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수당(仁守堂) 박사희의 생애와 추모시 연구

        문복희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memorial poems of Insudang Park, Sa-hui. Park Sa-hui’s family clan is Go-ryeong, and her pen name is Insudang. She was born in Jeongbae-li, Seojong-myeon, Yangpyeong-gun as the eldest daughter of Yangseo Park, Jun-bin (1892-1969). Her mother, Ms. Lee, whose family originated from Jeonju; was the daughter of Wu-seung Lee, who was an instructor. At the age of 16, Insudang got married to Boheongong Jang, Gideok, and together they had three children. She tended to her parents-in-law with filial piety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with utmost sincerity. She was obedient to her husband, frugal with her possessions, and faithful to her child. Her housekeeping was temperate and diligent, and she shared a close bond with her family and neighbors. She was also committed in all her activities, and had cultivated feminine virtues. During the Korean war (6-2-5 Upheaval), when the Chinese Army’s Medical Corps requested that ritual foods be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wounded soldiers, she reasoned with and nursed these soldiers. She passed away in 1951, the following year, at the age of 34. Insudang had lived a truly virtuous and beautiful life as a role model for the public.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her birth in 2018, “A History of Insudang” will be published and a memorial monument will be built.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one of the memorials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in relation to her life. Although Insudang passed away, various works were created in later generations to celebrate and memorialize her traditional personality and nobility. These memorial works were used to illuminate the literary world and used figurative images to examine its aesthetic value. Particularly, memorial poems illuminating her life are typed and their essence is analyzed through the material in The Four Gracious Plants and Pine Tree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memorial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items that included noble man’s spirits, maternal indicators, a model of a devoted daughter-in-law, as well as an incision of pine and bamboo, and relating them to Insudang’s life. 본고는 인수당 박사희의 생애와 추모시를 고찰한 논문이다. 박사희(朴姒熙, 1918~1951) 여사의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인수당(仁守堂) 이다. 그는 양평군 서종면 정배리에서 양서(楊西) 박준빈(朴峻彬, 1892~1969) 선생의 장녀로 태어났다. 모친 전주이씨는 교관 이우승(李祐承)의 따님이다. 인수당은 16세에 보헌공 장기덕 선생에게 출가하여 슬하에 삼형제를 두었 다. 그는 시부모를 효로써 섬기고 제사를 정성껏 받들었다. 남편에 대하여는 순 종하고 스스로 근검, 절약하였으며 자식에게는 의리를 밝혀주었다. 가정 살림은 절제하고 부지런하였으며 가족과 이웃에게 돈독하면서 부덕을 닦아 모든 행동에 충실하였다. 6.25 동란 때는 중공군 의무대가 부상병 치료에 사용하려 고 제사상을 내놓으라고 하자, 인수당은 사리로써 설득하여 빼앗기지 않고 깨 끗이 지켰다. 그 이듬해 1951년에 서거하시니 향년 34세였다. 인수당은 참으로 부덕을 갖춘 아름다운 삶을 살아서 세인의 귀감이 되고 있다. 이 뜻을 기리기 위해 2018년 생신 100주년을 맞아 『인수당실기(仁守堂實記)』를 출간하고 추 모시비를 세우게 되었다. 본고는 이에 따라 『인수당실기』에 수록된 인수당의 추모시 중 한시의 내용 을 분석하고 그의 생애와 연관하여 그 의의에 대해 살폈다. 인수당은 서거했지 만 인수당의 전통적인 향기와 군자다운 뜻을 찬양하고 추모하는 작품들이 후 대에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이 추모 작품을 대상으로 비유적 이미지를 통해 문 학세계를 조명하고 미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특히 사군자나 소나무 등을 소재 로 하여 그의 삶을 비유한 추모시들을 유형화 하고 그에 담긴 정신을 파악하였 다. 그를 위해 추모시의 내용을 군자의 기상, 모성의 지표, 효부의 표본, 송죽의 절조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인수당의 삶과 연결하여 그 의미를 살펴 본 논문이다.

