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노자상이주(老子想爾注) 양생윤리 -양생의 시대적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정우진 ( Woo Jin Jung ),문석윤 ( Suk Yoon Moon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5 No.-

        본고는 『상이주』에 보이는 생명과 윤리의 논리를 양생윤리라는 개념으로 포착하고, 그것을 양생론의 시대적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외척, 환관정치로 인해 생명이 피폐해지고 社의 권위가 흔들린 후한대의 상황은 개인적 차원에 머물러 있던 양생에 사회화를 요구했고, 그 결과 양생은 윤리와 결합하게 되었다. 감정을 중요한 생명의 단서로 생각하고, 감정의 유로를 생명의 소실로 보는 기존의 전통 윤리적 관념은, 양생윤리의 배경이 되었다. 『상이주』 양생윤리의 전모는 『正統道藏30冊』 543쪽에 실려 있는 ``道 德尊經戒``에 보인다. 도덕존경계에는 『도덕경』 등에 보이는 퇴양과 인순의 지혜가 담겨 있기 때문에, 『상이주』 도계는 지혜의 격언과 도덕규범 이 혼재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은 『상이주』가 『도덕경』 주석서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 또 『도덕경』의 가르침이 도덕규범으로 발전할 소지가 있었다는 점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이주』 양생윤리는 감정의 안정을 추구하던 전통적 양생론과 달랐다. 그러므로 마음의 안정을 지향하던 전통윤리와는 다른, 생명과 윤리를 연결하는 별도의 기제가 요구되었다. 『상이주』의 저자는 선악판단과 수명의 심판자인 天曹, 수명의 증감을 기록한 계약서라는 관념 그리고 尸解라는 독특한 죽음관을 적절히 이용해서 ``선악-천조의 관할-생명의 증감``이라는 논리를 만들었다. 이 배후에는 감정적 동요는 도덕적 악의 상태에 해당한다는 전통적 윤리관이 전제되어 있다. 결국 『상이주』 양생윤리는 감정의 안정을 추구하던 전통윤리, 그리고 전통윤리의 배후에 있던 생명과 윤리의 결합이라는 관념이 당시의 민중 신앙과 섞여 만들어진 양생론이자 민중종교 윤리였던 셈이다. Nurturing lif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oughts in ancient china. Xiang Er Zhu is the bible of Wou Dou Mi Tu(五斗米徒). I investigated Xiang Er Zhu from the perspective of Nurturing Life in this treatise. Nurturing Life first shown in Zhuang Zi(莊子) and Guan Zi(管子) had developed through Qin Hin(秦漢) period and changed itself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of age. This change can be told to be the development of Nurturing Life Theory. In post han period, Nurturing Life Theory had to fit itself into the age request, socialization. Nurturing Life Ethic in Xiang Er Zhu is the response to the request. China had some thoughts of the original form of Nurturing Life Ethic. Tai Ping Jing(太平經) is one of them. But the oldest model we can find would be in Guan Zi. In Guan Zi, we can find the thought that feeling stability cause health of mind and body. Nurturing Life in Xiang Er Zhu formed on the foundation of that thought. But it did not follow the same logic. It borrowed such concepts as Tai Yin(太陰), Tian Cao(天曹) from folk religion. Folk religion was familiar with the chinese and had the power to enforce moral behavior. People should keep Dao Jie(道誡) not to lessen his life by punishment of Tian Cao. But Zao Shen(조神) or San Shi(三尸) that report guilty of person to Tian Cao in Daoism Ethic is not in Xiang Er Zhu. Instead, Xiang Er Zhu proposed the technique of Shi Jie(尸解), revival from death. Nurturing Life Ethic in Xiang Er Zhu is folk religion ethic founded on the traditional ethic orienting feeling stability and the cohesion of life and ethic behind traditional ethic.

