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변성 결정기반 BPM 생성을 위한 가변성 의존관계 분석

        문미경,Moon, Mi-K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6 No.5

        최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맞게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재사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모델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이 제시되었다. BPFM은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방법의 가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군 (family)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을 분석하여 이를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모델이다. BPFM으로부터 여러 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Business Process Model: BPM)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변성 결정 및 가지치기(Decision and Pruning)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때 가변성 사이에는 서로 협력적 또는 배타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는 가변성 결정과 가지치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 제시된 BPFM에는 이러한 바인딩 정보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군에서 식별될 수 있는 가변성들 사이의 의존관계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가변성 정보를 독립된 의존관계 분석모델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추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나의 가변성 결정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다른 가변성들을 추적하여 선결정 처리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변성 결정회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잘못된 가변성 결정으로 인한 BPM의 기능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음을 사례연구를 통해 보인다. Recently, the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 which is new approachfor assuring businessflexibility and enhancing reuse in application development with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was proposed. The BPFM is a model which can explicitly represent the variabilities in business process family by using the variability analysis method of software product line. Many business process models (BPM) can be generated automatically through decision and pruning processes from BPFM. At this time, the variabilities tend to have inclusive or exclusive dependencies between them. This affects the decision and pruning processes. So far,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binding information of variability dependency in the BPF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analyzing various types of dependency relationships between variabilities and representing the variability and their relationships as a dependency analysis model. Additionally, a method which can trace the variabilities affected by a decision on the dependency analysis model is presented.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helps to reduce the number of variability decision and to solve a disagreement of functions in BPM produced by incorrectly deciding the variability.

      • KCI등재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모델을 위한 가변성 분석 방법

        문미경,염근혁,Moon, Mi-Kyeong,Yeom, Keun-Hyu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5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들은 외부상황에 신속하게 비즈니스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온디맨드 비즈니스 (On-demand business)를 구현하기 위해 IT 시스템의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는 온디맨드 운영환경에서의 비즈니스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를 제공한다. 오늘날의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SOA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맞게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재사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방법의 가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family)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을 분석하고 이를 명시적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모델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 방법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BPFM을 모델링하고 BPFM으로부터 가변성 결정과 가지치기 과정을 거쳐 자동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Business Process Model: BPM)을 생성하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의 가변성 분석을 통하여 비즈니스와 이를 지원하는 IT 시스템은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Many of today's businesses need IT system's flexibility for on-demand business which can be rapidly adapted to environment changes.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provides the infrastructure which makes business flexibility possible under the on-demand operating environment. Therefore,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new approach for assuring business flexibility and enhancing reuse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developing a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 in which the variabilities in business process family can be explicitly represented by using the variability analysis method of software product line. In addition, we describe the supporting tool for this approach. It can model the BPFM and generate automatically BPMs through decision and pruning process from BPFM. By using our approach, the business and its IT system can correspond to business environment changes rapid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프로덕트라인 아키텍처 기반 RFID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문미경,김한준,염근혁,Moon, Mi-Kyeong,Kim, Han-Jun,Yeom, Keun-Hyu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7

        Software produce line engineering is a method that prepares for future reuse and supports seamless reuse in the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Analyzing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between products in a product line is one of the essential concerns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 product line. In this paper, we suggest to combine a product line engineering approach with RFID applications technology. More concretely, common activities are identified among the RFID-enable applications and the variability in the common activities is analyzed in detail. Then, we suggest reusable product line architecture as a product line asset. In addition, as a tool for supporting this research, a framework which provides both reusable product line architecture for REID applications and the components that implement concrete realization of the architecture is developed. Sharing a common architecture and reusing assets to deploy recurrent services may be considered an advantage in terms of economic significance and overall quality.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은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대한 활동들을 미리 계획하고 개발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관련된 시스템들, 즉 도메인에서 공통성과 가변성(commonality and variability: C&V)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방법과 RFID 적용 기술을 결합시키고자 한다. 즉, 각 기업 또는 도메인마다 RFID 기술을 도입하려고 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공통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활동들을 식별하고 각 활동들이 가지는 가변요소들을 분석하여, 이를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아키텍처로 자산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재사용 가능한 프로덕트 라인 아키텍처를 모델링 할 수 있고 식별된 공통된 기능들을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제공해주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공통된 아키텍처를 공유하고 반복적인 기능들을 자산으로 만들어 재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과 품질에서 상당한 이점을 가져다 준다.

