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모형오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1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musical style of jeol-lae-dong-yo(the Korean tradition childern’s song) in Jeollanam-do Province. The data targeted as research subject are jeol-lae-dong-yo examined at Jeollanam-do districts from August 2006 until February 2010.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elderly people who were born before the 1940s. It’s because these elderly people are the most acquainted with the form of the jeol-lae-dong-yo that were passed down orally. As for the analysis of musical style, this thesis started it by dividing jeol-lae-dong-yo meter & rhythm pattern and scale & mode. The meter of jeol-lae-dong-yo in Jeollanam-do is found to be diverse with four-four time(4/4), six-four time(6/4), ten-eight time(10/8), twelve-eight time(12/8),fifteen-eight(15/8) time, and eighteen-eight(18/8) time, etc., and 139 patterns of rhythm in all are discovered, which is the primary pattern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was expressed in a musical mode. The scale of jeol-lae-dong-yo in Jeollanam-do is found to be the form of 12 patterns over one-tone scale, two-tone scale, 3-tone scale, 4-tone scale, and 5-tone scale. The mode of jeol-lae-dong-yo is formed depending on linguistic & musical requirements;for example, there operates linguistic requirements in two or three-tone scale while musical requirements operate in four-tone scale. The musical style appearing in jeol-lae-dong-yo examined like this process is the first musical product which Koreans expressed, and also one of musical culture heritages in which the melodies remain intact, reflecting the meter proper to the Korean language and intonations based on districts. 본고는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징을 장단과 리듬형, 음계와 선법으로 나눠 분석한 글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자료는 2006년 8월, 2007년 2월․3월․8월, 2009년 1월, 2010년 2월에 걸쳐조사된 9개 군, 13개 마을, 49명의 제보자로부터 조사된 201편의 전래동요이다.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장단은 2소박 4박자 장단이 11.4%, 2소박 혼박자 장단이 1%, 3소박 4박자 장단이 75.1%, 3소박 5박자 장단이 0.5%, 3소박 혼박자 장단이 3.5%로 나타났고, 일정한 박자를 지니지 않은 노래가 8.5%의 분포를 보인다. 3소박 4박자 장단(12/8박자)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4음절로 시작되는 노래와 조작유희요에서는 2소박 장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3소박 4박자 장단이 한국전래동요의 일반적인 양식이긴 하지만, 사설의 율격이나 가창행위에 따라 2소박 장단이 출현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라남도 전래동요는 한 장단에 5음절에서 14음절까지 배속되고 있으며 사설 수가 많아짐에 따라 박을 확대시키며 리듬형을 형성한다. 사설의 율격에 따른 리듬형을 분석한 결과 32개의 율격에따라 139개의 리듬형이 발견되고 있다. 전래동요의 리듬형은 우리말이 음악적으로 표현되는 일차적인 형태로 아동음악교육에서 리듬교육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전래동요의 음계와 선법에 대한 논의는 기존 민요연구에서 적용된 방법에 의하기보다 언어의 중심음인 ‘본디음’을 기준으로 음보말과 행말에서 선율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3음 음계의 전래동요에서는 언어적인 요구조건에 따라 선율이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계는 말노래 형태에서 4음 음계에 걸쳐 12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며,선율형은 12가지 음계에 걸쳐 111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4음 음계의 전래동요에서는 육자배기토리가 지배적이며, 경토리의 영향을 받은 노래가 일부 발견된다. 전라남도 전래동요에서는 최저음에서 본디음으로 완전4도 상행하며 시작되는 형태가 많고, 종지음은 본디음인 경우가 지배적이다. 음보말 휴지와 행말 휴지는 본디음에서 동도 진행하는 경우와,완전4도 하행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전래동요는 한국인이 이 땅에 태어나 최초로 표현한 음악적 결과물이다. 전래동요의 음악양식은 우리말이 지닌 율격과 운율․억양이 내재되어 있으며, 지역 민요의 토리의 핵심음으로 구조화된다. 이러한 전래동요의 음악양상을 지역별로 파악함으로써 한국전래동요의 다양성과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을것이며, 그 결과를 통해 한국음악교육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회복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모형오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musical style of jeol-lae-dong-yo(the Korean tradition childern’s song)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data targeted as research subject are jeol-lae-dong-yo examined at Gyeongsangnamdo districts in January, 2009 and February in 2010.