      • KCI등재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새로운 도덕 이론 : 마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문석윤(Moon Suk-Yoon)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90 No.-

        다산은 당대의 도덕-실천의 위기를 감지하고 그를 극복하는 것을 자신의 주요한 과제로 삼았다. 그는 당시의 도덕 이론의 빈곤에 도덕-실천의 위기가 있다고 보고, 그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도덕 이론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다산이 극복의 대상으로 삼은 당대의 도덕 이론은 주희(朱熹)의 견해를 정통으로 이해하는 조선성리학(朝鮮性理學)의 도덕이론으로서, 마음을 존재론적으로 한편으로는 기(氣)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여 도덕을 자연적 능력의 일종으로 보는가하면, 한편으로는 이(理)에 종속된 것으로 봄으로써 도덕에서의 개인적 주체의 역할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산은 마음을 기(氣)와 분리시켜 자연적 능력의 차이를 초월한 신(神)적 기원과 속성을 가진 구체적 실체로 이해하고, 또한 그 내부에 절대적인 도덕적 가치의 내재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이(理)와 기(氣) 양(兩) 방향의 규정으로부터 도덕 실천을 해방시켜, 도덕 실천을 개인의 자유로운 결단에 의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다산에 의하면 마음은 성(性), 신(神)의 요구, 혹은 규범에 따를 것인가 아니면 육체의 욕구에 따를 것인가 그 사이에서 결단해야 하며, 그런 결단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실현한다. 다산 정약용은 주희의 도덕이론을 기초로 한 사대부의 도덕적 자아가 극도로 팽창해 있던 시대에, 새로운 도덕이론을 제시함으로써 한편으로 유교 내의 실천적, 민중 지향적 성격을 회복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또 한편으로는 근대를 향한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Dasan(茶山) Jeong Yag-yong(丁若鏞) saw the crisis of moral-practice in his time and tried to overcome it. He considered the origin of that crisis mainly lies in the poverty of moral theory, so to speak the moral theory of Choseon XingliXue(朝鮮性理學) which had given the orthodoxy to ZhuZiXue(朱子學). Zhuxi’s moral theory understands mind[心] ontologically on the one hand constitutes of ‘qi’(氣) so that regards moral as a kind of natural capacity, and on the other hand subordinates to ‘li’(理) so that weakens the role of individual subject. Dasan at first separated mind from ‘qi’ and understanded it as a concrete substance which had the divine origin and property so that the difference of natural capacities was transcended, and did not admit the immanence of absolute moral values in mind so that mind was emancipated from the subordination of the absolute ‘li’ and became the individual subject which could practice moral values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his own free will. Dasan’s new understanding of mind and new theory of moral can be evaluated on the one hand as a sincere effort to restore the practical and public character in Confucianism, and on the other hand as making way to the modern world.

      • KCI등재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에 관한 연구

        문석윤 ( Moon Suk Yoo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 는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에 대한 상세한 주해(註解)이다. 「숙흥야매잠」은 하루의 공부 방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이상적인 방식으로 묘사하고 규정하여 둔 글로서, 기본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그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배경으로 삼고 있다. 그것은 중국 절강성(浙江省) 출신인 남당(南塘) 진백(陳栢)에 의해 창작되고 이후 주로 그 지역 출신의 학인(學人)들에 의해 중시된 지역적 특색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른바 금화주자학(金華朱子學)의 형성 및 전개와 관계가 깊은 문헌이다. 소재는 그것을 정단례(程端禮)의 『독서분년일정(讀書分年日程)』을 통해 접한 것으로 추정되며, 퇴계(退溪) 및 하서(河西)와 서신 교환에 의한 대화를 통해 주해 작업을 완성하였다. 퇴계가 『성학십도(聖學十圖)』를 편찬하면서 그 내용을 반영한 것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숙흥야매잠해」 는 조선의 공적(公的) 및 사적(私的) 교육이 주자학을 기준으로 하여 구축되어 가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소재는 그것을 통해 주자학(朱子學)을 실천 심학(心學)에 초점을 두어 해석하고 발전시켰다. The “Sukhungyamaejamhae夙興夜寐箴解” of Sojae소재Noh Susin盧守愼(1515-1590) is a detailed commentary for “Sukhungyamaejam夙興夜寐箴”. “Sukhungyamaejam” is an essay which describes and defines the ideal way of learning to be a sage according to the time flow of the day. It basically has Jujahak朱子學as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background. It is written by a scholar of Zhejiang浙江Province in China, Nantang南塘Chenbai陳栢, and mainly treated importantly by the scholars born in that region. It may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Jinhuazhuzixue金華朱子學. With some reasons we can construe that Sojae has taken it from ChengDuanli程端禮(1271-1345)’s famous work Dushufennianricheng讀書分年日程. Sojae completed “Sukhungyamaejamhae” through some dialogues with Toegye(退溪) and Haseo(河西). “Sukhungyamaejamhae” had some effect on the building of educational system in Chosun which took Jujahak as its standard ideology. Sojae interpreted and developed Jujahak with a focus on the practical Simhak(心學) through it.