      • KCI등재

        RFID 기반 냉동창고 시스템의 적재위치 관리 방안

        문미경,최봉준,Moon, Mi-Kyeong,Choi, Bong-J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9

        기존의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 냉동창고 시스템에서는 cold room 입구에 RFID 리더기를 설치하여 물품이 인식될 때 단지 그곳에 적재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다양한 상황에서 물품의 적재위치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냉동창고에서는 물품 보관을 하는 cold room의 안팎 온도차이로 인해 물품의 적재위치 오류는 물품의 변질을 가져오게 하므로 실시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대의 RFID 리더기가 설치된 지게차와 천정태그를 이용하여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에서 물품의 적재위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지게차에 설치된 2개의 RFID 리더기는 각각 천장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위치데이터와 지게차에 적재된 물품데이터를 획득한다. 2개의 리더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품의 입/출고 상황정보와 물품의 이동경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동창고의 물품보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In RFID-based cold-storage systems, product locations are recognized as the logical locations of RFID readers which are attached to the entrance of the cold rooms. However, through these methods, product locations can be incorrect in many different situations of a storage. Cold storage rooms have a huge rage in temperature, and the product in the cold-storage spoils easily. Therefore, highly precise product locations is very important for the product quality In this paper, a new approach is suggested to manage the storage location inaccuracy by adding two readers to existing forklift and attaching RFID tags to the ceiling. One reader recognizes ceiling tags to acquire location data, and the other recognizes product tags to acquire product detail data loaded on the forklift. The product can be seamlessly tracked and traced in realtime by monitoring and analyzing data gathered from these readers. Through the proposed location management metho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management in cold-storage can be improved consequently.

      • KCI등재

        RFID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태그 흐름기반 배치 시뮬레이터

        문미경,Moon, Mi-K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7 No.2

        최근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소형화, 저가화, 고기능화가 점차적으로 실현되면서 그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RFID 애플리케이션은 RFID 태그의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RFID 기반 정보를 이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서를 자동화하고 변형시킬 수 있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RFID 애플리케이션은 단순하게는 하나의 리더기에서 읽혀지는 RFID 태그를 모니터링하는 기능만을 가지기도 하지만, 대부분 RFID 태그의 흐름에 따라 태그가 부착된 사람 또는 사물의 가시성(visibility)과 추적성(traceability)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RFID 리더기를 여러 곳에 분산 배치시킨 후,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태그의 흐름을 변경시켜봐야 한다. 그러나 RFID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필요한 관련 RFID 리더기가 모두 준비되지 않았거나, 실제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RFID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개발 환경을 모형화 시키고 RFID 리더기 및 센서를 다양한 곳에 배치시킨 후, 여러 개의 RFID 태그를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이동시켜볼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RFID 미들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구현물의 정확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인다. 또한 데이터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RFID 하드웨어와 미들웨어 중 어떤 부분에서 발생한 문제인지 가리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More recently,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have begun to find greater us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e use of RFID system in these application domains has been promoted by efforts to develop the RFID tags which are low in cost, small in size, and high in performance. The RFID applications enable the real-time capture and update of RFID tag information, while simultaneously allowing business process change through real-time alerting and alarms. These be developed to monitor person or objects with RFID tags in a place and to provide visibility and traceability of the seamless flows of RFID tags. In this time, the RFID readers should be placed in diverse locations, the RFID flows between these readers can be tested based on various scenarios. However, due to the high cost of RFID readers, it may be difficult to prepare the similar environment equipped with RFID read/write de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ulator to allow RFID application testing without installing physical devices. It can model the RFID deployment environment, place various RFID readers and sensors on this model, and move the RFID tags through the business processes. This simulator can improve the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by accurately testing RFID middleware and applications. In addition, when data security cannot be ensured by any fault, it can decide where the problem is occurred between RFID hardware and middleware.

