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생활환경 경관개선을 위한 도시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 도봉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문선욱 ( Moon Sun-w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

        도시디자인이란 도시 거주민의 살기 좋은 환경구축을 위한 사고, 행위, 활동에 대한 디자인의 총체다. 도시의 이미지는 지역주민의 생활상이 총체적으로 반영되고 투영되며, 이로써 지역 정체성이 표현된다. 그러나 우리의 도시는 문명의 이기와 무분별한 개발로 기계적 편리성은 누릴 수 있게 되었으나, 정체성이 상실되어 무미건조하고도 부정적 도시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지자체들은 경쟁적으로 지역고유의 도시경관 이미지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그 결과는 현상만을 중시한 나머지 또다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도시디자인은 도시의 근본적 가치 주체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생활에 유익을 주며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디자인의 수립방향 설정을 위해 해외사례와 주민의식조사를 통해 이슈를 도출하고, 이슈별 현황 분석을 토대로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을 분석하고, 이에 합당한 도시디자인 권역 및 축의 설정과 기본계획의 방향과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도봉구 행정구역 전 범위이며, 내용적 범위는 도봉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도시디자인 기본 구상단계로 한정하였다. 도시경관은 단기간에 조성되거나 일회성 계획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속성을 가지므로, 도시디자인 기본목표를 이루기 위한 중장기적 비전을 토대로 점진적으로 형성해 나가야 한다. 이때, 관련된 모든 분야 간에 효율적 연계와 시민활동에 대한 다양한 지원 등 총제적인 시스템의 구축은 주민생활에 유익을 주는 진정한 도시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You can say that urban design is the whole of thinking, behavior, and activity for establishment of residents` good living environment. The Image of city must have present a local identity by an overall reflection and projection of inhabitants` living conditions. We could enjoy a mechanical benefit until now by the modern conveniences and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the city. However, this results in a tendency come up other problems. And cityscape has made a negative image by losing the city`s identity. Urban design activities mus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provide utilities and instill a sense of civic ride for the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issues caused by the case studies and residents` consciousness for setting up an urban design objectiv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of Dobong local district on the basis of present data, and to suggest a master plan according to the suitable urban axis and region.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study is Dobong district in Seoul. It limits the step of design conception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obong urban design master plan. We must change the progressive urban design action for setting an urban goal because that cityscape won`t be created in a short period time and at one swoop. The main urban design agent must be effectively connected to related fields and support various programs to citizen`s activities. This holistic system can realize a true urban design for citizens.

      • KCI등재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의 경관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문선욱 ( Sun Wook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슬로시티는 인간과 자연 환경의 속도를 존중하고, 지역성과 전통성에 기초한 삶을 유지하여, 환경과 경관의 위협에 맞서는 운동이다. 본 연구는 도시형 슬로시티인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경관자원과 경관부문별 현황특성을 도출하고, 정체성 있는 슬로시티 경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창평면 슬로시티는 비옥한 토지와 뛰어난 자연을 배경으로 한 집적화된 전통가옥과 돌담길 등 독특한 경관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삼지내 마을은 편측중심으로 환형의 축을 가짐으로써 기성시가지와는 섬과 같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부문별 주요 특성으로는 개선의 노력이 보임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고증 없이 현대적 재료로 정비된 돌담, 벽체, 지붕, 대문 등으로 청결하지만 어색함을 자아냈으며, 빈 가옥 등 관리의 허술함도 보였다. 또한 기성시가지 및 마을 내 혼재되어 있는 근현대식 건축물과 시설물의 무분별한 자극적인 색채사용은 경관의 부조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전통경관의 이미지를 지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고증을 통한 친환경적 원형의 전통재료와 전통가공법 및 전통디자인을 계승한 디자인을 통해 연차적인 보수 및 유지관리가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발적이며 지속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장단기 로드맵에 의해 순차적이고 서두름이 없는 일관성 있는 경관디자인 정책과 실행이 필요하다. 우선 그 일환으로 경관가이드라인 및 지침을 수립하고, 차츰 삼지내 마을은 물론 창평면 전 지역에 확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전통과 기성시가지의 근현대 구조물과의 이질적인 혼재를 서서히 개선해나가야 한다. 또한 의식제고를 위한 지역민과 구성원에 대한 교육과 현실적인 재정마련방안을 모색하여, 주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실행을 유도해야 한다. Slow city movement based on vernacular and traditionality is respectful of human and nature and stands against a treat to the environment and townscap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ownscape characteristics of slow city in Changpyeong, Damyang-gun and to propose the plan for continuous townscape`s ident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low city in Changpyeong has unique townscape resources; aggregation of Korean southern provinces traditional houses and alley by stone walls and so on. But despite the improvement of townscape, there are many clashes of colors or materials and weak points in management caused by no historical researches. Therefore slow city in Changpyeong should set up a goal to preserve traditional townscape images. It`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is historical research. And it`s important that coherent townscape policy should carry out thoroughly. For putting a plan into practice first, it should set up design code and guideline. And then application of area should expand all Changpyeong. Those processes should be gradually improved to harmonize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clearly necessary to educate all members, and to assist realistic finance for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residents.