      • KCI등재

        특집 :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순암안정복(順菴安鼎福)의 성리설(性理說) -「의문(疑問)」의 내용을 중심으로-

        문석윤 ( Suk Yoon Moon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순암의 저작 「의문(疑問)」에 실린 내용을 중심으로 순암의 성리설을 개관한 것이다. 순암은 성호(星湖) 사후에 이른바 공희로(公喜怒)에 대한 해석 문제로 인해 학파 내에 분열의 조짐이 있자 그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혼륜(渾淪)-분개(分開)``의 관점을 정립하였으며, 더 나아가 그에 입각하여 자신의 성리설 전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의문」은 바로그러한 노력과 정리의 결과물이었다. 순암은 성리설에 대한 이론적 천착보다는 일상에서의 의리의 실천을 강조한 실천적 유학자였지만 또한 이론적 요구가 있었을 때 그를 외면하지 않고 자신의 실천 이념으로서 체계적인 성리설을 구축하였던 것이다. 그 가운데 인간성과 동물성을 명확히 구분하면서 제시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에 대한 이해는 전통 성리학적 이해를 넘어서서 다산 정약용에로 계승되었다. 순암의 성리설은 기본적으로 주자 이래의 전통성리학을 보수한 것이었지만, 그를 넘어서서 새로운 철학에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또한 가지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xing-li theories of Sunam(順菴) An Jeong-Bok(安鼎福: 1712~1791) which are appeared in the 「Uimun(疑問)」. Although Sunam is usually evaluated as a conservative practitioner rather than as a unique theorist, in this text he has presented some meaningful and comprehensive xing-li theories. They are the results of his efforts to mediate the split among the disciples of Seongho(星湖) Yi Ik(李瀷: 1681~1763) after his death. Especially he established the dual viewpoints of ‘Honryun(渾淪)-Bungae(分開)’ in the course of his efforts to solve the famous problem of Gonghuiro(公喜怒), which functioned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his whole xing-li theories. And his understanding of Bonyeonjiseong(本然之性) was inherited to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1762~1736). His xing-li theories were basically conservative, but also contained some possibilities to move into a new philosophy.

      • KCI등재

        퇴계(退溪)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수정(修正)에 관한 연구

        문석윤 ( Suk Yoon Moon ) 퇴계학연구원 2011 退溪學報 Vol.130 No.-

        退溪의 『聖學十圖』 修正은 第4圖 「大學圖」의 原圖인 陽村 權近의 「大學之圖」에 대한 것, 第6圖 「心統性情圖」의 原圖인 程復心의 「心統性情圖」에 대한 것, 그리고 그 中圖와 下圖에 해당하는 퇴계 자신의 그림들에 대한 것, 第7圖와 第8圖의 자리바꿈 등이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에 관해 검토함을 통해 우리는 퇴계가 『성학십도』에 기울인 공력과 정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학십도』가 단순히 기존의 선현들의 설을 집성하여 편집한 것이 아니라 퇴계 학문의 精髓가 결집되어 있으며, 퇴계가 그를 통해 자신의 보편적인 학문의 이상을 제시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는 『聖學十圖』 定本의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퇴계의 수정 의견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는 것이, 海州本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i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Seonghaksipdo(聖學十圖), the compilation of Toegye(退溪) Yi Hwang(李滉), which is a collected works of Chinese and Korean Neo-Confucians including Zhu Xi(朱熹), Cheng Fu-xin(程復心) and Kwon Keun(權近). Of course Toegye himself drew some diagrams and wrote commentaries to all the diagrams respectively. More importantly Toegye sometimes revised some parts of the original texts, and even after the first print of the Seonghaksipdo he suggested some revision.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what was the revision of Toegye, and trie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at revision. An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also confirmed Haejubon(海州本) was the best version of Seonghaksipdo which applied all the revision of Toegye.