      • KCI등재

        정응린의 생애와 추모의 양상 및 의미 연구-의거 430년 기념 추모시를 중심으로-

        문복희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2

        This paper examines Jeong Eung-rin’s life (1531-1592) and memorial poems commemorating the 430th anniversary of his death. His courtesy name was Baekin and his clan was based in Hadong. He was a loyal subject who saved his country by sacrificing himself when it was in crisis. He was born and raised in a family that valued loyalty, filial pie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During the Imjin War o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became a militia commander who combined literary and martial arts with a manly spirit. When Seoul fell to the Japanese invaders and the country was put in jeopardy, Jeong Eung-rin wrote in blood from his own finger to save Joseon, encouraged resistance to the invaders, voluntrily fought the Japanese, and died in a sublime fashion. His dedication as a general was was made possible by his patriotism and philosophical beliefs. With these beliefs, he was able to fight without fear of dying, and exerted wisdom to lead his subordinates and people. General Jeong Eung-rin died in 1592 while fighting bravely to protect Joseon from Japanese invasion. A writing contes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430th anniversary of his death. Excellent works were selected and compiled into a collection of poems.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his collection of memorial poems and examines their significance in relation to life. More specifically, among the 506 memorial poems contained in this collection, this paper highlights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at showed the spirit of loyalty and national protection, sheds light on their literary world, and examines their aesthetic value. In particular, through this paper the author seek to categorize memorial poems that symbolize Jeong Eung-rin’s life and grasp the spirit contained in them. As a result, this paper classifies memorial in honor of Jeong Eung-rin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loyalty to the country as a military official, loyalty and filial piety as a civil official, and the spirit of patriotism as a civil and military official. It then examines their significance in connection with his life.

      • KCI등재

        시조(時調)에 나타난 백색 이미지 연구-구름, 눈, 새를 중심으로-

        문복희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is thesis examines the use of white imagery in sijo through objects such as clouds, snow, and birds that are found in nature, and deduced the overall meaning and aesthetic sense of the works. The color images of white subject matters were analyzed based on nine sijo. The aesthetic sense and symbolism featured in these works were also examined. The text was derived from “Gosijo Daejeon,” which was compiled by the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Ethnology and Culture Throughout the nine sijo, clouds are featured in the following three pieces: Kim Soo-Jang’s “How Silent The Thatched House is,” Kim Jang-Saeng’s “Planting Bamboos to Use as a Fence,” and Jeong Cheol’s “A Shadow Falls Under Water.” Snow is featured in the following three pieces: Sung Sam-Moon’s “This Body Dead and Dead,” Lee Saek’s “In the Valley where the Snow Stopped,” and Shinheum’s “Snowing in the Mountain.” Birds are featured in the following three pieces: Lee Jik’s “The Black Crow,” Ishi’s “Where the Crow Passes,” and Hong Jang’s “The Shiny Night of Han Song-jeong Moon.” The symbolism and overall meanings of these work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works based on the related aspect of white in the imagery of clouds, snow, and birds. Although the same white-colored subject matters were used in these works, such concepts as purity, innocence, sublimity, cleanliness, and a contrast to black, expressed through these subject matters varied based on each work. This also served as a crucial factor for expressing the writer’s emotions, sensitivity, and inner world. The basis for recognition as an original aesthetic is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in which the author was positioned. Although the white imagery contains general symbolism, it was shaped into various images in the poetic space by being introduced through objects found in nature. Therefore, these subject matters related to color images have contributed to highlighting the meaning and aesthetic sense of the aforementioned works. The color image featured in these works plays a crucial role in effectively conveying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aesthetic sense. 이 논문은 자연물 중 구름, 눈(雪), 새(鳥)를 소재로 한 시조를 대상으로 백색이미지의 양상을 살펴보고, 작품 내용의 총체적인 의미와 미의식을 파악하였다. 즉, 시조(時調) 9편을 대상으로 백색 소재의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 미적감각과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작품의 텍스트는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고시조대전」으로 하였다. 구름 소재로는 김수장의 「초암이 적료한데」, 김장생의 「대 심거 울을 삼고」, 정철의 「믈아래 그림자 디니」 3편, 눈(雪) 소재 작품은 성삼문의 「이몸이 죽고 죽어」, 이색의 「백설이 잦아진 골에」, 신흠의 「산촌에 눈이 오니」 3편, 새(鳥) 소재 작품은 이직의 「가마귀 검다하고」, 이시의「가마귀 디디는 곧에」, 홍장의 「한송정 달 밝은 밤에」 3편을 합하여 9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름, 눈, 새 소재와 백색 이미지의 관련 양상을 통해 실제작품을 분석한 결과, 그 상징성과 작품 내용의 총체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같은 백색 소재를 사용했지만, 각 작품에 따라 순수, 결백, 숭고, 깨끗함, 검정과 대조적인 입장 등의 이미지로 형상화되었으며, 작가의 정서와 감성,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특히, 작가가 처한 외적, 내적 환경에 따라 독창적인 미의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백색 이미지는일반적인 상징성을 갖고 있으면서, 자연 소재와 만나 시적 공간 속에서 다양한이미지로 형상화되었다. 따라서 색채 이미지와 관련된 소재들은 작품의 의미와 미의식을 부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즉, 작품 속의 색채 이미지는 작가의 의식세계와 미적 감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었다.

