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rris의 집단 사회화 이론(group socialization theory)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 연구에 주는 시사점

        문경숙(Moon Kyoung-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4

          아동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려는 시도는 아동발달 연구에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부모와 자녀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자녀의 성격과 행동형성에 부모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러한 목소리는 오랜 기간 의심의 여지없이 받아들여져 왔다. 최근에 여기에 대항하여, Judith Rich Harris는 아동의 사회화에 부모의 영향보다는 교우 집단의 영향이 지배적이라고 주장하여 아동발달 분야에 새로운 논쟁을 야기 시켰다. Harris는 자신의 이론을 집단 사회화 이론이라고 이름 짓고, 아동의 사회화가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들의 교우 집단에서 자녀들의 교우 집단으로 이루어진다고 제안하였다. 그녀는 또한 자녀들이 이중 구조(dual mechanism)를 가지고 집 안과 밖에서 서로 다르게 행동하게 되는데, 이것은 부모의 영향력이 친구와 있을 때는 그 효력을 상실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이를 부모의 영향이 지속적이지 않다는 근거로 삼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Harris의 견해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이에 반대되는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집단 사회화 이론을 비판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 발달 연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ization has been regarded as having long-term and consistent effect. Recently Judith Rich Harris(1995, 1998) proposed an opposing viewpoint of parenting saying that parental influence is not effective as we think of. She argued that peer group is the true environmental factor that can explain why children turn out the way they do. According to her, peer group socialize the children differently and these different peer group socialization comes from mothers" peer group. That is why she named her theory as Group Socialization Theory. She also mentioned that children adjust themselves using code switching in and out of home because the parenting is not effective outside of the family. On the contrary parenting researchers st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renting in children"s socialization with the findings from temperament, risk and resilience, and ecological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GS theory in the study of child development and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theory for future direc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난 내 나라가 낯설어요!"귀국학생의 국내 학교적응 경험

        문경숙(Kyoung Suk Moon),임재훈(Jae Hoon L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일정기간 외국에서 수학 한 후 한국으로 다시 귀국한 학생이 학교에서 적응하는 양상을 탐구한 것이다. 귀국 초등학생 23명과 귀국 중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귀국학생의 국내 학교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공통주제분석을 통하여 학교 적응과 관련된 주된 요인을 찾아낸 결과, 한국어 구사 능력, 교수-학습 방법의 차이, 교사-학생 관계, 친구관계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언급되었다. 앞에서 언급된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한 요인들이 귀국학생의 성공적인 적응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해외 체류시 한국 문화에 노출된 정도 및 부모의 귀국을 대비한 교육과 귀국 후 자녀에 대한 보호와 감독 기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justment process of Korean returnee students. In-depth interview with 23 elementary and 11 middle school students revealed the major factors to help returnee students adjustment to Korean school environment. Through thematic analysis, acquiring Korean literacy, understanding of Korean instructional methods, and having strong teacher and friend relationship were the key factors of adjustment. Applying grounded theory, parents` guidance and protection and disclosure to Korean culture while staying in foreign countries were involved in the adjustment process.

