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 수술 후 위정체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평가지표 및 경구섭취패턴 분석

        모정민,라미용,조영연,최민규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1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1 No.-

        배경 및 목적: 위 부분절제수술 이후 상부위장관 내시경 시행 시 전날 금식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물이 위장관에 정체가 되어있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위정체와 관련된 몇몇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지만 근거가 불충분한 상황이며, 위정체 여부에 따라 섭취패턴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퇴원, 수술1개월, 수술3개월 시점의 영양평가지표 및 경구섭취패턴을 비교하여 위정체 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요인을 분석하여 영양상담시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영양중재를 적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부터 11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위암으로 위 부분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퇴원과 수술1개월, 수술3개월 시점에 개별면담이 가능했던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환자기본정보, 기저질환, 문합방법, 재원기간, 수술후 합병증, 위정체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경구섭취량, 식사패턴은 영양사의 개별 면담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고식적인 수술을 받았거나 75세 이상의 고령환자, 위마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연구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수술 3개월 시점의 상부위장관 내시경 결과의 음식물 정체 여부에 따라 정상군(60명)과 위정체군(22명)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위정체 여부에 따른 환자들의 남여 성별비율은 위정체군이 17:5 정상군이 34:26이었으며, 평균나이는 위정체군이 55.09±9.77, 정상군이 52.52±10.79로 위정체군에서 연령이 다소 높았다. Billroth-I과 Billroth-II 문합 빈도는 위정체군이 19:3 정상군의 경우 51:9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의 침윤정도에 따라 조기, 진행성 위암으로 분류한 결과 위정체군은 조기 위암이 18명, 진행성 위암이 4명이었으며 정상군의 경우 조기위암이 49명, 진행성 위암이 11명으로 나타났으며 위의 결과들은 모두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외에 재원일수, 수술 후 합병증, 기저질병, 항암여부 모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정체 여부에 따라 영양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시점의 영양평가지표를 비교하였다. 위정체군과 정상군의 BMI (kg/m2)는 시간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지만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체중감소율(%) 또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퇴원과 수술3개월 시점의 Albumin (g/dl)과 TLC (mm3)는 시간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1개월과 수술3개월 시점의 체지방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되었고, 체근육량은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모두 두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위정체 여부에 따른 경구섭취패턴을 분석한 결과 권장량대비 섭취열량(%)의 경우 위정체군이 56.65±17.18 →59.54±18.31 → 81.30±17.29, 정상군은 59.52±14.62 → 72.47±18.34 → 88.33±18.66으로 위정체군에서 수술 1개월 시점의 경구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사횟수(회/day)는 정상군,위정체군 모두 시간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지만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식사시간을(minutes/meal) 5가지 범주로(10분미만/10분∼20분/20∼30분/30∼40분/40분 이상)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위정체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1일식사량(g/day)은 두군 모두 시간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으며 한끼식사량(g/meal) 또한 시간경과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이 있었지만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영양밀도는(kcal/volume) 수술 3개월 시점에 위정체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지만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위정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성별, 나이, 암의 침윤정도, 문합방법, 기저질병, 식사량과 식사 패턴, 영양관련지표, 항암여부 등을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1개월 시점의 경구섭취 열량이 관련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위부분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3개월 시점의 위정체률은 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정체 유무에 따른 영양평가지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구섭취패턴의 경우 위정체군에서 1개월 시점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위정체군이 식사횟수가 적고 식사속도는 빠르며 영양밀도는 높은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위 부분절제수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위정체를 예방하기 위해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식사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1개월 시점 영양상담시 경구섭취량이 불량할 경우 식사방법과 식품선택 및 조리법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부족한 한계가 있었으며 영양소 분석이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병사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사회적지지 정도

        모정민(Jung Min Mo),배정이(Jeong Yee Ba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7

        본 연구는 병사들의 건강증진행위의 실태를 조사하고 건강증진행위의 증진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건강증진의 도모와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일 광역시 소재 1개 사단에서 군 복무중인 병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한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와 병사들의 건강증진행위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되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사회적 지지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평균, 백분율, 독립표본 t-test,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증진행위의 자아실현 3.1(.52), 대인관계 지지 3.0(.51) 영역은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건강 책임 2.4(.56), 영양 2.3(.65)과 관련된 건강증진행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의 지지가 4.5(.63)로 가장 높았고 군 동료의 지지가 4.0(.83)으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병사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사회적 지지인 가족, 친구 및 군 동료의 지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의 지지r=.32(p<.001), 친구의 지지 r=.39(p<.001), 군 동료의 지지 r=.43(p<.001)로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 군 동료의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군 동료의 지지가 실제 가장 부족함을 알 수 있으므로 병사들의 건강증진에 군 동료들이 적극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건강증진행위 활성화와 건전한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병사들의 건강 책임과 영양에 관심을 가지고 지지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egre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in sold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in solders.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300 soldiers who were in the military service at one of the divisions of a metropolitan city were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average,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SPSS WIN 19.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solders had good health status(76%), but 26.3% reported that they had a disease. In addition, 73% of participants voluntarily applied the army. The average of degree of social support promoting behaviors was 102.7(13.96)(range 54-139). The average of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63.3(9.13)(range 31-75). Higher economic status(F=1.23, p<.05) and better health status(F=1.23, p<.001) were associated with higher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made sure of the pathways after discharge(F=1.23, p<.001)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Level of health stat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gree of social support(F=1.23, p<.01).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from family(r=.32, p<.001), friends(r=.39, p<.001) and fellow soldiers(r=.43,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Because fellow soldiers are the most available social support group for the soldier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social support system with peers in the army.

