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 활동의 우연성과 가치의 선택성: 오우크쇼트 시민교육의 함축적 의미와 목적을 중심으로

        문달 ( Wen Da ),김회용 ( Kim Hoy-y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이 글은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실천 활동의 우연성과 가치 선택성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오우크쇼트가 주장한 시민교육론의 함의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서구 공민 교육 사상의 4개 유파를 탐구하고 정리하여 오우크쇼트의 시민교육관을 분석하였다. 둘째, 오우크쇼트는 본인의 해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정치의 본질적 함의를 밝혔다. 그는 정치는 ``정치 형식``, ``정치형식에 대한 응답`` 그리고 응답 후 ``가치 선택에 대한 반성`` 등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셋째, 오우크쇼트는 본인의 가치선택의 정치철학관에 근거하여 시민교육은 반드시 가치 지향으로서의 자유를 갖는 정치시민을 양성할 것을 강조하였고, 여기서는 이러한 그의 독특한 ``개인적``(個體性人) 자유관을 분석하였다. 넷째, 그가 주장한 시민교육의 목표는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하는 이익 공동체가 아니라 보수적인 도덕성 시민 연합체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안전과 안정적인 정치 생활이 보장될 때 인간이 다양한 가치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도구적 이성주의의 배경에서, 오우크쇼트는 보수적인 자유주의 정치관을 가치 지향으로서 다루고 ``암시``와 ``대화``의 방식을 통해 의식적 교육의 갈등과 충돌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오우크쇼트는 철학적 기초와 실천 활동의 경험 양식에서 출발하여 가치 선택성과 실천 활동의 우연성을 교육의 본질과 의미로 정립하고, 보수적이고 독특한 시민교육관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보수적 시민 교육관은 지금의 교육 혁신과 발전에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chiefly to clarify the theory of Oakeshott`s civi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 philosophical view of politics and to attempt to concentrate his civil education concept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tingency of practical activity and the selectivity of value. First, this paper brings out Oakeshott`s civil education concept by analyzing and combing the core ideas of four representative schools of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 education thought. Secondly, Oakeshott systematically addresses the essential implication of politics based on his philosophical view of hermeneutics. He believes politics is composed by three components: a political situation, a response to a situation and a genuine deliberation on value selection. Thirdly, Oakeshott points out that civil education is designed to train qualified citizens who treat the freedom as the value orientation based on his political-philosophical view of value selection. And here, this chapter emphatically introduces his unique concept of political freedom of the ``individual``. Fourthly, the political objective of civil education is to establish a conservative civil association of morality rather than a community of interests that pursues ``common good``. And it emphasizes that only in a safe and stable political environment can citizens enjoy a more-diversified lifestyle of value selection. Lastly, in the context of modern instrumental-rational education, Oakeshott treats the conservative political view of liberalism as the value orientation and attempt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of ideological education through the way of "intimation and conversation". Beginning from the philosophical basis and empirical mode of practical activities, Oakeshott considers the selectivity of value and the contingency of practical activity as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education and proposes his unique concept of civil education that possesses conservative dispositions. There is no doubt that this conservative concept of civil education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the re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education.

