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조대 戊申亂관련 邊山賊의 성격

        문경득(Mun, Gyeong-Deuk)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3

        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일어난 반란이다. 반란의 성격에 대해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정치적 반란으로 보는 시각과 ‘明火賊’을 비롯해 다양한 계층의 민중들이 참여한 반란으로 보는 해석이 있다. 이중 ‘邊山賊’의 성격과 가담여부는 무신란 성격 규명에 있어 주요 쟁점이다. 기존 연구에서 변산적은 일반적으로 ‘도적무리’의 의미로 보고 있는데, ‘역적무리’로 해석할 여지도 존재한다. 게다가 해석에 앞서 사실의 문제가 있다. 변산적에 관한 주요 사료가 피의자의 진술인데 조선시대에는 刑訊이 가능했으므로 고문에 이기지 못하고 허위자백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변산적에 관한 주요 진술을 검토하여 변산 도적무리의 실재 여부와 무신란과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변산적의 성격이 변산의 역적무리라고 한다면, 실제 관련된 사람들은 누구인지 밝혔다. 먼저 변산 도적은 실재여부를 검토하였다. 호남별견어사 이광덕의 보고에 따르면 변산적에 대한 과장된 소문이 있었으나 실은 좀도둑들만 존재한다고 한다. 실제로 체포되어 조사받은 변산 도적 3인의 진술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반란모의와 연관이 없었다. 또한 다른 무신란 관련자들의 진술은 그들은 변산 도적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내용을 진술한 것에 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변산 도적의 지도자로 알려진 鄭八龍에 대한 진술들도 변산 도적과 관련이 없었으며, 정팔룡은 경상도의 정희량이나 경기도의 정세윤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변산의 도적은 실재했으나, 무신란과는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변산적은 역적무리임이 유력해졌다. 이에 먼저 변산도적과 결탁한 지역의 토호로 알려진 金守宗과 金守亨이 반란에 가담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그러나 高應良과 姜渭徵의 진술 등을 검토한 결과, 김수종과 김수형은 변산적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전라감사 이광덕은 평교에 집결했던 반란군과 반란 준비에 관여한 송하 패거리가 변산적이었다고 보고했다. 무신란 이후 조정의 논의를 살펴봐도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이 변산적으로 거론된다. 따라서 무신란과 관련된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무리로,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과 반란 모의에 가담했던 송하 패거리였다. 결론적으로 변산적을 변산의 도적무리라고 보고, 이를 전제로 무신란의 성격을 정의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이었으며 이들은 박필현, 이인좌, 정희량처럼 신분과 당색이 뚜렷하지 않았으므로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전라도지역 무신란의 성격도 재해석할 여지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말 ‘부민(富民)’ 개념 의미장의 변화 양상 : -개항기 신문 매체를 중심으로-

