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병훈 ( Moon Byeong-hoon ),장천 ( Zhang Qian ),이영철 ( Lee Young-chul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이 연구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특수학급에서의 공격행동, 소리 지르기, 물건 던지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팀을 구성하여 목표행동을 관찰한 후 가설을 수립하였으며 연구과정에 참여하였다. 중재방법은 선행사건 중재로서 학생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교수환경을 조성하고, 대체행동 교수로서 요구와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지도하였으며, 후속결과 중재로서 사회적 강화와 정적연습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시하였다. 문제행동 발생률은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능적 행동평가와 중다요소 중재를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급에서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후속연구는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에서 다른 유형의 장애 학생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비교 연구, 학교의 다른 공간, 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연구, 가정과 학교가 연계한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 setting. Target behaviors were aggressive behaviors, yelling, and throwing objects. Th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through survey and observation led to the hypotheses of problem behaviors. The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of antecedent, alternative behavior, and consequence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antecedent strategy was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that induces interest and motivation of the student. Alternative behavioral strategies were teaching expected behaviors and instructing how to express needs and feelings. Consequent strategies were social reinforcement and overcorrection. This study utiliz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and measured the behavior using a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study`s individualized PBIS were effective in reducing aggressive behaviors, yelling, and throwing objects.

      • KCI등재

        메트릭스를 이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병훈 ( Byeong Hoon Moon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육보조인력, 보호자의 메트릭스 기반의 체계적 협력을 통한 배경·선행사건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행동의 감소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점검하였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문제행동들은 기능분석과 가설검증을 통하여 수업과 관련된 선행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고 설명 위주의 수업상황이 학습의 흥미와 동기를 낮추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표행동은 연구대상 학생이 통합학급 내 수업활동 중에 보이는 산만행동으로서 연필이나 지우개를 이용하여 행동하기, 몸이나 발 흔들기, 몸을 기울이거나 책상에 엎드리기, 얼굴이나 몸 만지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긍정적 행동지원팀원간 체계적 협력을 위한 메트릭스를 작성·공람하며 연구대상 학생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선수학습을 실시하고 수업활동자료를 제공하는 중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특수교육보조인력과 보호자가 중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메트릭스를 이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연구대상 학생의 통합학급 내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문제행동의 감소가 유지되었으며,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트릭스를 이용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육보조인력, 학부모의 팀 협력에 기반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는 메트릭스를 활용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에 대한 제도적 차원의 실행방안, 메트릭스 양식의 개발 및 효과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to view the change of attitude to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econd grade prim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 Target behaviors were to act using a pencil or eraser, to shake body or feet, to tilt or drop the body on the desk, to touch face or body. They were defined as distracting behaviors. Problem behaviors were found to be caused by the lack of the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s related to classes by functional analysis.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this research had proceeded by analysing materials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 classroom teacher and by interviewing for mother and by weaving matrixes set the schedul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inclusive classroom teacher etc. Using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across settings, the frequency of the student``s problem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partial-interval reco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s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ective in reducing behavior problems and was maintained. Second, attitudes to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was changed positively.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PBS) 메타 분석: 최근 15년간,1999년~2013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문병훈 ( Byeong Hoon Moon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1999년부터 2013년까지) 초등부에서 고등부(전공과 포함)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PBS) 관련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술논문 발표검색 사이트 검색을 통하여 62편을 최종선정하고 논문편수, 항목별 비율, 빈도 등을 분석하여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논문의 연도별 편수, 논문 유형, 발행 유형 면에서 전체 논문의 연도별 편수는 2010년 10편(16.1%)으로 가장 많고, 논문 유형은 실험연구논문 41편(66.1%), 문헌연구 17편(27.4%), 조사연구 4편(6.5%)이며, 발행유형은 학위논문 27편(43.5%), 학술지 논문이 35편(56.5%)이다. 