      • 長時調의 內容 硏究(續) : 근대 지향 의식을 지닌 작품을 중심으로

        문복희 경원전문대학 1994 論文集 Vol.16 No.2

        이상에서 필자는 장시조의 내용을 네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그러나 제4항에 분류한 것들은 대부분 풍류를 읊거나 한시를 시조라는 초, 중, 종장의 형식으로 엮어놓은 것들로 근대의식이 별로 나타나 있지 않으며, 오히려 전대의 전통을 이으려는 作意가 다분한 것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11수의 장시조만을 대상으로 크게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고, 각기 그 유형에 나타나는 근대의식을 살펴보았다. 제1항에서는 사모의 정과 이성간의 육정을 강조하는 내용의 작품들을 다루었다. 총 111수의 장시조 중 73수를 차지하여 거의 3분지 2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사모의 정이나 이별을 탄식하는 작품이 45수를 차지했는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을 숨김없이 드러내거나 일상적인 소재를 비유에 차용하고 있었다. 한밤이 다 지나도록 오지 않는 임을 애타게 기다리는 여인의 심정을 절절히 노래한 작품이 있는가 하면, 임에 대한 사모의 정을 아무것도 모르는 개의 짖음에 연쇄시켜 표현한 것은 지난 시대의 양반들의 평시조에서는 볼 수 없는 소박미를 보여 주고 있었다. 노골적인 남녀간의 육정을 강조하는 작품도 적지 않은 28수가 있었다. 주로 중(僧)과 부정한 여인이 단골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이 계통의 작품들은 우선 소재면에서 조선 사대부들에게는 충격적인 것이었다. 그들은 조선호 舊樂을 정리하는 과정에서도 '남녀상열지사'라거나 '詞俚不載'라는 말로 고려 가요를 누락시켰었던 사람들이었다. 소설 불용론을 외친것도 淫亂한 마음을 갖게 된다는 이유를 들었던 그들이었다. 그러나 시대는 바야흐로 평민들의 문학이 왕성해지는 시대였다. 남녀간의 본능적인 육정을 그들 평민은 과감히 표현하였다. 그것은 민중들의 생활이 그만큼 본능적이었다기보다는 오히려 지난 시대의 위선에 대한 저항을 그렇게 표시한 것이었다. 즉 성리학적 예학이라는 고집스런 양반 사대부에 대한 노골적인 항변이었다. 제2항에서는 계층 체제의 모순과 비리를 풍자하는 내용의 작품들을 다루었다. 작품 수는 다른 항에 비해 많지 않아서 13수에 불과하나, 그 근대적 의식은 다분히 전항을 포괄할 수 있는 것이다. 임진, 병자 양란 이후 성장하기 시작한 평민의식은 신분의 수직적 상승과 산문 정신의 발달을 가져왔다. 따라서 전기의 체제 유지를 위한 載道論的 시가였던 평시조를 답습할 수 없었다. 내용면에서나 형식면에서 혁신이 불가피했다. 지배계층을 각종 물것에 비유하여 가렴주구를 비판하였고, 중앙관리가 나타났을 때는 벌벌 떨기만 하고 형편없이 초라해지는 지방관리가, 힘없고 약하기 만한 백성들 앞에서는 잔뜩 거만한 태도로 그들을 괴롭히는 모습을 파리-두터비-백송골로 비유하여 풍자하였다. 또 승려를 지배계층의 한 전형으로 내세워 그들의 모순되고 벗나간 모습을 고발하였다. 