      • KCI등재

        바이올린 연주자의 역경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생애사 연구

        문경숙 ( Moon Kyoung-suk ),임현화 ( Yim Hyun Hwa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학생들에게 바이올린을 가르치고 있는 보우라는 사람에 대한 것이다. 보우가 바이올린 연주를 인생의 목표로 선택한 후 마주한 여러 가지 역경과 바이올린 레슨 선생으로 살아가고 있는 지금까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역경과 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보우의 이야기는 생애사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기술 및 분석되었다. 두 번의 면대면 만남과 두 번의 비대면 만남을 통해 얻은 자료는 녹취록으로 전사되었다. 바이올린을 매개로 형성된 역경과 바이올린으로 얽힌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보우의 생애사를 조직하였고 시간의 흐름과 함께 나타난 보우의 정체성 고민을 역경과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보우의 어머니, 어머니의 주변 사람, 예고의 음악과 급우, 레슨 학생, 레슨 학생의 학부모는 보우의 역경과 정체성에 대한 생애사 이야기의 조연들이었다. 보우는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역경을 경험하기도 했고 역경을 극복하기도 했다. 레슨과 함께 시작된 정체성 유예기를 지나면서 보우는 더 잘 가르치는 사람이 되기 위한 길을 선택했다. 보우의 이야기는 정체성 찾기에 미치는 부모의 역할이 크다는 것과 목표와 정체성을 구분해서 접근해야 됨을 알려주었다. This study is about Bow, a woman teaching the violin. I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ity and identity through her adversity story started after she has chosen mastering the violin as her life time goal and her life as a private violin teacher. Bow’s story was described and analyzed using life history method.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two times of face-to-face and two-times of internet interview were transcribed. Bow’s life history was organized focusing the adversity mediated by the violin and analyzed in terms of her identity related with adversity as time went by. Bow’s mother, mother’s acquaintances, art school classmates, lesson students, the mothers of lesson students played supporting roles in Bow’s life history. Bow had experienced and overcame adversities inside this relationship net. Bow has decided to be a good teacher as she went through the period of identity moratorium. Bow’s narrative told us that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 in child’s identity formation and life time goal and identity were not the same with each oth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교사의 기대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문정선(Moon, Jung-Sun),문경숙(Moon, Kyou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교사의 기대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조력자로서의 긍정적인 역할을 모색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북 모 중학교 289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11일부터 7월 20일까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습관여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학습관여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사의 기대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넷째 교사의 기대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부모의 학습관여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교사의 기대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whether a parental involvement and teacher expectation being perceived being by a middle school student affects to an academic achievement by means of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to improve it through finding positive role. For this, we carry out the questionnaires to the 289 middle school students in North Jeolla Province on July 11-20, 2016.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through SPSS 18.0 statisti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 parental involvement has a meaningful effect to the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is affirmed that a parental involvement has a meaningful effect to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Third, it is affirmed that a teacher s expectation has a meaningful effect to the academic achievement. Fourth, it is affirmed that a teacher s expectation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academic achievement. Fifth, it is affirmed that when a parental involvement affects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carries out its mediating role. Sixth, it is affirmed that when a teacher s expectation affects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carries out its mediating role.

      • KCI등재

        “이게 다 학교 때문입니다.”: 학교에서 새겨진 폭력

        서근원 ( Seo Ghun-won ),문경숙 ( Moon Kyoung-su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학교폭력을 가해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해서 나는 학교폭력 학생이라고 일컬어지는 어느 중학교 남학생 네모(가명)를 1년가까이 참여관찰하고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그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학교 안에서 학교폭력이 어떻게 대물림되는지, 네모는 학교폭력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지, 그의 관점에서 볼 때 학교폭력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지 등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게 되었다. 네모는 착한 곰과 같았지만,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학교폭력의 일상적인 피해자가 되었고, 그 과정에서 학교폭력 학생들이 공유하는 “싸가지”로 일컬어지는 행동 규범을 내재화했다. 그리고 자신이 고학년이 되자 그 규범에 따라서 다른 아이들을 폭행하기 시작했다. 그런 네모에게 학교폭력은 복수이고, 정의의 실현이고, 적응의 기제였다. 네모가 이처럼 폭력적인 학생이 되어가는 데는 네모가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네모를 감싸주고 의지할 수 있는 인물의 부재 그리고 그런 사태를 방치하고 폭탄 돌리기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학교의 조치 등이 연관되어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을 개인의 문제로만 국한하기보다는 공동의 책임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school bullying in the bully`s perspective. For this study, I collected data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ith a male student, Naemo, who was in 9th grade and was a bully, for about a year.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occurrence and reproduction of school bullying, the meaning of school bullying in Naemo`s perspective, and how we have to understand and prepare meaningful measures regarding school bullying. In terms of personality, Naemo was very docile and kind. After entering junior high school, he has become a daily victim of senior assault and battery and he has learned the rules of "ssagazi." When he became a senior, he paid back by bullying his juniors based on what he learned through "ssagazi." School bullying meant revenge, an act of justice, and adaptation for Naemo. The reasons why Naemo turned into a violent kid were having no close and warm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and school`s irresponsible and neglectful measures to Naemo`s violent behavior. Considering these factors, we need to change our view`s on school bullying from it being a problem to a shared responsi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희원(Han, Hee-Won),문경숙(Moon, Kyou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그들의 학업정서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정서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46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학업정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측정 하고 변인들 간의 특성과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였다.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확인한 결과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정서는 긍정적, 부정적 학업정서 모두 직접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학업정서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랩((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 정서가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로 전공만족도가 학업정서를 예측 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과 이후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정서의 매개역할에 대한 중요성 역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cademic emo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jor satisfaction w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ith the mediator of academic emo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464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five universities.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e model revealed that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emotion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e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directly. And it was proved mediating role of academic emotion in relation to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major was confirmed to be a key factor in academic emo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ademic emotion was an import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role of university educ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