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elderly people who were born before the 1940s. It’s because these elderly people are the most acquainted with the form of the jeol-lae-dong-yo that were passed down orally. As for the analysis of musical style, this thesis started it by dividing jeol-lae-dong-yo meter & rhythm pattern and scale & mode. The meter of jeol-lae-dong-yo in Gyeongsangnam-do is found to be diverse with four-four time(4/4), six-four time(6/4), ten-eight time(10/8), eleven-eight time(11/8), twelve-eight time(12/8), fifteen-eight(15/8) time, and eighteen-eight(18/8) time, etc., and 94 patterns of rhythm in all are discovered, which is the primary pattern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was expressed in a musical mode. The scale of jeol-lae-dong-yo in Gyeongsangnam-do is found to be the form of 12 patterns over one-tone scale, two-tone scale, 3-tone scale, and 4-tone scale. The mode of jeol-lae-dong-yo is formed depending on linguistic & musical requirements; for example, there operates linguistic requirements in two or three-tone scale while musical requirements operate in four-tone scale. The musical style appearing in jeol-lae-dong-yo examined like this process is the first musical product which Koreans expressed, and also one of musical culture heritages in which the melodies remain intact, reflecting the meter proper to the Korean language and intonations based on districts. 본고는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징을 장단과 리듬형, 음계와 선법으로 나눠 분석한 글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자료는 2009년 1월과 2010년 2월에 조사된 경상남도의 8개 군 15개 마을 54명의 제보자로부터 채록된 188편의 전래동요이다.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장단은 2소박 4박, 2소박 6박, 3소박 4박, 3소박 5박, 3소박 6박, 3소박 혼박, 혼소박 4박, 혼소박 5박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3소박 4박이 72.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아울러 무언가를 만지작거리며 부르는 조작유희요에서는 2소박 장단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으며, 활발한 몸의 움직임을 동반한 신체유희요에서는 2소박 장단이 극히 드물게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래동요의 리듬형을 사설의 율격에 따라 살펴본 결과, 한 장단에 5음절에서 12음절까지 배속되고 있으며, 94개의 리듬형이 발견되었다. 말의 단위인 음보는 장단의 단위인 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2-3음보의 사설이 지배적이다. 전래동요의 음계와 선법에 대한 논의는 기존 민요연구에서 적용된 방법론에 의하기보다 언어의 중심음인 ‘본디음’을 기준으로 음보말과 행말에서 선율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래동요는 언어적 요구조건에 따라 선율을 형성하는 경우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음계는 말노래 형태에서 4음 음계에 걸쳐 12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며, 3음 음계의 두 유형은 완전4도의 테트라코드를 형성하고 있다. 선율형은 12가지 음계에 걸쳐 56가지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선율은 음보말 휴지·행말휴지·곡말종지가 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지음에 따라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초기형태가 발견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전래동요의 소박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사설의 율격과 가창행위가 소박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모형오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한국전래동요의 소박이 사설의 율격과 가창행위에 따라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밝히고 있다. 전래동요는 전해 내려오는 아이들의 노래이며 말ㆍ노래ㆍ놀이가 결합된 한국 고유의 아동음악문화이다. 전래동 요를 통한 아동의 음악적 행위는 어른에 의해 창작되고 교육된 것이 아니라 아동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음악표 현에 의한 것이다. 아동의 언어가 노래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리듬과 선율이 부가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동의 음 악표현 과정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가 음악이 되어가는 과정을 한국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징 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전래동요의 소박은 사설의 율격, 사설에 표현된 의태어나 의성어의 양상, 아동의 가창행위가 복합적으로 작용되 어 결정된다. 전래동요 소박의 형성요인을 명확히 단정지을 수는 없으나, 전래동요 소박 형성의 양상을 살펴봄 으로써 한국의 음악적 모국어인 전래동요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의 음악교육에서 음악적 모국어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음악교육의 목표 중 하나가 학습자의 능동적 인 음악표현을 이끌어 내는 것임을 감안한다면, 음악표현의 일차적인 소재가 음악적 모국어이기 때문이다. 