      • KCI등재

        연령대별 발달을 고려한 아동용 휴식가구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문선욱(Sun Wook Moon),김자경(Ja Kyung Kim) 한국가구학회 2019 한국가구학회지 Vol.30 No.1

        Among the children’s furniture, the rest furniture is the furniture that is bought first such as the bed used first at birth and is used the longest. Therefore, it is also furniture where there is a lot of interest from the consumer side and the best substitution is by age group. From the standpoint of the children who spend a lot of time indoors, rest furniture becomes the best playground and the rides for childr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oose the furniture considering the development and behavior according to ages in order to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children and to induce physical activity and to provide safe and comfortable resting spa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st furniture suitable for development by age group and suggest appropriate type of rest furniture for each age group. As a basic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for designing rest furniture for children by age group are accurately identified, and the products of rest furniture for domestic and overseas children are checked in total, and the types of design, color and desig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ge group. In order to develop rest furniture for various ages in the future, we suggested some things to be improved and improved.

      • KCI등재

        도시건축의 패러다임과 장식효과에 관한 연구

        문선욱 ( Moon Sun-w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본 연구는 도시환경에서 건축물의 문양과 장식에 대한 것으로, 문양의 기원과 기능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기호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상징체로써 건축의 재료와 장식의 상관성 및 표현효과의 특성 도출이 목적이다. 도시건축의 장식은 가공하지 않은 문화적 재료로써 근본적인 표상과 도상을 찾는데서 출발한다. 그 목적은 보이는 현재의 문화에서 보이지 않는 힘을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시대의 장식은 무한이 많은 반향을 일으키는 불확정성의 영향력 있는 기호가 된다. 재료는 장식을 통해서만 그 영향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식은 필수적이며 건축적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건축 재료와 문양에 의한 장식들은 기호들의 혼합체로써, 문화와 연관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이미지들과 컨셉을 생산할 수 있는 메커니즘 구축을 필요로 한다. 내용적 차원의 의미론적 해석에 의하면, 현대 도시의 건축 환경은 공간의 통합과 경계의 모호성 등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소통하고자 하는 특성과 기술혁신을 통한 새로운 물성 부여로 테크놀로지 지향문화를 반영한다. 표현적 차원의 통사론적 유형은 건축물 구성요소의 깊은 깊이감에서부터 얕은 깊이감에 이르는 장식 효과, 본질적 구조 프로그램에서부터 비본질적인 구성재에 의한 장식효과, 색조표현, 레이어링, 픽셀레이팅 등 조화와 대비, 분화유형에 의한 상호작용효과의 세 가지 장식효과 범주로 분류하여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rigin and function of patterns in aspect of semiology, and to derive the relativity of architectural material to ornament and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affects with paradigm. Ornament of urban architecture may start with found imagery or iconography as raw cultural material. Its primary purpose is to render the invisible forces in contemporary culture visible. So that ornament becomes a contingent sign capable of generating an unlimited number of resonances at the best of times. It is through ornament that material transmits affects. Ornament is therefore necessary and inseparable from the object of building. Ornament that material and pattern is a composite one, made up of visible as well as invisible forces. Architecture needs mechanisms that allow it to become connected to culture, and achieve new images and concepts continually. A semantic approach,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communicate over a very wide field, united space and equivocality of boundary, and reflect the culture toward technology that gives newly shape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The study derives three classifications in presentation of ornament: (1) depth orders building components from the deepest to the thinnest (2) compositional material ordered from the most intrinsic to the interior content; (3) interplay between depth and material like differentiation and geometrical pattern.

