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립공원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 도입방안 탐색 및 적용 시범 연구a

        명현호,소순구,최대훈,조형진,이숙향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1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로 인하여 외래식물 출현종수가 증가하고 점진적으로 생육지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원주변에서 발생된 외래식물은 탐방객, 자동차, 동물, 바람 등으로 인해 국립공원 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도심형국립공원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립공원 생태계 안정성과 건강성 증진을 위해서는 외래식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도입이 필요하다. 국립공원에서는 외래식물 확산방지를 위해서는 유입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공원별, 유형별, 대상종별 유입 차단 시설을 도입 및 설치하여 국립공원 외래식물 통합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외래식물 확산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도입사례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래식물 방지시설은 철제형 매트, 일반형 매트, 고정형 브러시, 간이형 브러시, 복합형 브러시, 살균형 브러시 및 에어형 등 총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유형별 특징으로는 철제형 매트는 매트 밑에 시트를 깔아 외래식물 종자를 회수하는 방식이며, 매트 브러싱 능력이 우수하고 중량감으로 밀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일반형 매트는 바닥이 평탄한 탐방로 구간에서 고정장비를 이용하여 설치하며, 중량이 가벼워 고도가 높은 지역에 설치가 효율적이다. 고정형 브러시는 신발을 신은채로 사용가능한 내구성 있는 소재로서, 브러시로 털어낸 토사를 집적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브러시 설치장소 및 방법은 간단하지만 사용하기 힘이 들고 효과가 적다. 간이형 브러시는 신발을 신은채로 사용이 가능하나 종자포집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복합형 브러시는 고정이 되어 있어 사용이 쉽고, 종자회수가 용이하며, 부피가 작아 어느 지역에서나 설치가 용이하다. 살균형 브러시는 탐방로 입구에서 안내판에 따라 살균제를 도포하고 스틸그레이팅 위에 설치된 브러시에 신발 밑면을 문질러서 사용하며, 살균효과 및 종자회수가 용이하지만 살균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다. 에어형은 옷이나 신발에 부착된 흙먼지 털이용으로는 효과를 가지며, 부착된 외래식물이 바람으로 인해 비산 될 수 있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도입시설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위해 도심형국립공원인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적지분석을 실시하고 4개 지역을 선정하여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을 제안하였다. 적지분석을 위해 외래식물 Hotsopt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패턴이 특정지역(은평구, 성북구)을 중심으로 출현빈도의 규칙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의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정릉, 산성, 안골, 범골 등 4개의 시범지역을 설정하여, 매트형과 에어형 외래식물 확산 방지시설을 도입하였다. 시범지역에 대해 식물상과 외래식물 분포현황에 대해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수집된 매토종자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매토종자는 식물생장기에서 발아실험을 실시하여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철제형과 에어형방지시설에서 돼지풀, 주홍서나물, 미국자리공, 망초류와 같은 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방지시설 전체 유형에 따른 효과성 검증은 실시하지 못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유형에 대해서는 외래식물 종자 확산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명현호(Myeong, Hyeon-Ho),이점숙(Lee, Jeom-Sook),전지영(Jeon, Ji-Young),송만순(Song, Man-S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1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To make conservative port and coast ecosystems and creative the greenspace, We were investigated with characteristic of flora, environmental factors, types of port, adaptive species, minimum conservation area and plantation model. In 50 sites of study areas, there are 19 families and 174 species of vascular plants and 19 families and 48 species of halophytes. Dominant communities in port ecosystem contains Carex kobomugi community, Elymus mollis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Ixeris repens community, Vitex rutundifolia community, Calystegia soldandlla community, Rosa rugosa community, Lathyrus japonica community, Salsola komarovi community, Cynodon dactylon community, Tetragonia tetragonioides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e carried out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for ordinations on the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ies-environmental variable matrices in 50 sites. The communities tended to cluster into three types: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types. Adaptive species in habitate types are selected that sand marsh-type communities in ports contained Elymus mollis community, Ixeris repens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Clay marsh-type communities contained Suaed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and Suaeda maritima community, Sand gravel marsh-type communities contained Vitex rutundifolia community, Calystegia soldandlla community. We are conducted the estimation of minimal area for plantation of adaptive plant species and carried out guide line and plantation model for creation of green space in port ecosystem.