      • KCI등재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에서 『정본(定本) 퇴계전서(退溪全書)』까지

        문석윤 ( Moon Suk Yoo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5

        송대(宋代) 도학(道學)이 성립되면서, 문집(文集)은 단순히 개인적 창작 모음집이 아니라 도학적 진리를 담고 있는 경전적(經典的) 성격을 지니게 되며, 한편으로 그것을 지지하는 문인(門人)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게 한다는 공적(公的) 의미를 얻게 되었다. 즉 적어도 그 문인 집단 내부에서는, 마치 경전(經典)이 그러하듯이 제자들의 공의(公議)를 수렴한 정전(正典)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문집인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은 우리나라에서의 문집 편성에서 그러한 도학적 전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는 1600년 초간(初刊) 된 후, 1843년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중간(重刊)되고, 1869년에 이르러 문집 범위를 넘어서서 퇴계의 저작들과 관련 자료들 전체를 모은 전서(全書)의 체제로 편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대폭산거(大幅刪去)와 전고수록(全稿收錄)이라는 두 가지 편집 방침의 대립과 절충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여 보았다. 또한 정전화(正典化)의 현대적 재현이라고 시각에서, 2002년부터 퇴계학연구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의 경과와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As the Dao-xue(道學) was established in Song Dynasty, Wenji(文集),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becomes not merely a collection of individual works but a collection of the teachings of the `Teacher(先生)` at some case. Then It is a public achievement that forms and supports the identity of the disciple group. It means, at least within the disciple group, that it has the nature of a canon(正典) which converges various opinions of the disciples, just as the Scriptures(經) do. Toegye Yi Hwang(退溪 李滉)`s ToegyeseonsaengMunjib(退溪先生文集, TM) is a representative case which shows that kind of meaning shift of Wenji in traditional Korea. TM was first published in 1600, and republished several times until 1843, and in 1869, it went beyond the scope of the Wenji and was attempted to compile all works of Toegye and relevant materials. In this paper the whole process wa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frontation and compromise of two editorial policies, namely, a rigid choice and selection and a total collection without any kind of deletion. In addition, I briefly introduced the progress and contents of the project of the compilation of the Authentic version of ToegyeJeonseo(定本 退溪全書) since 2002 which can be recognized as a present reproduction of a canon.

      • KCI등재

        朱子에서 도덕 실천과 감정, 그리고 수양의 문제

        文錫胤(Moon Suk yoon)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朱熹(朱子)는 도덕 실천이 외적 행위, 내적 의도 그리고 그에 수반하는 감정의 세 가지 審級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에게서 도덕 실천의 가장 깊고 최종적인 이상은 善의 실천이 일체의 강제성, 심지어는 의도 혹은 의지적인 내적 강제성마저 배제한 가운데 행위자의 도덕적 성향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것이었다. 그러한 자연스러운 실천에는 그에 적합한 감정 특별히 즐거움의 감정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감정은 도덕 실천의 최종적 심급이 된다. 도덕 실천의 최종 심급으로서의 감정은 단순히 內的적인 것이 아니라 외부로 표현되고 公的으로 평가되는 성격을 가진다. 즉, 참된 도덕 실천은 외면의 善의 실천, 그 내부의 의도와 동기의 올바름을 넘어서, 실천하는 주체의 내면에 반드시 진정한 기쁨 혹은 적절한 감정[情]이 수반된다. 또한 그러한 감정은 그의 표정이나 동작, 언어 등 외적으로 미세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따라서 자세한 관찰과 해석을 통해 자기 자신 만이 아니라 남이 알아 볼 수 있다. 한편, 감정이 우리의 성향 혹은 성격의 표현이라고 한다면, 주자는 우리의 성향[性]을 단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공동체성(公, 공존재성)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감정은 한편으로는 개인적 성향 혹은 인격을 표출하는 것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심층의 그러한 공동체성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순전히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어떤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주자에서 도덕실천의 이상을 지향하는 수양은 그러한 공동체성을 온전히 실현하는 동시에 또한 그러한 실현을 방해하는 개인적 편차를 교정하고자 하는 心의 노력에 집중되었다. Zhuxi(朱熹) thought that the moral practice has three layers(instances) from surface to depth, so to speak, the outward act, its internal motivation, and the accompanying emotion. To him the deepest and final ideal of the moral practice is that the practice of the good(善) may be realized by the natural and spontaneous ways from the practitioner’s moral disposition or character. That is,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true joy and proper emotions beyond the exterior action and interior right intention. When the emotion is the expression of our propensity and personality, Zhuxi understood our propensity is not only individual and internal but also communal(or trans-individual) and external. Therefore emotions are, on the one hand, the exposure of the individual propensity and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that communal propensity(trans-individuality) and have a vital importance as the touchstone of moral practice. And to him the moral cultivation oriented to the ideal moral practice focused its efforts on the full realization of that communal propensity(trans-individuality) and the careful control of personal variations that would hinder such realization, which are the task of the mind[心].