      •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의성과와 발전방안

        문미경(Mee-kyung Moon),윤지소(Jiso Yoon),진종순(Jong-sun Jin),김지수(Ji-su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력의 효율적 활용이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으로 부각됨에 따라 정부는 공직부문의 여성참여 확대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 정부 역시 국정과제와 여성공무원 인사관리지침 등을 통해 인사정책에 있어 양성평등을 구현하고 여성대표성을 확대하며, 가정친화적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2002년부터 관리자급의 여성 인력을 양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일·가정이 양립하는 공직문화와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성평등한 인사정책을 구현하기 위해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 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4급 이상으로 직급을 상향조정하여 여성관리자 임용확대 계획을 시행한 제1차(2007년~2011년)부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제2차(2012년~2017년)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 에 대한 성과를 살펴보고 이 제도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개입-Arima 모형을 사용하여 관리직에서의 여성공무원이 얼마나 증가했는지에 대한 양적성과를 평가했다. 또한, 조직 내 여성대표성 확대가 주는 질적 성과를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질적 성과는 크게 여성참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여성이 갖고 있는 특성으로부터의 효과(조직경쟁력 강화, 경쟁적 조직분위기 완화 등), 조직역학에 주는 영향으로부터의 효과(공직윤리 제고, 평등의식 강화 등), 여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으로부터의 효과(여성대표성 제고 및 권위주의적 성격 완화 등)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 분석을 진행했다. 추가적으로 정책대상자의 정책이해와 수용성, 관심도 및 필요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향후 발전방안과 현행 임용목표제의 성과 및 한계 등을 탐색하고자 했다. 2. 기존연구 검토 선행연구는 크게 조직 구성에 있어 성별 대표성의 불균형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제도개선방안으로써의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를 제시한 연구(김판석·김영미·배득종, 2000; 박혜영·정재명, 2009)와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구체적 시행에 있어 여성관리직 임용목표제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논의하는 연구(명재진·이한태, 2007; 문미경·류도암, 2013 등) 그리고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를 대상으로 하여 정책적 성과나 행태 등을 탐색한 연구(이명화, 2005; 문미경·김혜영·최무현, 2006 등)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3. 연구 분석틀과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 성과를 여성참여의 확대라는 양적성과와 적극적 대표성 확립이라는 관점에서의 질적 성과로 구분하고 이를 측정하고자 한다. 소극적 대표성인 양적 성과에 따른 목표달성도를 분석하기 위해 ARIMA-Intervention Analysis 모형을 이용하여 공직 내 여성관리자 증가가 임용목표제도의 집행효과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현재 시행 중인 임용목표제가 양성평등인사관리지침에서 제시한 공직 내 양성평등구현과 조직역학에서의 효과 등 기존 문헌에 제시되고 있는 실제적인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추가적으로 5급, 4급 그리고 3급을 대상으로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의 성과와 문제점, 향후 목표치 등 발전방안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보강하고, 연구방향과 내용, 분석틀과 설문조사지 구성 등을 위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명확한 측정이 가능토록 했다. This paper aims to measure and assess the achievements of Korea’s female manager employment quota system whose second term is about to end and to present its future development plan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female manager employment quota system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number of Grade 4 and Grade 5 female government employees to a certain degree. Based on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for the past five years,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for the period leading up to 2022 was also estim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hares of women in management roles (Grade 4 and above) and female members in the Senior Civil Service will jump to 23.5% and 8.2%, respectively. Second, our survey of public officials reveals that female and male public servants in general view the quota system favorably and form a high opinion of improvements in flexible working systems and child care and childbirth-related welfare programs. Third, in-depth interviews indicate that many respondents positively evaluate the achievements and purpose of and needs for the quota system. However, they had differing views on some items such as the quota system leading to ‘higher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efforts of ‘each Ministry to raise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and so for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five-year target employment rates and policy alternatives have been presented: First, the female manager employment targets for the five-year period from 2018 to 2022 are as follows: Raise the shares of female managers (Grade 4 and above) and female members in the Senior Civil Service to 26.7% and 8.8%, respectively, by 2022, taking into account the CAGR for the past five years and the government’s policy goal of 1.2-fold increase. Second,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o expand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1) allocate 30% of Senior Civil Service jobs and open positions by Ministry to women; 2) establish a new regulation that women should account for 40% of Central Recruitment Process Committee members; and 3) set up a placement system reflecting female government employees’ life cycle. Third, the following three policy needs were also presented to improve the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 and thereby increase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1) set up a new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child care and childbirth; 2) expand flexible working systems; and 3) promote a wider use of the quota system in the private sector.