둘째, 실험연구논문의 지원단계, 중재영역 면에서 지원단계는 개별지원이 40편(97.6%)이고, 후속결과 중재 39편(95.1%), 대체기술(행동) 교수 35편(85.4%)이다. 셋째, 실험연구논문의 목표행동은 자리이탈 20편(48.8%), 산만행동 15편(36.6%), 지시위반 거부 17편(41.5%), 방해행동 24편(58.5%)이다. 넷째, 실험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실험장소, 실험기간, 회기 면에서 초등학생 27편(65.9%), 특수학교 19편(46.3%), 시간제 특수학급 19편(46.3%)이고, 장애학생수 1명 29편(63.0%), 남학생 40명(61.5%)이다. 지적장애 2급 이상 45명(69.2%)이고, 중복장애 10명(16.1%)이다. 특수학교 교실 10편(24.4%), 일반학교 전체(운동장, 복도, 특별실 등) 5편(12.2%), 통합학급과 특수학급(병행) 5편(12.2%), 통합학급 6편(14.6%)이다. 실험기간은 2개월 이상 3개월 미만이 15편(36.6%), 3개월 이상 4개월 미만이 10편(24.4%)이다. 실험회기는 20회 이상 30회 미만이 14편(35.9%), 30회 이상 40회 미만이 12편(30.8%)이다. 다섯째, 실험연구논문의 중재자, 협력자, 관찰자 면에서 중재자는 특수교사 28편(68.3%), 통합학급교사 11편(26.8%)이며, 협력자는 관리자 (교장, 교감) 8편(19.5%), 특수교사 22편(53.7%)이다. 관찰자는 통합학급교사 5편(12.2%), 특수교사 31편(75.6%)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긍정적 행동지원(PBS)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결과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요소를 보완하고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적,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directions of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including post-high school) in the last 15 years(1999-2013) in Korea,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is, we found 62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sites to search for academic papers and presented item rates, frequencies in the tables and graphs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in 2010 were 10 studies(16.1%).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41 studies(66.1%), literature review studies were 17 studies(27.4%), research studies were 4 studies(6.5%). Dissertations were 27 studies(43.5%), theses published in journals were 35 studies(56.5%). Second, the individual support levels were 40 studies(97.6%), the consequence intervention area were 39 studies(95.1%) and alternative behaviors(skills) instruction were 35 studies(85.4%). Third, leaving the seat were 20 studies(48.8%), distracting behavior were 15 studies(36.6%), refusing instructions and violation were 17 studies(41.5%), disturbing behavior were 24 studies(58.5%). Fourth,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were 27 studies(65.9%), special-education schools were 19 studies(46.3%), part-time special education class were 19 studies(46.3%), studies joined one participant were 29 studies(63.0%), studies joined male were 40 studies(61.5%), participants with the first or second degree of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45(69.2%), participa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were 10(16.1%), special-education school classrooms were 10 studies (24.4%), general school-wide(playgrounds, hallways, special rooms, etc.) were 5 studies (12.2%), integrated classrooms and special class(parallel) were 5 studies(12.2%), inclusive classes were 6 studies(14.6%). More than 2 months and less than 3 months of study periods were 15 studies(36.6%), more than 3 months and less than 4 months 10 studies(24.4%). More than 20 times and less than 30 times were 14 studies(35.9%), more than 30 times and less than 40 times were 12 studies(30.86%). Fifth, as interven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28 studies(68.3%),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were 11 studies(26.8%), as co-workers, administrator(principal, assistant principal) were 8 studies(19.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22 studies(53.7%), and as observers,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were 5 studies (12.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31 studies(75.6%).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has been actively made. But after supplementing the lacks of studies and considering cogni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음악치료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특성 (호북성을 중심으로)

        장천 ( Zhang Qian ),이영철 ( Lee Young-chul ),문병훈 ( Moon Byeong-h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이 연구는 음악치료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국 호북성 무한시에 소재한 특수학교 2개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84명과 장애학생 부모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음악치료에 대한 인지도, 이해도, 기대도, 음악치료 목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에 대한 인지도는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는 장애학생 부모보다 더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의 이해도는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음악치료는 음악활동이다`, `음악치료는 의사소통의 방법이다`, `음악치료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장애학생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의 향상을 위해서 음악치료가 필요하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에 대한 기대도는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 모두가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음악치료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넷째,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목표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음악치료의 