      • KCI등재

        자유학습으로의 초대: 마이클 오우크쇼트의 대학관(大學觀)과 교육적 암시

        문달 ( Da Wen ),김회용 ( Hoy-yo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이 글의 목적은 오우크쇼트의 대학 개념 고찰을 통해 현대 대학교육의 위기와 그 원인이 자유사회에서 대학의 존재 의의와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에서 발생했음을 명료히 하는 데 있다. 오우크쇼트는 대학의 위기를 두 가지, 즉 대학의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고등교육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정립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대학의 독특한 본질을 인간의 생존 상황에 대한 고찰과 성찰을 통해 인간이 되어가는 법을 가르치는 것에서 찾았다. 인간은 ‘의미’의 세계에 살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인간이 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다음으로, 대학은 학생들이 자유와 상상력을 주제로 자아를 성찰하는 대화의 장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대화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목소리를 인식하고, 다양한 형태의 표현을 분별하며, 그리고 이러한 대화의 관계에 적합한 지혜와 도덕적 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대학과 사회 사이의 관계 분석을 통해 우리는 대학이 경제의 세계와 자유 학습의 세계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하게 됨을 지적할 수 있게 된다. 대학은 어느 한쪽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도, 한쪽을 완전히 도외시해서도 안된다. 대학은 궁극적으로 생존의 기술이 아닌 도덕과 정서에 관한 개념적 지식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지식은 세계와 우리 자신을 보다 더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현대교육의 자유 학습 과정에서 오우크쇼트의 대학 아이디어는 교육과 관련된 조직과 기관, 특히 학부모와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자기 성찰, 자기 관리, 자기반성에 관한 미덕들을 양성시키는데 있어 대학은 그 어떤 것도 대체할 수 없는 지도와 감독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crises and their formative reasons of modern university education that stem from mankind’s failure to prope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istance of a university and its functions in a free society by reviewing Oakeshott’s concept of a university. An Oakeshottian solution to these crises consists of two aspects: one is to reexamine the nature of a university, and the other is to redefine its function and role in higher education. Firstly, the unique nature of a university is that it teaches students how to be a human being by examining and reflecting on their living circumstances. Human beings live in a world of meaning, and learning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se meaning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being a man. Secondly, the university can be recognized as a place of conversation where freedom and imagination become the subject of students’ self-examination. Students in a conversation of this kind learn to recognize various voices, to identify their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and to develop the intellectual and moral habits that are suitable for this sort of conversational relationship. Thirdly, we points out the different roles that a university plays in the world of business and the world of liberal learning respective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nd society. Universities can neither rely too much on either side nor be completely detached from one side. Finally, we understand that what a university gives us is not a way of survival, but some conceptual knowledge about morality and emotion. The knowledge of this sort helps us more comprehensively to understand the world and ourselves. Oakeshott’s concept of a university in modern education plays an irreplaceable role for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especially for parents and teachers, who guide and supervise students foster their moral characters of autocriticism, self-discipline and self-education in the process of liberal learning.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지식관에 대한 비판적 반성과 전망: 마이클 오우크쇼트 지식론을 중심으로

        문달 ( Wen Da ),권정선 ( Jungson Kwon ),김회용 ( Hoy-yong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이 글은 도덕교육 분야에서 오랜 쟁점이 되어 온 “이론과 실제의 분리 문제”를 마이클 오우크쇼트의 지식론에 비추어 재해석함으로써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새로운 공존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도덕교육에 대한 많은 학술적 연구는 주로 이론적 개념 해석에만 중점을 두고 실제적 문제의 해결책을 가르침과 배움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출발점이자 목표로서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이론적 목표는 통합적이고 균형적인 도덕교육 지식관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도덕교육이 실제적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나아가 보수적 고립주의의 요건으로 인식되어 온 도덕교육에서 이론적 도덕과 실제적 삶 사이의 장벽을 허무는 것은 도덕의 논리적 정보 전달 교육과 실제 삶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자 하는 실제적 목표가 될 수 있다. 오우크쇼트 지식론에 기반한 도덕교육은 현대교육에서 관념적 이론을 실천 가능한 계획으로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암시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인식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지식과 그 구성요소의 특성에 따라 일종의 통일된 지식체계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cloaked in this article was mainly to emphasize the coexistence of technical and practical knowledge so as to solve the long-standing dilemma of “two separated pieces of ski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by assimilating and drawing on Michael Oakeshott`s theory of knowledge. Many academic studies on moral education mainly concentrat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and do not treat the solution of practical problems as both the starting point and ultimate goal to run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us, the theoretical aim of moral education is to construct an integrated and balanced knowledge view of moral education, which is a guarantee to restore the due position of “practice”. Furthermore, the practical goal of moral education, long recognized as a requirement of conservative isolationism, is to 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moral-theoretical propaganda education and realistic life. This kind of Oakeshottian view of knowledge in modern education will play a suggestive role in crystallizing one`s ideas into a feasible plan or programme. Therefore, we must star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itself and its components to establish a unified framework of knowledge.