      • KCI등재

        RFID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의 품질향상을 위한 슈퍼바이저 시스템 개발

        문미경(Mi-Kyeong M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6

        냉동창고는 일반 창고와 달리 냉각설비를 갖춘 단열된 건물의 창고로서, 0?C이하의 다양한 유형의 냉장/냉동고에 물품들을 입고, 적재, 출고하는 일련의 업무가 운영된다. 최근 냉동창고에 RFID 기술이 도입됨으로써 창고 내 물품관리를 네트워크화, 지능화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RFID 시스템으로 인한 물리적 인식 실패뿐만 아니라 논리적 인식 실패로 인한 물류정보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면 RFID 냉동창고 관리시스템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업무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RFID 냉동창고 관리 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오류들을 즉각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슈퍼바이저 시스템의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이는 RFID 냉동창고 관리업무상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의 제약조건들을 미리 설정하고 오류의 알림을 받을 수 있는 마스터 슈퍼바이저와 냉동창고 내 업무를 처리하는 작업자가 오류에 대한 알림을 받고 그 자리에서 오류를 직접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슈퍼바이저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슈퍼바이저 시스템이 RFID 냉동창고 관리시스템 상의 오류들을 탐지/분석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평균복구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A cold storage is a warehouse of a insulated building with cooling installations. It has many different types of cold rooms with temperatures below 0 degrees Celsius, and the sequential workflow such as receiving, picking and packing runs in that rooms. Recently, the cold storages have adopted RFID technology, and consequently, warehouse product management in them are becoming intelligent and network. However, information inconsistency in warehouses caused by physical and logical errors reduces reliability in the RFID cold storage management system and worsens their work effici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arly detection system to identify errors. In this paper, we suggest a supervisory system detecting logical errors on business processes of the RFID cold storage. It is composed of a master supervisor and mobile supervisor. In the master supervisor, the manager can set the constraints conditions and get alerts, and in the mobile supervisor, the workers confirm and deal with these faults directly. The supervisory system improve reliability of the RFID cold storage management system by recognizing a failure to identify physically and logically using these constraint conditions. This paper shows that the supervisory system can reduce the average recovery time to improve reliability by decreasing the time for detecting and analyzing errors in the RFID cold storage management system.