      • KCI등재

        알코올로 유도한 만성위궤양 흰쥐 모델에서 비타민 E 보충이 위궤양 치유에 미치는 영향

        모정민(Jung-Min Mo),이선혜(Sun-Hye Lee),박미나(Mi-Na Park),이연숙(Yeon-So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이용하여 만성위궤양 실험동물모델을 확립하고 설정된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비타민 E 투여 수준(결핍 0 ㎎/mL oil/day, 정상 1 ㎎/mL oil/day, 보충 10 ㎎/mL oil/day)에 따른 위궤양 치유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비타민 E를 투여시킨 기간은 총 7일로서 위의 조직학적 검사, 혈청의 gastrin 농도, 위 조직의 histamine 농도, 위 조직 내의 항산화 효소인 GPx 활성도와 catalase 농도 및 MPO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성군에서 식이섭취량과 15% 에탄올 식수섭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증가량은 비타민 E 결핍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급성군에 비해 만성군에서 위 무게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급성군에서 다량의 출혈과 선상의 괴사가 나타났으며 비타민 E 결핍군 또한 약간의 출혈과 선상의 궤양이 남아있었으나 비타민 E 정상군과 보충군의 경우 출혈이나 궤양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gastrin의 경우 비타민 E 결핍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비타민 E 투여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또한 위 조직에서 histamine 농도는 급성군보다 만성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만성군에서 비타민 E의 투여수준에 따른 histamine 농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 조직에서의 MDA 농도는 비타민 E 결핍군과 정상군에 비해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급성과 만성유도에 따른 MDA 농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GPx와 catalase의 경우 비타민 E 정상군과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위 조직에서의 MPO 활성도는 비타민 E 결핍군에 비해 정상군과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알코올로 유도한 만성위궤양 실험동물 모델에서 비타민 E의 보충은 위궤양 치유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타민 E 보충은 혈청 gas trin 농도를 감소시켜 위에서의 산 분비를 감소시키며 또한 위 조직 내의 MPO 활성도를 감소시켜 proinflammatory cytokine을 방출을 억제시키고 결과적으로 위 세포내로의 호중구 침투를 감소시켜 위궤양 치유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타민 E의 결핍상태보다 비타민 E를 보충하였을 때 빠른 위궤양 치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평소 권장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비타민 E의 충분한 식이섭취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vitamin E on chronic gastric ulcer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in rats. Chronic gastric ulcer model was established by oral administration of 70% ethanol at one time and supply of 15% ethanol for additional 7 days. Male Sprague-Dawley rats, approximately 200 g, were fasted for 24 hours and orally gavaged with 1 mL of 70% ethanol for the induction of acute ulcer. A supply of 15% ethanol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for 7 days were followed to maintain chronic gastric ulcer. Acute ulcer group was sacrificed at 3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1 mL of 70% ethanol. Chronic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vitamin E levels; low-vitamin E (LVE, 0 ㎎/mL oil/day), normalvitamin E (NVE, 1 ㎎/mL oil/day) and high-vitamin E (HVE, 10 ㎎/mL oil/day). These groups were fed vitamin E free diets which were made of vitamin E free vitamin mix followed AIN-93M pattern for 7 days. Histological findings of congestion, hemorrhage and necrosis in gastric tissue were shown severely in acute ulcer group and LVE group of chronic ulcer groups. The concentration of gastrin in ser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VE group. The content of histamine in stomach was lower in acute ulcer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hronic groups regardless of vitamin E levels. Content of malondialdehyde (MDA) in gastric tissue was higher in HVE group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catalase, were lower in HVE group. Myeloperoxidase (MPO) activities as a marker of neutrophils infil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VE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vitamin E supplement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healing of alcohol-induced chronic gastric ulcer through alleviation of gastric tissue injuries and reduction of the MPO activity in gastric tissue and gastrin in se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