      • KCI등재

        통영시 무인도서지역 식물의 분포특성

        명현호 ( Myeong¸ Hyeon-ho ),장면 ( Jang¸ Myeon ),이점숙 ( Lee¸ Jeom-sook ),이정윤 ( Lee¸ Jong-yun ),최대훈 ( Choi¸ Dae-h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통영시 138개 무인도서의 관속식물 분포특성과 식생 조사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5과 301종 3아종 24변종 2품종 등 총 33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종에 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 돌가시나무가 120로 가장 높은 빈도로 분석되었으며 억새(112회), 명아주(107회), 돈나무(102회), 곰솔(100회) 순으로 확인되었다. 환경 평가, 식물의 특성 및 서식처 보전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활용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총 70 분류군으로 전체 출현종 중 21.21%를 나타났다. 또한 자생식물의 서식지를 침입해 생태계 영향을 미치는 귀화식물은 21종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망초(87회), 미국자리공(54회)로 나타났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생육하며, 염분스트레스나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형태 및 생리적으로 잘 적응한 염생식물은 32종이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 빈도를 분석 한 결과 해국, 갯장구채, 갯까치수염, 갯강아지풀 순으로 나타났다. 연안에 생육하는 염생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흡수 효과적이다. 식물 생활형의 분류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라운키에르 생활형으로 분류 한 결과 반지지중식물(H)이 87분류군(26.36%)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형 육상식물(M)이 78분류군(23.64%), 일년생식물(Th)이 53분류군(16.06%)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대부분이 산지침염수림인 곰솔군락이 우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에 소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섬향나무군락, 밀사초군락, 참억새군락, 칡군락, 이대군락, 왕대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조사지역은 지리학상 남해안아구에 속하고, 식생은 난온대삼림대에 해당되어 후박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군락과 같은 상록활엽수림 천이가 활발하게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서생물지리학 이론 관점에서 식물종 분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도서면적에 대한 환경변수에 대해 출현종수(r<sup>2</sup>=0.6544)와 귀화식물(r<sup>2</sup>=0.524)에 대해서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났으나 귀화율 및 염생식물 출현양상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육지와의 거리에 대해 출현 종수, 귀화식물, 귀화율, 염생식물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통영시 무인도서는 남해안 도서 중에서도 비교적 생태계 보전과 자연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 식물상 및 식생 분포 특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효율적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ongyeong uninhabited island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as 330 taxa in total, including 85 families, 301 species, 3 subspecies, and 24 varieties, with 2 forms of Rosa wichuraiana s.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at 120, followed b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112 time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107 times), Pittosporum tobira(102 times), and Pinus thunbergii(100 times). There are a total of 70 taxa(21.21%)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specially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also found, among them, in the order of Erigeron canadensis(87 times), and Phytolacca americana(54 times). Halophytes were identified as 31 species and the most frequent species were Aster spathulifoliu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Lysimachia mauritiana and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urthermore Hemicryptophytes(H) had 87 taxa(26.36%), Microphanerophyte(M) was at 78 taxa(23.64%), and Therophytes(Th) stood at 53 taxa (16.06%), which showed a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s. According to the physio-gnomic classification, this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categories.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erb vegetation and plantation forest. such a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Carpinus turczaninowii, Platycarya strobilace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Juniperus chinensis, Carex boottiana, Miscanthus sinensis, Pueraria lobata, Pseudosasa japonica, and the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Number of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at the island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island (r<sup>2</sup>=0.6544, r<sup>2</sup>=0.524), but the correlations with distance from the mainland is not significant. The survey area is one of the southern coastal islands with a relatively excellent ecosystem of conservation and natural landscape. Therefore, for each island,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ninhabited islands.

      •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의 식물분포 및 토양환경

        명현호(Hyeon Ho Myeong),노일(Il Noh),이선미(Seon Mi Lee)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본 조사는 2012년 10월∼2013년 4월까지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홍도 식생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괭이갈매기 번식지인 경남 홍도지역의 식물분포 현황 및 토양요인에 대해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15과 16종 3변종으로 총 1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분포는 전체적으로 밀사초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남동사면에 손바닥선인장군락이 일부 분포하고 있으며, 정상부 나지를 중심으로 돌피군락이 좁게 분포한다. 손바닥선인장군락은 괭이갈매기가 서식지로 이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아 서식지 보전·관리측면에서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관리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토양요인은 pH와 전기전도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나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유기물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칠발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함량, 유기물함량, 염분농도, 총질소가 낮아지고, 소구굴도는 수분함량이 낮아졌다(김 등, 2013). 토양요인은 섬의 크기, 고도, 지형, 위치, 식생분포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우점군락인 밀사초군락은 수분함량,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났고, pH는 낮게 나타났으며, 손바닥선인장군락의 토양수분함량, 전기전도도, 총질소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토성은 medium sand와 fine sand로 구성되어 있어 토양수분함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dispersion of vegetation throughout Hongdo by conducting field survey from October, 2012 to April, 2013. Research and analysis were performed about the current distribution plants and soil factors at Hongdo in Kyeongnam, which is breeding grounds for a black tailed gull. As a result, the flora of the study area was investigated as a total of 19 taxa including 15 families, 16 species, and 3 varieties. Vegetation distribution has showed that Carex boottiana community is, in the gross, dominant, Opuntia ficus-indica community is partly distributed on the southeastern slop, and Echinochloa crusgalli community is narrowly distributed around bare ground of the top. Because Opuntia ficus-indica community is not congruent with breeding grounds for a black tailed gull, the plan for preserving and managing breeding grounds is required. To do this, maintenance should be presented through overall field survey. In terms of soil factors, as the altitude is higher,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re lower and organic matter content is higher. In Chilbaldo, as the altitude is higher,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salt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are lower. In Soguguldo, as the altitude is higher, water content is lower. Soil factors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an island, altitude, topographic features,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Soil factors at Carex boottiana community as a dominant community have showed higher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ower pH. Soil factors at Opuntia ficus-indica community have indicated lower soil water cont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otal nitrogen. Soil texture consists of medium sand and fine sand, and so is thought to have a direct effect on soil water content.