      • KCI등재

        다가구주택의 현황과 건축공간디자인 분석

        문선욱 ( Sun-wook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4

        연구배경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개성에 따라 다변화 하는 요구를 담는 다양한 디자인의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거공간의 의미 변화를 살펴보고, 단독주택 유형으로 건축주의 거주와 동시에 상가 및 주거의 임대가 가능한 수도권 다가구주택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개념 고찰과 통계에 의한 현황 분석, 다가구주택 사례분석을 통해 건축 및 공간구성 특징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다가구주택의 개념 및 변천, 코로나19 팬더믹 이후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주거공간 디자인의 변화 요구를 고찰하고, 경기도의 다가구주택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경향을 살펴본다. 둘째, 연구대상의 지구단위계획과 지구 내 다가구주택 사례의 건축디자인의 컨셉 및 공간구성의 분석을 통해 특징을 도출한다. 셋째, 미래 다가구주택 디자인의 방향을 제언한다. 연구결과 첫째, 다변화하는 가족 구성원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평면과 공간구성이 나타났다. 둘째, 공간 볼륨의 수직적 확장으로 3차원의 공간 볼륨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매스의 솔리드와 보이드 조절을 통해 채광과 통풍의 권리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공간 경험의 감성 공간으로 디자인되고 있다. 결론 주변 환경조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주거 선호 추세의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건축주의 요구 및 향후 입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에 따른 디자인을 반영함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디자인 과정을 거쳐 공급된 다가구주택은 아파트 일변도의 경색된 주택시장에서 서민층에게 합리적 가격의 질 좋은 주거의 대안이 될 것이다. Background Demand for houses with various designs that contain the needs to diversify according to residents lifestyles and personalities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derive architectural and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through conceptual review, statistics and case analysis by selecting multi-family houses that can rent stores and houses together at the same time as the owner lives Methods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e concept and transformation of multi-family housing and the demand for changes in residential space design according to lifestyle changes after COVID-19 Pandemic were considered. And the trend i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on multi-family houses in Gyeonggi-do. Second, the characteristics a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ct unit plan and the concept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case of multi-family housing in the district. Third,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multi-family housing design. Result First, various planes and spatial configurations appeared according to the diversifying types of family members. Second,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volume is becoming important due to the vertical expansion of the spatial volume. Third, through the control of the solid and void of mass, the rights of mining and ventilation are secured and through this, it is designed as an emotional space for spatial experie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esign of changes in the needs of the owner and the lifestyle of future tenants through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trend of housing preference. Multi-family housing supplied through this series of design processes will be an alternative to high-quality housing at a reasonable price for the working class in the strained housing market on one side of the apartment.

