ 문제는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가 다루어야 할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또한 ‘책임’의 문제를 더욱 바람직하고 균형잡힌 관점에서 교육하기 위해 요나스의 철학적 관심에 추가하여 기독교윤리학자 슈바이커(William Schweiker)의 이론을 보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다루었다. 책임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 접근은 인간의 책임을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교육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으리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셋째, 생명윤리교육은 죽음의 문제까지 포괄하는 통전적 가치관의 확립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제안이다. 존엄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자살의 증가라는 사회현상들은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생명윤리교육은 생명현상을 의료적 데이터로 환원하거나 그와 관련된 설명으로 제한하려는 관점을 넘어서 생명의 신비와 경외심을 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하며 죽음에 대한 바른 이해는 물론 수목장을 비롯한 장묘의 문제에 이르는 주제들을 바르게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oral view for bio-ethics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n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of bio-ethics, there are some tendency to lecture guiding con or pro selections for socially and morally concerned issues. But, it is merely interesting centered approach to ethical problems of bio-technology and contemporary medical issu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virtue-ethics or community oriented ethics which follows Christian ethicist Stanley Hauerwas. Of course, this paper is not a theological introducing for Hauerwas but an applied understanding from his theolog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bio-ethics in university’s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three element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tasks of bio-medical as follows; (1) Recognizing of bio-medical issues as a human character connected problems. According to S. Hauerwas, the core of morality is not act (duty) but agent (character) This means that morality is from one’s moral character, that is, virtue. In this mean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bio-ethics education is human personality. (2) Enhancement of responsibility in technological era. The core value in age of technology is responsibility. In this context, H. Jonas’ philosophical view of responsibility in technological age, W. Schweiker’s theological perspective of responsibility in Christian ethics would deepen university education for bio-ethics. (3) Wholistic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Bio-medical ethics in university education must understand the value of life as a whole including problem of death. Reverence for life is not simply health and cure concern. And death is not a simple concept which ends the life. Now, bio-ethics in university education mus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기독교사회윤리에서 본 공공성

        문시영(Si-Young Mo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학보 Vol.18 No.2

        시민사회에서 교회의 공공성에 대한 요청은 한국기독교에 절실하다. 특이하게도, 한국기독교는 공공성의 요청에 부응하여 공공신학에 관심하는 와중에 교회가 공공성에 미숙하거나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역습’을 받고 있다. 공공성의 역습에 대한 정공법은 공공신학에 대한 바른 인식과 실천이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을 중심으로 공공 영역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풀어내는 이유이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에서, 공공 영역에 대한 인식은 카이퍼의 영역주권론을 계승한 것과 연관된다. 특별은총 영역인 교회와 일반은총 영역인 사회는 각각 별개의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주권이 세워져야 하는 두 측면이다. 이것이 기독교가 공공 영역을 바라보는 특징이다. 특히,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은 영역주권론의 계승을 통하여 공공 영역에 대한 기독교적 관심과 책임을 역설한다. 종교의 역할에 관하여,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은 기독교사회윤리의 확장된 버전을 제시한다. 니버의 기독교사회윤리가 아가페 구현을 위한 근사치적 접근으로서의 정의에 관심했다면, 스택하우스는 글로벌 시민사회를 배경으로 공공성의 구현을 기독교사회윤리의 핵심으로 제안함으로써 지평을 확장시켰다. 공적 책임과 소통을 비롯한 사회윤리학적 실천과제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기독교가 공공 영역을 향하여 ‘나아가기’ 전에 점검해야 할 것이 있다.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그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스택하우스가 제시한 공공성에 관한 신학적 성찰을 보완하는 카운터파트로서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는 의미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회됨의 정체성을 교회됨을 확립하는 노력에 근거하여 공공 영역을 향하여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공공성에 대한 논의를 한국기독교의 윤리성숙이라는 맥락에서 사회적 영성의 문제로 확장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공공성에 대해 관심하는 것은 하강국면에 접어든 교세회복을 위한 이미지 개선의 전략이 아니라 한국 기독교가 개인적 영성에 치중하는 와중에 놓치고 있던 사회적 영성의 회복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잘되는 영성’으로부터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자는 뜻이다. In civil society, the request for publicness of church is particularly urgent for Korean Christianity. This is because the church is being counterattacked by the publicness. The standard tactics is realization of public theology. In this contex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could be contribute for overcomming the counterattack of civil reques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has influenced by Abraham Kuiper’s theology of sphere sovereignty. Church as the shere of special grace and society as the sphere of general grace are two aspects of Christ’s sovereignty. This is the hallmark of Christianity’s view of the public domain. Stackhouse emphasizes Christian responsibility in the public domain through the succession of sphere sovereignty. Regarding the role of religion, Stackhouse presents an expanded version of Christian social ethics. If Reinhold Niebuhe’s Christian social ethics was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as an approximate approach to implementing Agape, Stackhouse expanded its horizons by proposing the implementation of publicness as the core of Christian social ethics. However, there is something to be checked before Christianity ‘goes out’ toward the public domain. In this regard, ecclesial ethics of S. Hauerwas plays a meaningful role as a counterpart to supplemen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It should be noted that discussions on publicness should be linked to ethical maturity of Korean Christianity. Instead of pursuing a strategy for the restor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which has entered a downward pha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church.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현실주의? 공동체주의?