        문경득(Mun Gyeong-deuk)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부민(富民)’이라는 개념은 ‘백성을 부유하게’라는 뜻과 ‘부유한 백성’이라는 두 가지 뜻이 있다. 본 논문은 개념사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부민’ 개념의 의미장을 분석하였다. 먼저 ‘백성을 부유하게’ 하자는 부민 개념은 도덕적 교화라는 이상적 목표와 안민이라는 현실적인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써 유교의 경세 담론 내에 있었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론은 감세와 절용이었다. ‘부유한 백성’에게 자신의 재산을 내어 구휼 등 재정이 필요한 사업에 조력자로 참여하도록 하자는 논의를 정당화하는 논리도 ‘먼저 부유하게 한 뒤에 가르치자’는 부민 담론의 영향 아래 있었다. 그러나 다수의 사례에서 부민은 권력자의 수탈과 도적떼의 약탈에 의한 피해자로 등장하고 있었다. 반면 개항기 부민 개념의 의미장은 탈유교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백성을 부유하게 한 뒤에 가르친다’는 논리는 역전되어 ‘가르쳐야 백성을 부유하게 할 수 있다’로 바뀌었으며, 가르쳐야 하는 내용 또한 산업을 진흥시킬 수 있는 서구의 지식과 학문으로 변화했다. 또한 부민의 지향조차도 정덕, 안민, 인정, 왕도정치와 같은 유교적 목표가 나라의 부강함이라는 현실적 목표로 대체되었다. 유교의 경세론과 도덕윤리에서 끌어온 언표는 이를 정당화하는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을 뿐이었다. 개항기 부민층의 지위나 현실도 전통적 부민층과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서구의 자본가가 부민으로 소개되고 경제주체로서 부민이 주목되었다. 또한 부민층은 개항과 이후의 개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시대변화에 적응하려는 양상도 관찰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백성을 부유하게’ 하자는 논의와 ‘부유한 백성’에 대한 취급 사이에 깊은 간극이 존재하고 있는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미장 안에서 부민의 목적과 수단, 논리구조 등이 근대적으로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교적 언표를 활용해 나라의 부강을 추구하자는 논의를 합리화・정당화하고 있었다. The concept of ‘bumin’ has both meanings, which include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as well as ‘rich and wealth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fields of the concept by applying Rolf Reichardt’s methodology of conceptual history to such concept. First of all, the ‘bumin(富民)’ concept o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belongs to Confucian governance theory as the means to the ideal goal of moral edification and enlightenment as well as the realistic goal of the people’s welfare. The concrete methodology of such concept was tax reduction and frugality. In order to make ‘rich and wealthy people’ contribute their property to participate in financial projects such as relief work, the ‘bumin’ theory o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first and educating them later’ was applied. However, in many cases, ‘bumin’ emerged as victims to powerful mens’ exploitation and thieves’ plunder. In contrast, the semantic fields of ‘bumin’ concept during the open port period seem to be d e-Confuc ianized. The logic o 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first and educating them later’ was reversed into the logic of ‘first educ ating the people to enable them to be rich and wealthy later’. In addition, the contents to be educated were changed into Western knowledge and science to be able to promote industries. Furthermore, the goals of ‘bumin’ were replaced from Confucian goals, including righteous virtue, t he people’s welfare, sympathy, and royal politics, to the realistic goals of national wealth and power. The statements derived from Confucianism’s governance theory and moral ethic s were p resented only as t he g rounds f or justifying these goals. Although the position and realty of ‘bumin’ class during the open port period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bumin’ class, Western capitalists were introduced as ‘bumin’ class and ‘bumin class’ was considered as economic actors. Additionally, ‘bumin’ class tried to actively respond to reforms and adapt to the changing times.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deep real gaps between the logic of ‘making the people rich and wealthy’ and the treatment of ‘rich and wealthy people’. Also, even though there were modern changes in ‘bumin’ class’s purposes, means, and logical structures within the semantic fields, the logic of pursuing rich and powerful nations was still rationalized and justified by utilizing Confucian statements.

      • KCI등재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DB 구축 및 창작소재 콘텐츠 개발 방안