우선순위에서 특수교사는 학업 성취력 증진, 정서 및 행동 교정 순으로, 장애학생 부모는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 정서 및 행동 교정 순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n music therapy of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to figure out basic information about music therapy by analyzing the recognition, the understanding and the priority of music therapy goals. Subjects are 100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2 special school for disabilities and 200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wuhan. the question aires were delivered by via-mail and finally were analyzed 275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 SPSS WIN 22.0 progra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music therapy showed high relatively.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 higher perceptions than par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Second, 4 items which ask the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for disability students showed difference significantly up to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ird, all of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o need music therapy programs for disability students. It showed high expectations of music therapy. Fourth, priorities of music therapy goals for disability student showed difference significantly up to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first priority to impro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followed by correc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hile parent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showed the first priority to develop of communication competence, followed by correc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중국의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PBIS) 실험연구 동향 최근 10년간(2007년 5월~2017년 3월)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장천 ( Zhang Qian ),이영철 ( Lee Young-chul ),문병훈 ( Moon Byeong-hoon ),진박승 ( Chen Boche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2007년 5월~2017년 3월)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PBIS) 관련 중국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술논문 사이트 검색을 통하여 28편을 최종 선정하고 논문편수, 논문유형, 지원단계, 장애학생비율, 문제행동유형, 실험기간, 실험회기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편수, 논문 유형, 발행 유형 면에서 연도별 논문편수는 2014년 5편(17.9%)으로 가장 많았고, 논문 유형은 실험연구논문 12편(34.4%), 문헌연구 16편(65.5%)이었으며, 발행유형은 학위논문 5편(17.8%), 학술지 논문이 23편(82.2%)이었다. 둘째, 실험연구논문의 지원단계는 개별지원이 9편(75%)이고, 다중 지원이 3편(25%)이었다. 장애유형은 자폐증 학생 9명(52.9%), 지적장애 학생이 5명(29.4%)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의 연령은 6~12세 11명(64.7%)이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의 성별은 남학생 13명(76.4%)이었다. 넷째, 실험연구논문의 문제행동은 방해행동 7편(20.6%), 지시위반 5편(14.7%), 자리이탈 2편(5.9%)이었다. 다섯째, 중재방법은 후속결과 중재 10편(83%), 대체기술(행동) 교수 6편(50%)이었다. 실험기간은 2개월 미만이 2편(16.7%), 2개월 이상 3개월 미만 7편(58.3%), 3개월 이상 4개월 미만 2편(16.7%)이었다. 실험회기는 10회 이상 20회 미만 2편(16.7%), 20회 이상 30회 미만 6편(50%)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긍정적 행동지원(PBIS) 연구논문 편수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도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육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정 법제화 및 제도화, 예산 지원 및 긍정적 행동지원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directions of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PBI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ay 2007-March 2017 in China,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is, we found 28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sites to search for academic papers and presented item rates, frequencies in the tables and graphs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5 studies(17.9%) were publised in 2014. 12 studies(42.8%) were experimental studies, 16 studies(57.2%) were literature studies. 5 studies(17.8%) were thesis, 23 studies(82.2%) were academic journals. Second, 9 studies(52.0%) were individual support levels. The subjects of 9 studies(52.9%) were autistic students, that of 5 studies(29.4%)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the subjects of 11 studies(64.8%) were 6-12 old students, that of 13 studies(76.4%) were male. The subject of 9 studies(75%) was one participant. Fourth, the target behavior of 2 studies(5.9%) was out-of-seat, that of 5 studies(14.7%) was instruction violation, and that of 7 studies(20.6%) were disturbance behavior. Fifth, 10 studies(83.3%) reinforced consequences, 6 studies(50%) taught alternative skills. The Experimental period of 7 studies(58.3%) were more than 2 months and less than 3 months, that of 2 studies(16.7%) were more than 3 months and less than 4 months. Experimental session of 6(50%) was more than 20 times and less than 30 times, that of 3 studies(25%) was more than 30 times and less than 40 times. This study shows that studies and researches on PBIS was insufficient in China. Legislation of relevant laws, regulations and budget support for PBIS should be promoted in China. Appropriate behavioral support systems should be developed suitable for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