        문시영 ( Si Young Moo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를 두고, 니버는 기독교현실주의(Christian Realism)를, 하우어워스는 기독교공동체주의(Christian Communitarianism)를 중심으로 각각의 해석을 전개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하우어워스의 카운터파트인 스택하우스가 니버의 계승자를 자임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우구스티누스 해석을 두고 니버와 스택하우스의 관점이 하우어워스의 관점과 대비되고 있는 셈이다. 자유주의 윤리와 공동체주의 윤리 사이의 논변구도가 잠재되어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구도에서, 스택하우스와 하우어워스의 관점 사이의 비교와 대화가 시론적으로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스택하우스는 니버를 계승하면서도 카이퍼의 영역주권론을 수용하여 공공신학을 전개한다. 반면, 하우어워스는 니버를 비판함으로써 스택하우스를 간접적으로 공격하면서 교회윤리를 제시한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사이의 논쟁이 교회의 공공성과 정체성 사이의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것은 결국,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에 대한 해석이 현대기독교윤리의 논쟁을 위한 근거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론에 대한 해석에 따라 사회윤리의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 자유주의 윤리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니버의 기독교현실주의와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에서는 지상의 도성에 하나님의 도성이 지닌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공동체주의 윤리를 표방하는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는 하나님의 도성으로서의 교회가 지상의 도성을 살아가는 동안 교회의 정체성을 구현할 것을 강조한다. 문제는 이러한 관계를 양자택일의 대상으로 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양자 사이의 제3의 길도 아니고 양자택일의 길도 아닌, 상호보완성의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공신학과 교회윤리의 맹아가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내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는 셈이다. 무엇보다도, 한국교회의 위기가 교회의 공공성과 정체성 모두를 절실히 요청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해 상보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There are so many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on Augustine`s social ethics. For example, Reinhold Niebuhr regards Augustine as the first source of Christian Realism. Instead of Niebuhrian view, Stanley Hauerwas regards Augustine as the Christian Communitarianist. More interestingly, Max L. Stackhouse considers himself as the heir of Niebuhr. He emphasizes the public faith through accepting Niebuhrian view of Augustine. The Christian ethics of Niebuhr and Stackhouse maybe belong to libertarianism. On the other hand, Hauerwas thinks Augustine`s ethics as the model of Christian Communitarianism. Hauerwas says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of Christian ethics is to enhance of gospel identity of church, in short, ``being church``. In other words, Stackhouse and Hauerwas are different from their perspectives for Augustine`s social ethics. But this paper`s focus is not the differences but the possibilities of mutual supplementation between Niebuhr-Stackhouse and Hauer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is interpretation on Augustine`s ethics is the relations between civitas terrena and civitas Dei. Niebuhr and Stackhouse consider that the task of church as civitas Dei is to realize the values of it in civitas terrena. But, Hauerwas emphasizes the gospel identity of church as civitas Dei in itself. This paper`s proposal is not seeking the third way between Niebuhr-Stackhouse and Hauerwas. Choosing either Niebuhr-Stackhouse or Hauerwas is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ritical and main focus is seeking the possibility of dialogue or the necessity of taking both view of Niebuhr-Stackhouse and ethics of Hauerwas for church`s moral reforma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존엄적 안락사 논쟁의 사회윤리학적 성찰

        문시영 ( Si Young Moo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6 기독교사회윤리 Vol.11 No.-