      • KCI등재

        한국 기후와 주거환경에 적합한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방향

        문선욱 ( Sun-wook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2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적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공학기반의 디자인 기초연구이다. 즉 패시브하우스의 성능 요건에 충족되면서도 국내의 기후환경에 부합하고, 국내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적합하여 주거 쾌적성이 높은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패시브하우스의 정의와 정량적 요구성능, 디자인기법, 국내외 인증제도 및 관련법령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일사량, 습도, 환기의 측면에서 한국의 기후환경에 수백년 이상을 진화해 온 한옥과 패시브하우스의 기준이 되는 서유럽의 기준을 비교 고찰하고, 현대 한국의 주거환경에 구현될 수 있는 한국적 패시브 하우스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통한옥으로부터 도출된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기법으로는 난방하지 않는 열적 완충 공간의 복원, 가변적 창호시스템, 상승기류 형성을 위한 공간의 비움과 채움, 계절에 따른 일사 및 습도를 조절하는 처마, 낙엽수 식재를 통한 계절에 따른 자연 차양장치 등이 있으며, 현대 건축의 요소와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은 지속적인 연구로 해결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기대하는 효과는 한국의 기후조건과 주거생활의 특징에 기인하는 한국적 디자인 성능요건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부각시킴으로써, 에너지 절감 원리에 입각한 건축 성능과 거주자의 주거 쾌적성을 개선할 단서를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의 공학적 기술력을 갖춘, 디자인과 공학 융합적 접근의 연구라는데 그 의미가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is basic design research of the engineering base to seek the direction of Korean passive hous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direction of housing amenity that meet performance requirements in passive house and comply with the climate in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in conformity with domestic residents.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is to leading a review of the advanced studies and then look at the definition of passive house, quantitative performance criteria, design technique,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ion and the relevant laws. The next to consider traditional Korean house that evolved over hundreds of years the environment in the climate of Korea that compared Western Europe on the benchmark criteria for Passive house in terms of solar radiation, humidity, ventilation, In the final, to suggest Korean passive house design direction and a plan direct to be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housing of Korea of the current period Result Passive house design techniques were derived from traditional Korean as follows : The restoration of the heat thermal buffer zone that does not, variable window system, fill or empty of space for the formation of an ascending air current, solar radiation on seasonal and humidity to control the eaves, seasonal natural shading device through a deciduous tree planting. Conclusion Derived in connection with the techniques, the development of modern elements of architecture and systems can apply techniques must be resolved in continued research.

      • KCI등재

        아파트 외장색채 배색방식 및 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 경기 서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

        문선욱 ( Sun Wook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본 연구는 우리 도시경관의 형성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 중에서도 지난 20여 년간 건립된 아파트 외장색채의 배색방식 및 패턴의 조사 분석을 통해 그 변화의 특징을 도출하고 평가함으로써, 보다 조화로운 경관을 위한 아파트 색채계획 및 디자인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배색방식은 I기에 대부분 부분배색의 단순배색에서 점차 매스 및 기단배색방식이 채택되고 복합적으로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배색패턴에서 면구성은 I기에 수직패턴방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적용되었으며, IV기에서는 수평패턴과 그라데이션 기법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그래픽 기법은 대개 II기와 III기에 적극 도입되다가 IV기에서는 줄어들고 대신 부조패턴의 강조기법이 적극 도입되고 있다. 총체적으로는 최근 아파트는 평면변화에 따라 판상형, 탑상형 등 입면형태가 다양화되고 단지 구성의 변화,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변화에 발맞추어 배색방식 및 패턴도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색사용으로부터만 벗어나려 했던 소극적 색채계획 개념을 탈피하여 이제는 경관색채계획 원칙을 수정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세련되고 조화로운 과감한 계획방법과 방향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즉 원경에서의 도시경관과 중경에서의 가로경관, 그리고 단지 내에서 주민들의 생활공간으로써 인식되는 근경에 필요한 적절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화와 복합화의 변화 특성을 체계화하고, 거시적으로 도시와 가로 및 단지, 건축물 등 도시의 경관을 형성하는 전 과정에 걸쳐 원경, 중경, 근경이 고려된 통합된 시스템적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scheme type and pattern through analysis of facade color of apartment houses constructed in the last twenty years and to suggest direction of color planning for harmonious landscap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Partly coloration of scheme type mostly showed in period I, mass and stylobate scheme type was adopted gradually thereafter. Vertical pattern of face composition were used the most in period I, since then it were used constantly. Horizontal pattern and gradation technique of scheme pattern increased remarkably in period IV. Graphic technique was universally used in period II and III, but application of it decreased, whereas relieve pattern of accent technique was actively applicable in period IV. Overall changes in facade color scheme type and pattern of apartment houses are reflecting diversity and complexity of plan and elevation at a pace by change paradigm in planning and designing. Therefore, it suggest refined and daring innovation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from passive color planning that only cast off primary color use. And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has to be considered proper needs in urban distant view, medium range view of street space, close range view of living space in housing block. Also it has to be multidisciplinary approached by integrated systemic urban design.

