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검은별고사리(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관중과)

        문명옥,김찬수,강영제,김철환,선병윤,Moon, Myung Ok,Kim, Chan Soo,Kang, Young Je,Kim, Chul Hwan,Sun, Byung-Yun 한국식물분류학회 2002 식물 분류학회지 Vol.32 No.4

        제주도의 수악계곡과 김녕리에 생육하는 검은별고사리[Thelypteris interrupta (Willd.) K. Iwats.] [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Dryopteris subexaltata (H. Christ) C. Chr.] [관중과]를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검은별고사리는 별고사리[T. acuminata (Houtt.) C. V. Morton]와 유사하지만 지하 줄기와 엽병 기부 및 포자의 색깔, 잎 이면의 선모의 유무, 포자낭군의 배열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계곡고사리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D. sparsa (D. Don) Kuntze, D. sabaei (Franch. & Sav.) C. Chr., D. yakusilvicola Sa. Kurata와 유사하지만 엽병 기부의 무성아의 유무, 우편의 선단부 모양, 포자낭군의 분포, 포막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Unrecorded fern species of Korean flora, Thelypteris interrupta (Willd.) K. Iwats. (Thelypteridaceae) and Dryopteris subexaltata (H. Christ) C. Chr. (Dryopteridaceae), were collected from Jeju island off the south coast of Korean peninsula and reported here. T. interrupta is most similar to T. acuminata (Houtt.) C. V. Morton in morphology, however, the two species are readily distinguishable by the plant color including rhizome, stipe base and spore, and the presence of glandular hair as well a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orus on lower leaf surface. D. subexaltata is also well distinguishable from its relatives, D. sparsa (D. Don) Kuntze, D. sabaei (Franch. & Sav.) C. Chr., and D. yakusilvicola Sa. Kurata by the presence of proliferation, shape of pinnae, distribution pattern of sori on lower leaf surface, and shape of indusium.

      • SCOPUSKCI등재

        Evaluation of leaf morphology for distinguishing Prunus (Rosaceae) from Jeju, Korea

        김찬수,문명옥,정은주,변광,Kim, Chan-Soo,Moon, Myung-Ok,Cheong, Eun Ju,Byun, Gwang Ok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5 식물 분류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제주도산 벚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잎 형질의 분류학적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양적 형질은 엽신의 길이, 엽병의 길이, 엽폭, 엽맥 수, 분지각과 엽저각 등을 조사하였다. 질적 형질은 모용분포와 밀선의 위치 잎의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총 25개의 OTU에 대해 UPGMA에 의한 표현형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ubgenus Prununophora에 속하는 매실나무가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와 같은 유집군을 형성한 점과 subgenus Cerasus에 속하는 벚나무, P. speciosa, 산벚나무, 사옥와 올벚나무, 왕벚나무가 별개의 유집군을 형성한 점 등 일부 분류체계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 subgenus Microcerasus에 속하는 이스라지, subgenus Amygdalus에 속하는 복사나무가 각각의 유집군을 형성하는 등 분류체계와 유사한 양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잎 형질, 그 중에서도 엽신의 길이와 폭의 비, 엽신의 길이와 엽병 길이의 비, 엽맥 수, 잎 기부에서 밀선과의 거리, 주맥과 잎 기부의 좌 우각 등과 모용의 분포 등이 제주도산 벚나무속의 식별형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Leaf morphology was examined for Prunus species from Jeju Island. Analyzed were the leaf blade length, petiole length, width of blade, number of veins and angle of the base to the mid-vein as quantitative characters and the distribution of trichome, position of glandsand leaf features qualitative characters. A total of 25 OTU were phenetically analyzed by UPGMA. The resuling phenograms slightly differ from the currently recognized taxonomic system in two points. Prunus mume was clustered with P. padus and P. buergeriana. Prunu spendula and P. yedoensis were separated from the cluster of P. jaamasakura, P. speciosa, P. sargentii and P. jamasakura var. quelpaertensis. Except for the members of subgenus Cerasus, subgenera Padus (P. buergeriana and P. padus), Microcerasus (P. japonica) and Amygdalus were well define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ves such as the ratio of blade length to width, the length of blade to petiole, number of veins, the distance between the gland and base, the angle of base to mid-vein, and the distribution of trichome were useful as diagnostic features for Prunus from Jeju Island.

      • 한라산의 백록담 및 동수악 분화구내의 식물상

        고정군 ( Jung Goon Koh ),문명옥 ( Myung Ok Moon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8 녹지환경학회지 Vol.4 No.1

        We investigated the flora to study pla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craters of Baengnokdam and Dongsuak. The 170 taxa investigated in Baengnokdam crater were composed of 49 families, 124 genera, 169 species and 1 forma, the 180 taxa investigated in Dongsuak crater were composed of 63 families, 135 genera, 179 species, 1 formae. Endemic to Korea or Jeju islands could be seen that there were 28 taxa including Abies koreana in Baengnokdam crater, and 2 taxa including Asarum maculatum in Dongsuak crater. Rare plants could be seen that these were 37 taxa in Baengnokdam crater, 13 taxa in Dongsuak crater. Life form of plants could be seen that phanerophyte took the highest rate which there were 43.6%, 30.1% in Baengnokdam crater and Dongsuak crater respectively, but hydrophyts among the investigated for two wetlands was 2.4%, 9.4% respectively.