      • KCI등재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시스템 개선 연구

        명현호(Hyeon Ho Myeong),김정은(Jeong Eun Kim),김혜리(Hye Ri Kim),오장근(Jang Geun Oh) 응용생태공학회 2021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8 No.2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공원 자연 생태계의 효율적 보전・관리를 위해 2012년부터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자연공원법 개정, 정책 변화, 관리 지표 부재에 따라 지표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기존지표에서는 해양생태계평가 지표 부재, 정책변화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평가시스템은 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종, 종다양도, 수질 (BOD, DO), 서식지파편화 지표 등으로 생물종 중심의 비중이 높았다. 평가결과는 5등급 체계로 구성되어 각 지표에 대한 즉각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평가시스템 개선을 통해 BPI와 서식지복원지표를 추가하였다. 종다양도는 4개 분류군을 대상으로만 평가하였으나, 10개 분류군으로 전체 공원을 평가하였다. 평가 등급은 5개 상태, 5 등급에서 5개 상태, 10 등급으로 세분화하여 픽토그램으로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개선 전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고, 3단계에서 5단계로 확대 되었다. 그러나 월악산국립공원은 개선 전 평가 결과보다 낮고, 주왕산국립공원은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계 건강성 평가 시스템 개선을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의 과학적・체계적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2012, the National Park Service conducted an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to efficiently preserve and manage the ecosystem. The need for improving pre-existing management indicators was recognized from the revised Natural Park Act because, while the indicators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focused on endangered species, ecosystem disturbance, diversity, water quality (BOD, DO), and habitat fragmentation, they did not reflect the lack of indicators for marine ecological assessment, policy changes, and the time demands. The evaluation results comprised a five-point grading system, which made the analysis of immediate changes, difficult. Therefore,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and habitat restoration indicators were added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The National Park was assessed using 10 classifications, however, only four classifications were evaluated. The ratings were divided into five states, and ten classes were presented as pictograms.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a similar trend as the indicators were improved, increasing from level 3 to level 5. However, the results of the Wolaksan National Park after improvement in the indicators were lower than that before the improvement, whereas, for the Juwangsan National Park, it was higher.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national park ecosystem by improving the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system.

      • KCI등재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의 보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명현호 ( Hyeon Ho Myeong ),이점숙 ( Jeom Sook Lee ),전지영 ( Ji Young Jeon ),오장근 ( Jang Geun Oh ),채희영 ( Hee Young Chae ) 한국도서학회 2013 韓國島嶼硏究 Vol.2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dispersion of vegetation throughout Hongdo by conducting field survey from October, 2012 to April, 2013. A plant community is classified into three communities: Carex boottiana, Opuntia ficus-indica and Echinochloa crusgalli . Problems involved in maintaining breeding grounds for a black tailed gull are as follows: First, a plan for vegetation restoration in degraded areas is required. Recently, the regional torrential rains caused soil erosion in the parts of degraded areas where vegetation recovery rates were poor. Thus secondary damage of soil erosion is expected if no implements are made. Second, Opuntia ficus-indica distributed on the southeastern slop requires managing. The Opuntia ficus-indica community is considered incongruent with the reproduction of seabirds. However, since Korea has little data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Opuntia ficus-indica, a comprehensive study is required. It is true that the community is well known for its preservation of species resources, but the measurements of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breeding grounds should be reconsidered since it is not the best breeding grounds for black tailed gull. Finally, it is necessary to get rid of mammals such as a gutter rat and cat which inhabit Hongdo. Their short life circle and high reproduction rate can cause a sincere damage to seabirds. Recently, rodenticides and rattrap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eradicating rodents and mammals, and frames to capture cats are presented for terminating cats. In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breeding seabirds, the opinions of many experts from different fields should b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aintaining seabirds.