      • KCI등재

        도서지역 슬로시티 경관색채 비교연구

        문선욱 ( Moon Sun-w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본 연구는 슬로시티 중 도서지역이라는 공통적 근원성을 갖는 증도와 청산도 두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지역색채를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고 비교하여, 지속적 슬로시티 경관형성과 보존을 위한 지역별 경관색채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두 지역은 여건상 동일하거나 유사한 환경조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결국 가장 대표적인 고유성에 의해 확연히 다른 지역색과 경관색채를 나타내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증도는 YR 그레이쉬 계열의 동일 또는 유사 톤배색 조화로 주조색의 무채색계열에 채도가 강한 B가 지붕색으로 채택됨으로써 채도대비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바닷가의 열리고 시원한 이미지로 정돈된 경관이미지를 갖고 있으므로, 향후 경관색채계획과 관리의 방향을 현재 사용된 색채범위로 규정하고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청산도는 섬 내부가 산촌지형으로 증도와는 다른 색채경관을 보인다. 세부적으로는 크게 두 가지 조화의 양상으로 대별되어 나타난다. 무채색계열의 주조색에 채도 및 색상대비조화와, 중명도, 중채도의 G에서 YR에 걸친 색채범위에서 유사톤의 조화이다. 다만 기성 일반시가지의 색채환경이 무질서한 모습을 보이므로, 슬로시티 특화지역에서 나타나는 색채팔레트를 적용한 개선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nd to compare local colors of Jeungdo and Cheongsando which are slow city islands in Korea those have common resources and to provide landscape color planning direction for sustainable slow city`s landscape. Jeungdo and Cheongsando have equal o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but in the last analysis they show certainly different local colors and landscape colors by own`s representative endemism. Jeungdo has arranged cool and wide prospect view that is harmonious by same or similar combination of grayish YR and chroma contrast combination of achromatic colors of wall, floor with primary color B. From now on Jeungdo`s landscape color planning and manage have to comply with the ranges of existing color environment. Cheongsando is a slow city island containing diversity of landscape so it shows different landscape color from Jeungdo. There are two types of color harmony and coloration. In other words, those are chroma and hue contrast combination of achromatic colors and roof`s primary color of YR, B and harmonious similar tone combination of middle brightness, middle chroma of G to YR ranges. However built-up area needs to be reformed by specialized slow city area`s color pallet. because it shows disorderly color environment.

      • KCI등재

        뉴어바니즘의 도시디자인과 공공성

        문선욱 ( Moon Sun-w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본 연구는 미국 뉴어바니즘 도시디자인의 단계별 기법과 유형학적 특성 및 그에 내재되어 있는 공공적 가치와의 상관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뉴어바니즘 도시는 10가지의 기본원리를 가지며, 공간의 규모와 디자인작업의 단계별로 규제가 아닌 다양한 선택의 여지를 갖는 권장형의 규정에 의해 구현된다. 기본원리의 가장 핵심 키워드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용도의 복합과 보행권으로 사회의 융합을 도모하며, 자족과 귀속감에 의한 커뮤니티의 활성화, 건강과 안전, 친자연성의 공공적 가치를 갖는다. 뉴어바니즘 디자인은 유전적 알고리즘을 갖고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적응하고, 성장한 역사·문화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표현하며, 그 요소는 다양한 제약 환경조건 속에서 최적의 디자인을 도출하여 자기조직화하며 응집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뉴어바니즘 도시디자인 수법과 공공적 가치관의 상관성은 향후 국내 도시디자인에 참조될 시사점을 추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deducting the relativity of the public good to the corporeal characteristics in step-by-step instructions on urban design in the American New urbanism. New urbanism has ten basic principals. It has achieved by not imposing legal control but encouraging dwellers in their well-being that have their choice in the process of urban design. The keyword of the basic principals are mixed-use and walkability for rehumanizing. These design for union of society, and then have the public good that is self-sufficiency, activating of community by belonging, health and safety, ecological balance. Design of New urbanism has inherited algorithms for a long time and acclimate circumstances, express variety and complexity of history and culture. The elements of design derive optimums and show cohesive self-organization in the multiplicity of barred environment. New urbanism has the signification and suggestion for the public good. And then this study find the value and application method in Korean urba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