      • KCI등재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고정군(Jung-Goon Koh),문명옥(Myung-Ok Moon)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부종휴에 의해 1964년에 제주도 자생식물로 발표된 333종의 학명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102과 220속 322종 2변종 6품종으로 총 33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발표당시의 학명과 현재에 정명으로 정립된 학명과 일치되는 경우는 169분류군으로 51.2%에 불과하였고, 외래식물이 29분류군이 포함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식물 목록 중에는 2000년대 이후 한국 미기록으로 발표된 밤일엽아재비, 털낚시제비꽃, 그늘별꽃, 섬쇠무릎 등의 자생식물뿐만 아니라 외래식물로 1992년에 발표된 주걱개망초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직까지 제주도에서 확인되지 않는 종은 부싯깃고사리등 9분류군이었다. 한국 미기록 종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며 제주도에 분포할 가능성이 있거나 동정에 오류로 보이는 종은 털고사리[Deparia pycnosora (H. Christ) M. Kato]로 추정되는 Deparia acrostichoides (Sw.) M. Kato 등 28분류군으로 판단되 었다. 부종휴에 의해 발표된 제주도 자생식물 목록을 현재의 식물분류체계를 통해 재정립한 결과는 제주도 내 분포하는 종의 실체와 함께 종 분포의 정보를 알리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view focuses on 333 scientific names published in 1964 by Jong-Hyu Bu. As a result, a total of 330 taxa including 102 families, 220 genera, 322 species, 2 variants, and 6 varieti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the scientific names at the time of publication corresponding with the accepted names at present accounts for mere 51.2%, 169 taxa including 29 taxa of the alien species. The recently published as unrecorded in Korea, includes native species such as Microsorum buergerianum (Miq.) Ching, Viola grypoceras A. Gray var. pubescens Nakai, Stellaria sessiliflora Y. Yabe, Achyranthes longifolia (Makino) Makino as well as alien species such as Erigeron strigosus Muhl. In addition, the specie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on Jeju Island were 9 taxa including Cheilanthes argenta Kunze. The number of unrecorded species in Korea but distributed in Japan, Chine, etc. amounts to 28 taxa including Deparia acrostichoides (Sw.) M. Kata, which are assumed to inhabit Jeju Island or appear to be in error in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re-establishing the list of native plants on Jeju Island announced by Jong-Hyu Bu through the current plant taxonomy are considered to be of high value in forming the knowledge of the species distributed on Jeju Island.

      • KCI등재

        제주도 천지연계곡의 수목분포와 관속식물상

        김찬수(Chan-Soo Kim),정은주(Eunju Cheong),송관필(Kwan-Pil Song),김지은(Ji-Eun Kim),문명옥(Myung-Ok Moon),강영제(Young-Jae Kang),김문홍(Moon-Hong Kim)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5 No.2

        우리나라 최남단 난대림지역인 천지연계곡에 분포하고 있는 목본식물의 종조성, 분포현황 및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천지연계곡의 교목성 수종은 29종이었으며 , 그 중 침엽수인 해송을 제외한 활엽수종 중 낙엽활엽수가 13종이었다. 교목성 수종은 2,395본이었으며, 그 중 낙엽활엽수가 1,427본으로 상록활엽수보다 많았다. 교목성 수종의 피도는 상록활엽수와 낙엽활엽수가 각각 42.3%와 48.7%로 낙엽활엽수의 상대피도가 다소 높았다. 관목성 수종은 37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개체수에 있어서는 교목성 수종과 달리 상록활엽수종들의 개체수가 많았다. 관목성 수종의 상대피도는 상록활엽수와 낙엽활엽수가 각각 35.4%와 64.4%로 상록활엽수의 비가 현저히 높았다. 천지연에 분포하고 있는 관속식물은 114과 320속 397종 1아종 39변종 9품종으로 총446 분류군이었으며, 그 중 제주도 특산식물은 가시딸기(Rubus hongnoensis Nakai)와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K. Tae et S. Ko) 2 분류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식물은 괴불이끼(Crepidomanes insigne (v.d. Bosch) Fu) 등 17 분류군, 천연기념물은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Loureiro) Poiret var. ellipticus (Thunb.) Hara) 1 분류군, 법정보호식물은 솔잎란(Psilotum nudum (L.) Griseb.)과 고란초(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and) 2 분류군, 귀화식물은 수영(Rumex acetosa L.) 등 38 분류군, 식재식물은 은행나무(Gingo biloba L.)등 75 분류군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woody plants, and flora of vascular plants of Cheonjiyeon where is located in the most southern region of Korea. Twenty-nine taxa of trees were distributed in the valley, and of thes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were 13. Of the total number of 2,547 trees, 1,429 wer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nd remainder was broad-leaved evergreen. 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vered 48.7% of the tree canopy whil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vered only 42.3%. The total number of shrub taxa was 37 with more evergreen shrub taxa than deciduous. Evergreen shrubs occupied 64.4% of shrub canopy while deciduous shrubs covered only 35.4%.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flora showed that there are 446 taxa of flora including 114 families, 320 genera, 397 species, 1 subspecies, 39 varieties, and 9 forma. Of these, two species, Rubus hongnoensis Nakai and Lycoris chejuensis K. Tae et S. Ko, are endemic plants of Jeju Island. The flora includes 17 taxa of rare plants that are distributed only in Jeju Island in Korea. Also, the flora includes 1 taxon, Elaeocarpus sylvestris (Loureiro) Poiret var. ellipticus (Thunb.) Hara, of Korean natural monument, 2 taxa, Psilotum nudum (L.) Griseb. and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and, of legally protected wildlife and plants, 38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75 taxa of introduced plants.