      • 신정부 여성대표성 목표율 설정 및 추진전략

        문미경(Mee Kyung Moon),김난주(Nan Jue Kim),김혜영(Hae Young Kim),심준섭(Jun Seop Sh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여성인재의 높은 교육수준 등에도 불구하고 공공분야를 포함한 각 분야의 여성대표성이 현저하게 낮은 상황임. 특히, 여성고용률에 비해 여성대표성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Affirmative Action)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는 과거 차별에 대한 불이익을 보상하고 사회적 다양성을 증진한다는 점에서 과거지향적이면서 미래지향적인 성격을 동시에 갖는 매우 의미 있는 정책임. 이에 본 연구는 관리직 공무원과 국공립대 교수, 공공기관, 군 간부 및 경찰 그리고 민간분야의 여성대표성 현황을 양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최근 5년간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가 관리자 증가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 또한, 공공 분야에 대한 시계열자료에 기반을 둔 추세분석(Trend analysis)를 통해서 향후 5년(2018∼2022년)의 목표치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음. 2. 연구방법 및 연구수행절차 연구는 크게 기존문헌 검토와 전문가 자문회의?세미나 개최를 통한 전문가 의견수렴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음. 우선, 관련 법령과 백서, 통계연보 등을 근거로 공직과 공공기관, 국공립대 여교수, 민간기업 등 6개 분야의 여성대표성 현황을 파악하였음. 이를 바탕으로 향후 5년간 민간분야를 제외한 각 분야별 여성인력과 관리자 증가 수준을 예측했고, 전문가 자문회의와 학회 세미나를 개최하여 분야별 적정 목표율과 여성대표성 제고방안을 도출했음. 3. 선행연구 분석 여성관리자 확대를 목적으로 한 공공분야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분석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함. 선행연구는 크게 현재의 성별대표성이 가지는 부적절성을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제시한 연구와 현재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제시한 연구로 나눠 살펴볼 수 있었음.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가 정책대안 제시를 위한 미시적 언급과 효과성 평가를 위한 분석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함. 본 연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구체적인 목표율 산출을 통해 향후 5년간의 임용목표(안)을 제안하고, 여성인력 증가 중 자연증가분을 추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확인하였음. 4. 여성관리자와 여성대표성 여성관리자는 조직 내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의 경력 및 능력신장에 롤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여성대표성 제고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 따라서 각 분야의 여성대표성 확보에 있어 여성관리직을 증가시키는 문제는 매우 핵심적인 사안이라고 할 수 있음. 다만, 관리자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역할범위가 달라짐. 따라서 연구에 앞서 관리자의 정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본래 관리자는 업무내용(업무가 요구하는 복잡성, 책임성 등)을 기반으로 정의되어야 함. 이에 따라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KSCO)는 관리자를 “직무시간의 80% 이상을 다른 사람의 직무를 분석, 평가, 결정하거나 지시하고 조정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혹은 “정부의 의사를 대리하거나 공공 및 이익단체의 정책을 결정하고 지휘, 조정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로 정의함. 다만, 이렇게 관리자를 정의하려면 개별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평가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직무수행능력이나 권한과 역할을 어느 정도 반영한 직급을 기준으로 관리자를 정의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이 된 6개 분야의 여성관리자를 파악함에 있어서도 직급을 기준으로 분류와 시뮬레이션을 진행했음. 다만, 통계자료 미흡 등으로 실제 목표율 산출은 제한적으로 이뤄짐. 이렇게 구성된 각 분야별 여성관리자의 정의는 아래 표 1와 같음. Despite the high educational attainment and strong demand for social participation among women, female representation is significantly low across all areas of society in South Korea. With an increasing civic call for a fair society and heightene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e issue of promoting female representation is receiving greater atten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status of female representati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present targets for the next five years to improve female representation,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meet those targets. This study is largely structured as the following. Chapter Ⅱ discusses the status of female workforce and female administrators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public sector is focused on the five professional categories that are subject to the government’s Plan to Promote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ector ? that is, public servants, employees at public organizations, public university faculties, military officers, and law enforcement officers. Chapter Ⅲ summarizes how the political efforts to improve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areas discussed in Chapter II have progressed. The content includes quotas for female administrators, affirmative action measures, and quotas for female professors in public universities. In Chapter Ⅳ, we attempt to predict the future progress in female representation in order to suggest goals for the next 5-year period. For this, we estimate the level of improvement in female representation from 2017 to 2022 based on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s (CAGR) of the numbers of female workers and female administrators in each of the five areas in the recent five years. Then, the data are used to propose three goals. Chapter Ⅴ, which is the last chapter, proposes goals for promoting female representation for each area and related strategies to meet the goals. The goals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by considering a comprehensive range of factors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existing policies, composition of female human resources, and social expectations for each area. Furthermore, we suggest specific strategies to achieve the goals in each area and measures to promote work-life balance and create more supportiv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생물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 호흡 단원을 중심으로

        문미경 ( Mi Kyeong Moon ),김대재 ( Dae Jae Kim )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과학교육연구논총 Vol.29 No.2

        When we teach biology subject section for human respiratory system using explanatory meaningful learning approach, we need to prepare an advanced organizer in the class. Such an introductory advanced organizer is a necessary teaching accessory in current science subject to replace from preconception or misconception to the scientific concept to the student. Human respiratory system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art to 2n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iology part. Therefore, we used a prepared advanced organizer as an introduction part in the classes to measure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attended pupils to find out whether the advanced organizer affected any positive impact. The four of 2nd grade class students in ``W`` middle school located in CheongJu was confirmed to be a homogeneous group in a pretest then, which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68 students) and an experimental group(65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with advanced organizer by using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method but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he traditional explanatory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ithout any advanced organizer for over four hours each. Preand postprocessing ttest were conducted to get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the result showed some significant outcom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Based on this study, application of advanced organizer in current biology education especially in the section of human respiratory system proved to be effective in scientific concept catching and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