        문경득(Mun, Gyung-De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5

        『추안급국안』은 조선시대에 반역범죄를 수사하는 특별관청인 추국청(推鞫廳)의 수사기록을 모은 일종의 등록이다. 죄인과 증인의 진술이 그대로 실려 있어, 조선후기 역사상을 담고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따라서 전문연구자는 물론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창작자들에게도 가치 있는 자료이다. 그러나 자료의 특성상 일반인이 이용하기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추안급국안』이라는 자료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추안급국안』 DB 구축 방안과 이를 활용한 창작소재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추안급국안』은 추국청의 조사 과정에 따라 생산된 문서가 시간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진술을 그대로 기록하여 고유명사 표기가 일관적이지 못하며, 거짓 진술과 무고(誣告)도 그대로 실려 있다. 또한 분량도 방대하여 사건의 전말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일반인이 그대로 이용하기 어렵다. DB 구축을 위해 고려할 사안은 메타데이터(Metadata)와 시소러스(Thesaurus), 마크업(Mark-up)과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멀티미디어(Multimedia)와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인터페이스(Interface), 유지관리 및 업그레이드이다. 이상의 사안들은 모두 『추안급국안』의 특성을 감안하여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추안급국안』을 활용한 창작소재 콘텐츠는 사실정보와 복원정보 중심으로 제공 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건의 개요, 범죄계획과 실제 전개과정, 인물사전과 등장인물 관계도, 사건 속의 사건을 창작소재 콘텐츠로 개발해야 한다. 이렇게 『추안급국안』 DB가 구축되고 창작소재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전문연구자와 학생, 일반인, 창작자 모두가 쉽게 『추안급국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술연구는 물론 문화산업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u`an and Guk`an (『推案及鞫案』) is the collection of the investigation record from Chugukchung(推鞫廳), the special department which investigated treaso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contains the statements of offenders and witnesses as they were. So it is very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encompassing the phase of history of that time. Therefore it is very valuable to the creators in the cultural industry as well as researchers. But it is not easy for the public to us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u"an and Guk"an, and based on thi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Chu"an and Guk"an database construction and creativity material contents development. The documents writte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processes of Chugukchung are included in Chu"an Guk"an. And as the statements were recorded as they were, the spellings of proper nouns were inconsistent, and false statements and false accusations were included. Also its large amount often made it difficult to reveal the whole story. So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to use it as it is. For Database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tadata, thesaurus, mark-up, hypertext, multimedia, hypermedia, interface, maintenance and upgrade. Thes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Chu"an Guk"an. Creativity material contents utilizing Chu"an Guk"an should be provided around factual information and reconstructed information. Specifically, outline of event, plan of crime and its actual development process, biographic dictionary, character relation diagram, an event inside an event and so on should be produced as creativity material contents. If Chu"an Guk"an database is constructed and creativity material contents are produced, researchers, students, public, and creators can utilize Chu"an Guk"an with ease.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cultural industry as well as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개항기 신문매체를 통해 본 19세기 말의 ‘의리(義理)’ 개념

        문경득(Mun Gyeong-De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의리 개념은 조선시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의 핵심 개념이었지만,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부정적이거나 희화화되어 통용된다. 이러한 의미 사이의 간극은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의리 개념 또한 변화를 겪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개념사 방법론을 적용해 개항기 신문 매체에 나오는 의리 개념의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이를 통해 먼저 19세기 말에 유교적 의리 개념이 확장되고 변용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조선후기의 정치적 사건으로 충역시비가 일어나자 이를 봉합하고 왕위계승의 정통성을 세우기 위해 ‘정치의리’가 세워지면서 일종의 ‘정치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조선의 유일한 가치체계를 대표하는 의리 개념이 서구의 ‘신학문’과 비교되는 ‘상대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군주에 대한 충성을 확장시켜 국가에 대한 충성을 지향하거나, 춘추대의에 입각하여 의리 개념을 근대국제관계에 적용시키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의리 개념의 의미장 내에서 유교적 지향이 사라진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개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도리나 정의처럼 보편적인 가치를 끌어오고 있었다. 기독교와 관련된 기사에서는 유교적 의리 개념과 다른 맥락으로 재구성된 의리 개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리 개념 분석을 통해 19세기 말 의리 개념의 의미장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의리라는 언표는 성리학을 대표하는 핵심 가치였지만, 개항기에는 더 이상 유교적이지만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oncept of “Uiri (義理)” was a key concept in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ruling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but it is used in modern Korean society negatively or as comedy. The gap between these meanings shows that the concept of Uiri has also changed in the process of modern transition. This paper applied conceptual history methodology to analyze the concept of Uiri in the newspaper media during the open port period.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Confucian concept of Uiri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other words, a kind of “politicalization” occurred when a political dispute arose over the political inciden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political doctrine” was established to seal it and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addition, the concept of Uiri representing the only value system of Joseon was compared to the “new studies” of the West, and the “relative” tendency was also confirmed. Furthermore, the concept of Uiri expanded to include loyalty to the monarch and even to the nation, and extended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春秋大義)” to apply it to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Second, we were able to identify cases in which Confucian values disappeared within the semantic field of the concept of Uiri. It was bringing about universal values, such as rights and justice, to justify enlightenment. In articles related to Christianity, the concept of Uiri, which was reconstructed in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concept of Confucian Uiri, could be identified.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emantic field of the concept of Uiri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as changing in its forms. In particular, the declaration of Uiri was a key value representing Neo-Confucianism,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 longer Confucian during the Open Port Period.