음악 적 모국어에 의한 음악표현이 이뤄질 때 한국의 음악문화적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가 전래동요에 담긴 음악적 모국어의 양상을 살피는 데에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 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bak of Korean children song is formed and influenced by the cadence and the singing. Korean children song is an unique traditional children music as well as a culture that combines the language, song, and play in Korea. Children’s musical acts with children’s folk songs are not educated or created by adults, but are the product of their own musical representation of children.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Korean language becoming a form of music throug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s folk song. The so-bak[小拍] of Korean children songs is created under influence of various characteristics factors including children musical acts, meter, and local music culture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ll the elements influencing so-bak. Yet, studying how children’s folk song’s so-bak is formed and developed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songs as the mother tongue of the Korean music. In Korean music education, the mother tongue of the Korean music is a primary factor because one of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is to draw on each student’s active representation of music and the musical mother tongue is a primary tool to create the musical express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learn more about the aspect of the musical mother tongue through the Korean children song.

      • KCI등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 내용 연구

        모형오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2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치원의 교육내용에 대한 전국 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 한 것으로 유치원 교육을 문서로 계획한 교육설계도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건강생활ㆍ사회생활ㆍ표현생활ㆍ언어생활ㆍ탐구생 활 등 다섯 개의 생활영역을 두고 있으며, 이 중에서 표현생활영역은 국악교육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생 활영역이다. 아울러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의 기본이 됨과 아울러 유아의 생활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내용과 생활주제에 따른 국악교육의 내용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유아를 위한 국악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영역에 제시된 내용체계별 국악교육의 내용체계를 마련하고, 각 생활주제별 국악교육 내용을 모색하였다. 표현생활영역은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 즐기기’, ‘감상하기’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에서는 주변의 소리를 관심 있게 듣고 이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과정 과 여러 국악기의 음색을 비교하여 들어보고 표현하는 과정, 그리고 기본적 리듬을 듣고 연주하는 과정이 국악 교육 내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술적 표현 즐기기’에서는 전래동요ㆍ국악동요를 부르고 이를 통합적으로 표 현하는 과정, 음악을 듣거나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는 활동, 음악극과 같은 통합적인 표현활동이 이뤄질 수 있다 . ‘감상하기’는 예술적 표현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는 활동이 중심을 이루며, 음악ㆍ춤 등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창의적으로 표현 하는 과정이 국악교육 내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 11가지의 생활주제별 국악교육의 내용을 모색하였다. 각각의 생활주제는 월별로 이뤄지기도 하고, 여러 생 활주제가 교사에 의해 분리ㆍ재조직되어 유치원의 특성과 연령 등에 따라 적용되는데, 이에 따른 국악교육은 유 아의 생활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각 생활주제에 따라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 ‘움직임과 춤’, ‘감상’, ‘음악극’ 등의 국악 교육 내용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유아기부터 생활 속 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음악적 모국어를 익히며, 유아의 예술적 표현력을 신장시키고 언어ㆍ신체ㆍ정서ㆍ사회 성 등 전인적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유아국악교육의 내용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Korean music education as laid out in the 2007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Since musical aptitude is developed in early childhood and highly valued in Korean society, exposure to Korean music in the early years of schooling is critical. This study seeks to reinforce the belief that early music education advances the whole person artistically, linguistically, emotionally and culturally and must therefore be considered a key component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