      • KCI등재

        왜 보수성이 교육에 그렇게 중요한가? 마이클 오우크쇼트의 자기반성적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문달 ( Da Wen ),김회용 ( Hoy-you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논문에서는 오우크쇼트의 정치론에 담긴 보수성과 교육 사이의 연관관계를 드러냄으로써 다음의 두 가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정치행위에 내포된 보수성과 그 교육적 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 자기반성적 방어기제를 담은 보수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글로벌 사회의 다양한 이해집단이 교차하는 오늘날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혁신과 경쟁’이라는 주제는 문화를 이해하는 동시에 잠재적 체제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핵심 사안이다. 이는 곧 정권에 봉사하는 교육 역시 실제적인 사회이슈로 부상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그것은 정권에 봉사하는 어떤 교육 형태도 실질적임을 나타낸다. 이런 이유에서 시민들은 완벽하게 프로그램화 된 생활양식을 만들어 가도록 장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 패러다임은 교육에 대한 근본적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합리주의 사회에서 지금까지 교육의 흐름을 주도해 온 이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에서 보수성의 중요성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보수성의 비판적 목표가 가능한 한 신중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우리가 교육 비전에 대해 보다 철저하고 심사숙고를 통한 진단을 내려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보수적 교육관(敎育觀)은 사제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교육개혁의 진행을 감독하며, 교수와 학습을 반성하는 것에 대해 일정한 지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에게 교육의 목적이 실질적인 성과를 추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세상 사이의 변증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Facing the fast-changing times, “innovation and competition” turns to be a central theme widely used in the understanding and potentially treatment of democratic issues. It suggests that education in the service of politics can be substantive, that is, impart skills to the students for adaptation to the demands of a constantly changing society without enhancing their nature. Or procedural, that is, technologically and purposely reshaping politics into a pattern dominated by technical rationality. Citizens, in this sort of political pattern, are encouraged to adopt programmable lifestyles. This may be a complete misunderstanding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conservatives are acutely aware that conservatism can provide education with another stable and sustainable perspective. The inherent link between conservatism and education is not surprising if it is not supported by citizens. Michael Oakeshott, who had deep insights into both political theory and liberal education, may have provided another way to assess the link between conservatism and education. This article has two goals. The first is exegetical: is to illuminate the conservative disposition in politics and its approach to education. The second goal is to propose a conservative disposition of freedom that involves an introspective defense mechanism. I argue that the goal of conservative criticism is to reach as deliberative a point as possible. In this case, it tends to dwell on the educational visions as they are defined outside of their different appearances, rather than in the ever changing educational circumstances.

      • KCI등재

        The Criticism on The Knowledge View of Technical Rationality: Oakeshott’s Educational Philosophy and Its Implications

        문달(Da Wen),김회용(Hoy Yong Kim)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1

        본 논문은 기술적 이성(technical rationality)으로서의 지식을 오우크쇼트의 교육철학을 통해비판함으로써 그의 교육철학이 갖는 가치와 현대 교육에 주는 함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성주의에서 ‘이성’은 도구적 혹은 기술적 이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성을 주장하는 이성주의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교육 활동에서 지식은 한 가지의 정보로서만 존재하게 되며, 이 (기술적ㆍ도구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방법은 오직 문서화된 교과 내용을 암기하거나 (반복된 활동이나 동작을) 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자들은 기술적 지식을 습득하기만하면 교육에 관한 모든 활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게 된다. 이때 교육활동은 일종의 행동 강령을 준수하게 함으로써 (교육이) 특정한 사상 체계, 즉 이데올로기를 띄게 되고, 이는 (점점 교과내용을 절대 진리로서 주입해야 할 대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교육이 교조화되고 경직되도록 하는 폐해를 낳는다. 이런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오우크쇼트는 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시한다. 첫째, 교육의 본질적 목적은 사회인이 아니라 인간을 기르는 것이므로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것을 깨닫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그러므로) 기술적 이성 지식관만으로는 인간을 교육할 수 없으며 기술적 지식(technical knowledge)과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의 공존성을 바탕으로 교육을 설계해야 한다. 셋째, 기술적 지식과실천적 지식의 공존을 전제하면, 지식은 실재적 활동과 함께 학습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 학습을위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장(a place of learning)이 필요하며, 이 학습장을 통해 자아 해방을 위한 인성적 지식을 추구해야 한다. 넷째, 교육 방법의 하나로 ‘대화’(conversation)와 (실제적 활동 안에서의) ‘암시’(intimation)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교육목적, 지식 이론, 학습방법, 교수방법의 네 가지 관점으로부터 형성된 오우크쇼트의 교육철학은, 교육자들이 전통과 배경에근거해 학습장을 세울 것과 (교육적) 대화의 방법으로서 ‘암시’와 ‘상상’(imagination)의 중요성을깨닫고 실제 교육 활동에 적극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Oakeshott’s thought.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Oakeshott’s educational philosophy through his critiques of the knowledge view of technical rationality. To be specific, this paper preliminarily discusses the views of Oakeshott’s educational philosophy from four perspectives (that is, the educational object, theory of knowledge, way of learning and educational method). Firstly, for student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aims at the cultivation of learning to be a human being; secondly, in the theory of knowledge, he makes sharp comments on the knowledge view of technical rationality and advocates the coexistence of techn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thirdly, in the way of learning, he proposes the concept of a “place of learning”, and then, emphasizes the pursuit of human knowledge for self-liberation; fourthly, in educational method, he stresses the “conversation” and “intim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four points, some implications of Oakeshott’s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e reform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educational innovation should be based on the traditions; secondly, educators should establish a “place of learning” where thoughts and ideas can be interacted with each other; most importantly,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s of “imagination ”and “intimation” in a educational conver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