      • KCI등재
      • 기획논문 : 서애(西厓) 류성용(柳成龍)의 학문(學問)과 계승(繼承) ; 서애(西厓) 류성용(柳成龍)의 「주신설(主莘說))」에 대하여

        문석윤 ( Suk Yoon Mo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은 그의 만년에 「주재설(主宰說)」이라는 제목으로 짧은 글을 남겼다. 거기에서 그는 마음의 주재(主宰)를 확립하는 것을 성학(聖學)으로서의 학문의 착수처이자 종착지로서 제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주재(主宰)는 마음의 공능(功能)일 뿐 아니라, 몸을 적절하게 제어하고 본성을 충만하게 실현하기 위한 공부(工夫)의 기초이자 핵심이요, 또한 그 결과로서의 성인(聖人)의 최종의 경지 곧 공효(功效)를 의미한다. 서애의 이러한 관점은 도덕 실천에서 객관적인 리(理)의 인식을 강조하는 주자학적(朱子學的) 입장과는 구별되며, 또한 본심(本心)의 자연스러운 발현을 강조하는 양명학적(陽明學的) 입장과도 다르다. 그가 강조한 것은 도덕에 대한 형이상학적 정당화 혹은 이론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주체적 실천 의지였으며, 도덕 본체의 자연적(自然的) 실현(實現)이 아니라 인간의 유위적(有爲的) 실천(實踐)이었다. 그것은 공자(孔子)이래 유교(儒敎)의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의 유위적(有爲的) 실천의지(實踐意志)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1627~1704)은 후에 서애의 주재(主宰) 개념이 지나치게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그의 비판은 주자학의 전통적 입장에서, 서애의 견해가 객관적 리(理)의 주재(主宰)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자아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염려를 표출한 것이었다. 갈암의 비판에 대해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1818~1886)은 서애의 주재(主宰)는 곧 경(敬)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통 주자학이나 퇴계학(退溪學)의 전통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변호하였다. 그러나 이는 한주 자신의, 마음과 리(理)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입장에 대한 변호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서, 서애의 주재설(主宰說)에 대한 적절한 변호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서애의 주의적(主意的) ``주재(主宰) 심학(心學)``은 공자(孔子) 이래 유교의 실천의식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가 국가적 재난을 주도적으로 헤쳐 가는 과정에서 형성한 것이요, 또한 그러한 상황 속에서 그가 재상(宰相)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실제적 기여를 하였다. Seoae(西厓) Ryu Sung-ryong(柳成龍, 1542∼1607) in his later years wrote an short essay on the Mind entitled 「Jujaeseol(主宰說)」,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the will in the moral practices. He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volitional control[(主宰)] of the mind as the start poin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method [(工夫)] and the final outcome[功效] of the Sage-learning[(聖學)]. He contended that on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volitional control of the mind we could control over the body, understand the real truth, and fully accomplish the possibilities of our Nature. Soeae``s position is different not only from that of Zhuzixue(朱子學) which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Li(理) in the moral practices, but also from that of Yangmingxue (陽明學) which emphasizes the natural realization of the Benxin(本心). What he emphasized was not the natural realization of the moral substance but the volitional practice of human being. His volitional ``Jujae(主宰) Xinxue(心學)`` can be understood as the succession of the heritage of Confucius and the result of his positive response to the national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