      • KCI등재

        영산도에 자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혹난초 신 분포지

        윤영준 ( Yoon¸ Young-jun ),안진갑 ( Ahn¸ Jin-kap ),소순구 ( So¸ Soon-ku ),정진우 ( Jung¸ Jin-woo ),장래하 ( Jang¸ Rae-ha ),도재화 ( Tho¸ Jae-hwa ),문명옥 ( Moon¸ Myung-ok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영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신안-다도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에 포함된다. 세계식물구계 구분에서 중일구계, 온대아구계, 한반도구에 속하며,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상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등 상록성 식물의 분포한계인 흑산도, 남해안 등 여러 섬이 포함된 남해안아구에 속한다. 현재까지 문헌조사를 통한 영산도에 자생하고 있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Ⅰ급 풍란과 Ⅱ급 석곡,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를 통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혹난초가 자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섬 중앙부의 문암귀운과 얼굴바위 주변에서 총 4지점, 약 370개체군의 혹난초를 발견하였고, 착생기질과 주요 서식특성 분석을 통해 영산도 혹난초의 서식특성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영산도에 분포하는 멸종위기 야생식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기 알려진 풍란 1집단과 석곡 약 1000개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영산도에 분포하고 있는 멸종위기 야생식물들은 대부분 인간의 접근이 불가능한 절벽사면 등에 분포하고 있어 인위적인 훼손위협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섬의 특성상 좁은 면적에 다수의 멸종위기 야생식물이 함께 분포하고 있어서 일부 식물의 자생지가 노출된다면 다수의 멸종위기 야생식물들이 불법적으로 훼손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목염소에 의한 수목피해, 높아지는 귀화식물 점유율 등 환경훼손에 따른 위협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멸종위기 야생식물의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 섬 전체에 대한 특정도서, 생태경관보호구역 지정 등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관리를 포함한 현지 내· 외를 구분 짓지 않는 적극적인 보전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Yeongsando is an island located in Heuksan-meyon, Sinan-gun, Jeollanam-do, the Republic of Korea, and is part of UNESCO’ s S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It belongs to the Sino-Japanese, Temperate Sub-region, the Korean Peninsula Floral Region, and the South Coast Plant Zone which includes islands on South Korea’ s south coast and Heuksan Island, where the evergreen (Machilus thunbergii, Castanopsis sieboldii, and Quercus acuta) distribution limit is according to the vascular plant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views of literature published to date revealed that Yeongsando’ s naturally growing endangered wild plants lis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long to two taxa: Neofinetia falcata (Class Ⅰ) and Dendrobium moniliforme (Class Ⅱ). During this study, an additional endangered wild plant Bulbophyllum inconspicum Maxim. (Class Ⅱ) was found. Approximately 370 B. inconspicum Maxim. individuals were found in four locations at the island’s center near Moonamgwiwoon and Face Rock. Their epiphytic disposition and major habitat traits were analyzed. Furthermore, through a complete enumeration of the endangered wild plants on Yeongsando, the distribution of approximately 1,000 individuals of N. falcata and D. moniliforme were confirmed. Endangered wild plants in Yeongsando inhabit cliff walls where the threat of artificial damage is low. Nevertheless, the island is occupied by numerous endangered wild plants in a small area, and the probability of loss of endangered wild plant exists once a partial habitat is exposed. Moreover, environmental threats, such as damage to trees caused by grazing goats and increased occupation of naturalized plants, were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Thereby, proactive preservation measures that manage and monitor endangered wild plants and do not differentiate internal/external local regions must be taken while being administered at the government level by designating the entire island as a specific island and an ecological landscape protectio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