      • KCI등재

        18세기 전라도 지역 무신란(戊申亂)의 준비과정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중심으로-

        변주승 ( Ju Seung Byun ),문경득 ( Mun Gyeong Deu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6 No.4

        무신란(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이다. 본 논문은 무신란에 대한 조사와 처결이 기록된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주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논문은 『추안급국안』 「무신역옥추안」에 실린 진술을 분석하여 이러한 사건의 실상과 관련자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주·남원 괘서 사건은 영조가 경종을 독살했다는 내용의 괘서가 영조 3년 12월 12일 전주에, 12월 14일 남원에 걸린 사건이다. 박필현이 심유현과 이유익으로부터 경종 독살설을 나만치에게 전달했고, 나만치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괘서 사건에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전주에 괘서한 사람은 정탁이나 송하, 남원에 괘서한 사람은 정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괘서의 목적은 영조가 경종을 독살했다는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려 반란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한 것이었다. 담양 화약고 방화 사건은 담양부사 심유현과 박미귀가 담양의 화약고에서 화약을 훔친 뒤, 흔적을 은폐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다. 이들은 화약을 훔쳐 이유익과 남태징의 집으로 운반하였는데, 이 화약의 용도는 반란군이 서울을 공격할 때, 홍화문과 돈화문을 부수기 위한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담양의 화약고 방화 사건은 무신란을 위해 주요 전략물자인 ``화약``을 확보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었다. In 1728, there was the national-wide The Musin Revolt against King Yeongjo(英祖) in Gyeonggi(京畿), Chungcheong(忠淸) and Jeolla(全羅) province.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 that includes investigation and judgment about this revolt.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in term of analyz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in the Chu`an and Guk`an and grasping the cases and the people involved. Anonymous posters that King Gyeongjong(景宗) was poisoned to death by King Yeongjo(英祖) were put up at December 12 in Jeonju(全州) and at December 14 in Namwon(南原). These posters would have to do with spreading information to justify the revolt. In this context, there was incendiarism at a gunpowder storage in Damyang(潭陽), since Sim Yu-hyeon(沈維賢) and Bak Mi-gwi(朴美龜) stole gunpowder and removed all traces. After stealing gunpower, they transported it to houses of Lee You-ik(李有翼) and Nam Tae-jing(南泰徵). This gunpower would have used to destroy Hong-hua(弘化門) and Don-hua gates(敦化門). In other words, this case occurred because they were willing to secure gunpower, one of significant war materials. Lee ho(李호) tried to win Naju(羅州) Na(羅) Clan over to rebel force through Na Man-Chi(羅晩致) who lived in Eunjin(恩津) at Chungcheong province. Lee ho wanted to raise up an army in Naju at Jeolla Province. But this attempt to embrace Naju Na clan was failed and they did not participate in the Musin Revolt. Leaders of the Musin Revolt prepared themselves for rebellion in Jeolla province, and made an effort to propagate justification and secure war materials and rebel forces. Their efforts triggered off the Musin revolt.