        This paper has a suggestive perspective to the ethical debate about euthanasia. Generally speaking, the concept analysis or subdivision is the main stream of approaches to the problem of euthanasia. Of course, the concept of euthanasia has diverse meaning according to patient`s will and medical methods. But the crucial concern on euthanasia seems to be the con or pro decision-making. It includes so many factors, for example, the living will, the ethical and religious dispositions of the family, and economic conditions, etc. This paper argues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very important aspects in the ethical reflections on euthanasia. Especially, the changes of culture and social conditions are the most meaningful factors, for example, medical and bio-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changes of the consciousness on ending life. In short, cultual changes invites us to new view of death; dying is no longer something that happens to us but something to we do. Now, the proposal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we must have deep concern o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 dealing with the ethical problems of euthanasia. (2)Christian ethics have to study the theological correspondent strategy to cultural changes in the sphere of bio-medical ethics also. And (3)Christians must to give the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bio-medical problems. For example, hospice movement, welfare for the aged etc. must be study and practice by church communities.

      • KCI등재

        고통의 문제에 대한 덕 윤리의 통찰 ‐ 하우어워스를 중심으로

        문시영(MOON, Si-Yo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5

        이 논문의 목적은 고통의 문제에 대한 덕 윤리의 통찰을 제시함으로써 고통을 대하는 그리스도인의 자세를 성찰하도록 이끌어주는 데 있다. 고통에 대해 신정론(theodicy)의 설명법이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정황에서, 하우어워스가 덕 윤리의 관점에서 고통의 문제를 풀어냈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일이다. 하우어워스의 요점은 신정론에 관한 실천적 재해석을 통해 ‘통제할 수 없음’ 속에서 ‘답 없이 살아가기’를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우어워스가 말하는 ‘통제할 수 없음’은 도덕철학의 ‘도덕 운’ 개념에 가깝다. 하우어워스는 ‘통제할 수 없음’ 속에서 신정론이 주는 답을 따르려 하기보다 고통에 대한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권한다. 그리고 ‘답 없이 살아가기’란 고통에 직면하여 선하신 하나님께 의구심을 제기하기보다 고통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배워가야 한다는 충고이다. 이것은 예수 내러티브에 따라 신실한 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신정론에서처럼 솔루션을 주는 대신, 고통 속에서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해져야 한다는 뜻이다. 나아가, 하우어워스는 고통 속에서 예수 내러티브를 따라 서로를 돌보는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회복을 요청한다. 자신이 겪은 가정사의 고통을 비롯하여 장애인 문제에 대한 관심 등을 포괄하는 실천적 해석을 통하여, 하우어워스는 고통 속에서 그리스도인다운 성품의 함양이 지닌 의의와 가치를 확인해주었다. 다만, 하우어워스의 덕 윤리가 은혜의 중요성을 충분히 풀어내지 못한 점과 고통에 대한 인식에서 사회윤리학적 맥락을 깊이있게 다루지 못한 부분 등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통을 대하는 그리스도인의 자세를 성찰하도록 이끌어준다는 점에서 하우어워스의 덕 윤리가 주는 통찰은 의의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uide Christians to reflect on their attitude toward suffering by presenting insights into virtue ethics on the problem of suffering.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tanley Hauerwas solves the problem of suff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in a context where the theodicy’s explanation of suffering is central. The perspective of Hauerwas can be summarized to suggest ‘living without answer’ in ‘the lack of control.’ What Hauerwas calls ‘the lack of control’ is close to the concept of moral luck in moral philosophy. Hauerwas recommends that Christians should listen to God’s voice on suffering rather than seek the answer from theodicy. And ‘living without answer’ is an advice that Christians should learn God’s will in suffering rather than raising doubts about God in the face of suffering. This leads to the path of becoming a faithful disciple according to the Jesus narrative. Hauerwas recommends that Christians stay faithful to the Jesus narrative in suffering. And he cal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caring for each other following the Jesus narrative. Based on his experience of suffering, Hauerwas confirm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cultivating a Christian character. However, virtue ethics of Hauerwas did not fully address the importance of grace. And he does not deal with the social context in depth. Nevertheless, the insight of virtue ethics is important in that it leads Christians to self-reflection on the problem of suffering.