제3항은 일상적 소재를 노래한 것과 여성 인권의 신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모았다. 전체 111수의 근대적 의식을 노래한 작품 중 4분의 1정도를 차지하는 25수가 그것이다. 더벅머리 머슴과 양반집 도련님의 대화로 볼 수 있는 첫번께 작품에서는 조선 후기 농촌 평민들의 생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머슴의 대꾸에서 식전부터 밤중까지 부지런히 일을 하고도 한밤중이면 언문자를 배운다고 했다. 하루 종일 고된 농사일을 하고도 밤중까지 글자를 깨치려 노력한다는 것은 당시 평민들에게도 각성이 시작된 모습을 보여 준다 . 한 인간으로서의 알 권리를 찾아가는 것이다. 이런 의식은 당연히 상충 계급과의 갈등을 빚게 된다. 고분고분하게 말을 전하던 것도 '전헐동말동'이라며 얼버무리고, 저항하게 된다. 이렇듯 자아를 찾아가는 것이 양반 대 평민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시어미 대 며느리, 남편 대 아내로 그 범위는 넓어진다. 서집와서 그릇을 여럿 깨뜨린 며느리를 시어미가 구박하자, 며느리도 할 말을 떳떳이 한다. 당신 아들이 우리 집의 회령종성 다히를 뚫어 버려놓았으니 '兩呼 將'이라는 것이다. 피차일반인데 뭘 그러느랴는 항변이다. 그런가 하면 고부간 화해의 모습을 통해서도 여권의 신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놋주걱을 부러뜨려 고민하는 며느리를 오히려 달래주고 용기를 주는 모습이 그것이다. 두번째 인용한 작품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동등한 평등의식을 볼 수 있었다. 남편이 아내를 속였는데, 아내라고 남편을 속이지 말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것이다. 여성이라고 항상 남성에게 당하고만 살수는 없다는 항변이요, 인권평등을 부르짖은 근대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장시조에는 상층 지배계급에 대한 모순과 비리를 풍자하는 수직적 신분상승 의식과 남녀간 육정의 본능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어 지난 시대의 얽매였던 주자학적 체제로부터의 해방을 선언하는 내용은 물론이요, 고답적 상투적 문구의 차용으로 충효와 음풍농월만을 지향하던 양반들의 인습에 대한 반항으로 대담한 욕설이나 외설적 음담패설, 그리고 대화체의 사용이나 일상생활의 흔한 소재를 노래하는 자유분방한 근대적 의식을 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장시조의 근대적 성격은 우리 문학사에서 상당히 큰 의미를 부여받을 수 있다. 근대의 기점을 어디로 잡느냐는 그동안 문학사를 기술하는 이들에 따라 여러 가지로 논의 되어왔으나 아직도 학자에 따라 그 기점을 달리하고 있음을 본다. 그러나 그 기점을 어디로 잡든 이러한 근대적 의식이 팽배했던 장시조가 18세기 이후의 문학에 준 영향은 지대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