      • KCI등재

        18세기 전라도 지역 무신란(戊申亂)의 전개과정

        변주승(Byun, Ju-Seung),문경득(Mun, Gyeong-De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무신란(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이다. 본 논문은 무신란에 대한 조사와 처결이 기록된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주로 활용하여, 전라도 지역에서 일어난 무신란을 크게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과 박필현의 태인 거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포섭한 부안 인근 지역의 반란군이 3월 15일에 평교에 집결한 사건이다. 원래 이들은 3월 19일에 평교에 집결해 청주로 이동해 반란군과 합류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인좌의 급한 연락을 받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먼저 청주로 이동한 뒤, 15일에 부안 평교에서 집결했다. 그러나 주동자의 부재와 악천후, 적은 규모 등으로 인해 해산했고, 일부만 청주로 이동해 반란에 가담했다. 집결의 주모자인 정세윤은 변산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인데, 기존의 연구에서 변산적은 흔히 ‘변산의 도적 무리’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정세윤의 행적과 실제로 반란에 가담한 자들을 분석해본 결과,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 무리’였다.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당시 태인 현감이던 박필현이 관군을 이끌고 태인을 출발하여, 3월 22일 새벽 전주성 서쪽 삼천까지 진출하여 전주성을 공략하려 했던 사건이다. 박필현은 반란군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태인의 군사를 이끌고 전주성의 군사와 합류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배신하여 전주성을 장악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인 현감에서 파직되고, 부안과 나주의 반란군이 계획대로 오지 않자, 박필현은 태인의 관군만을 거느리고 전주성으로 향했다. 그는 전라감사 정사효에게 편지를 보내 포섭을 시도했으나, 전주영장 이경지가 편지를 받아들이지 않아 실패했다. 이에 바로 청주로 이동할 뜻을 밝히자, 박필현의 목적이 반란군 토벌이 아니라 반역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린 태인의 관군들이 도망쳐,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실패로 돌아갔다.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의의가 있다. 첫째, ?무신역옥추안?에 나오는 관련자의 진술을 비교?검증하여, 전라도 지역 무신란의 전개과정을 파악했다. 둘째, 무신란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정세윤’을 분석했다. 셋째, 무신란 당시의 ‘변산적’이 하층민으로 구성된 변산의 도적 무리라는 기존 견해와 달리, ‘변산의 역적 무리’임을 밝혔다. In 1728, there was the national-wide The Musin Revolt against King Yeongjo(英祖) in Gyeonggi(京畿), Chungcheong(忠淸) and Jeolla(全羅) province. I conducted research about the Musin Revolt by us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 and, in particular, examined the gathering of armed forces in Bu`an(扶安) Pyeonggyo(平橋), and marching of Bak Pil-hyeon(朴弼顯)’s Taein(泰仁) army. Th Rebel forces in locality of Bu`an assembled at Pyeonggyo until March 19. they originally planed to move to Cheongju(淸州) and join in rebel forces; but Jeong Se-yun(鄭世胤) left for Cheongju after receiving the urgent message from Lee In-jwa(李麟左), and the others gathered at March 15. However, they were dispersed due to the absence of rebellion leaders and inclement weather, scaled-downed forces. Bak Pil-hyeon who was local governor of Taein planned to lead the army of Taein to convert to the rebel forces. So he assembled the army and marched on Jeonju at March 22. However, rebel forces of Bu`an and Naju did not arrive, and he was also dismissed from the governor. Thus he solely moved to Jeonju. He sent a messenger to Jeong Sa-hyo(鄭思孝), the Govenrnor of Jeonju, and tried to embrace the army of Jeonju. However, Commanding officer of Jeonju, Lee Gyeong-Ji(李慶祉) refused to accept this attempt. Additionally the army of Taein realized Bak Pil-hyeon`s plan to convert itself to the rebel forces, they scattered immediately and Bak Pil-hyeon failed to implement the plan for revolt. This thesis is important in conducting research about following things. First,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ments of people concerned who are recorded on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Musin Revolt in Jeolla Province. Second, it examines Jeong Se-yun whom precious studies did not focus on. He did not on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tire Musin revolt. Third, this it proves that ‘the bandits of Byeonsan’(邊山賊) were comprised of people in the low class, and actually rebellious local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