      • KCI등재

        『신국론』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문시영 ( Moon Si Yo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1 No.-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에 대해서는 니버와 하우어워스를 비롯한 여러 관점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내적 성찰’에 집중하지 못했다. 흥미롭게도, 아렌트가 아우구스티누스 비판적 읽기를 통해 사랑 개념의 한계를 주장했지만, 역설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해석의 촉매제가 된다. 사랑 개념이야말로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성찰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두 사랑이 두 도성을 이루었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은 내적 성찰의 확대적용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의 특징은 ‘내적 성찰에 기초한 사회윤리’이다. 예를 들어, 『고백록』의 내적 성찰에서 비롯된 ‘새로운 시민권’의 추구는 『신국론』에서 ‘하늘의 시민권’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는 순례자의 정체성 인식, ‘화려한 악덕’의 극복, 그리고 제국 속 천국살이 실천의 과제를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성찰에 기초한 사회윤리는 순례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탐욕의 시대에 청빈과 절제의 대안을 실천하도록 독려한다.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views on Augustine’s social ethics, including Niebuhr and Hauerwas, they have failed to pay attention to ‘inner reflection’ inner reflection. Interestingly, Arendt has claimed the limits of the concept of love through critical reading of Augustine, it paradoxically became a catalyst for the interpretation of Augustine’s social ethics. That is because the concept of love is the core of Augustine’s inner reflection. Augustine’s view that the two loves have made two cities is an expanded application of inner reflection.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 of Augustine’s social ethics is the ‘social ethics based on inner reflection’ which led the pursuit of ‘new citizenship’ began with Confessions to ‘heavenly citizenship’ of De civitate Dei. In this context, Augustine suggests the tasks of having identity of pilgrims, overcoming of splendid vices, and practicing heavenly values in civitas terrena. Above all, Augustinian social ethics encourages pilgrims to practice alternatives of honorable poverty and temperance in the age of avarice with the identity of pilgrims.

      • KCI등재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으로: 공공신학적 조망

        문시영(Si-Young Mo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7 No.-

        이 글은 공공신학을 한국기독교의 자성과 성숙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이것은 공공신학을 한국기독교에 대한 ‘디스’의 통로가 아니라 자성을 위한 플랫폼으로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한국기독교는 ‘잘되는 영성’을 벗어날 수 있을까?”를 질문한다. 신념과 행동 및 태도와 가치관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영성 개념을 적용하여,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social spirituality)으로의 전환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잘되는 영성에 집착하여 사회적 영성을 상실하고 있는 한국기독교의 자화상을 ‘신앙의 사사화’(私事化, privatization)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을 통하여 자성하자는 뜻이다. 공공신학을 통하여 한국기독교의 자성을 추구하는 과정은 사사화 극복의 문제 혹은 ‘탈사사화 테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잘되는 영성에 함몰된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공적 책임과 소통에 관심하며 복음의 공공성을 구현하는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와 더불어, 공공신학이 한국기독교에 낯설거나 불편한 사항이 아님을 확인하고 공적 신앙에 적극적으로 관심하도록 이끌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공적 신앙을 제자도에 대한 관심과 연결짓는 과정이 필요하다.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할 책무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도에 근거한 것으로서, 공적 신앙은 사회적 제자도의 실천에 속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This article reinterprets public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flection and maturity of Korean Christianity. It is an attempt to read public theology as a platform for self-reflection, not a channel for disrespect to Korean Christianity. To this end, this paper asks, “Can Korean Christianity escape from ‘prosperous spirituality’?” It is to suggest a transition from "prosperous spirituality" to "social spirituality" by applying a broad concept of spirituality that encompasses beliefs, actions, attitudes, and values. This means that the self-portrait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is losing its social spirituality by obsessing over prosperous spirituality, is to be self-reflecting through the awareness of task for overcoming the privatization of faith. The process of pursuing the self-reflection of Korean Christianity through public theology is not limited to the deprivatization-thesis. In addition to overcoming the privatization of faith immersed in prosperous spirituality, we must also move toward social spirituality that realizes the publicness of the gospel, interested in public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Moreover, efforts are needed to confirm that public theology is not unfamiliar or uncomfortable to Korean Christianity and to lead them to actively pay attention to public faith.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nect public faith with interest in discipleship. The task to move from prosperous spirituality to social spirituality is based on the discipleship of Jesus Christ, and public faith should be recognized as belonging to the practice of social disciple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