      •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 및 고도화 연구

        명현호 ( Hyeon Ho Myeong ),오장근 ( Jang Geun Oh ),원혁재 ( Hyeok Jae Won ),신용석 ( Young Seok Sh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국가 생물자원의 핵심지역인 국립공원의 통합적 공원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해서 현재 국립공원의 자연환경보전과 이용관리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건강상태를 파악 할수 있는 과학적 평가방안이 필요하다. 체계적이고 과학적평가 결과는 공원정책방향 확립 및 국민과의 공감 기회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미국 공원청의 Vital signs, 캐나다국립공원의 Ecological Integrity 등 선진국에서는 현장관리와 연계성이 높은 자원 모니터링 지표를 선정하여 국립공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건강성평가를 위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평가 지표를 적용하여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하였다.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고도화를 위해서 연구 방향성 설정은 5가지를 선정하여 접근하였다. 첫째, 지표 설정 인자는 자연성, 다양성, 희귀성, 풍부성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둘째, 지표 설정원칙은 편의성, 스트레스 민감성, 반응성, 예측성, 통합성, 저가변성을 고려하였다. 모니터링에 있어지표는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정원칙은 가장 중요한 방향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지수 고도화는 생태계 건강성평가에 대해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 국립공원은 많은 탐방객이 방문하는 지역이므로 보전과 이용에 대한 이해력이 증진되어야 하나아직까지는 부족한 상황이다. 넷째, 모델선정은 공원의 특성과 건강성을 반영 할 수 있는 개념적 모델 선정 및 Framework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환류방안은 평가결과에 따른 공원별, 지표별 보전, 복원, 환류방안수립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국립공원 생태계는 일반생태계에 비해 보전성과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는 지역이나, 탐방객이나 외부 압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되기 때문에 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들을 선정되어야 한다. 생태계 유형범주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대부분을 구성하는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로 유형 범주를 구분하였으며, 생태계 구성 요소 및 기능적 범주는 종 다양성, 생태계구조 및 기능, 스트레스로 구분하였다. 특히, 국립공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지표가 필수적이며, 스트레스 지표를 기본체계로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전, 복원, 관리 행위가 실시되어야 한다. 건강성평가 지표의 고도화를 위해 육상생태계에서 26개예비평가 지표와, 수생태계에서 10개의 예비평가 지표를 추출하였으며, 평가 지표에 대해 델파이 방법을 통해 한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방법(AHP)을 실시하여 공통 지표, 선택지표, 기후대응 지표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범주는생태계유형, 기능 및 세부분류유형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공통 지표는 저서무척추동물(BMI지수), 양서류 종 다양도, 외래종지수, 지표성곤충(습성별 밀도 및 비율), 훼손지평가(훼손지, 독립훼손지), 경관지수(파편화, 면적, 평균파편화형태지수) 등 6개를 선정하였고, 선택 지표는 특정동물평가지수(개체수, 분포수, 분포면적, 번식쌍 등), 수질지수(DO, T-N), 외래생물관리 지수, 위해생물관리 지수 등 4개, 기후대응 지표는 건조지수(연 건조일), 폭설빈도(연 폭설빈도), 강수빈도(일강수량 30mm이상 강수일) 등 3개를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지표는 직접적인 관리활동으로 생태계건강성을 증진할 수는 없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변화 예측 및 장기적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에 대한 건강성 평가를 위해서는 기존 모니터링 사업의 체계적 방안을 수정 보완하고, 모니터링사업의 재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 건강성평가 결과와 공원의 상태를 쉽게 이해 시킬수 있도록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미국 공원청 Vital Sign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캐나다 온전성 평가에서도 적용하고 있다. 공원의 현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녹색은 매우 건강, 연두는 건강, 노랑은 양호, 주황은 관리 필요, 빨강은 관리 시급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과거 평가결과와 비교를 위해 상승, 변동 없음, 하락 등으로 구분하여 총 15개 유형의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고도화 결과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첫째, 공원 모니터링 사업을 종합 분석하여 모니터링을 재확립, 둘째,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프로토콜을 제작, 셋째, 모니터링 조사자의 전문화, 넷째, 평가시스템 구축의 절차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가 실시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국립공원을 체계적·과학적 관리에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국립공원 정책 및 대 국민 홍보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국립공원생태계건강성평가및고도화연구a

        명현호,오장근,원혁재,신용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국가 생물자원의 핵심지역인 국립공원의 통합적 공원관 리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해서 현재 국립공원의 자연환경 보전과 이용관리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건강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과학적 평가방안이 필요하다. 체계적이고 과학적 평가 결과는 공원정책방향 확립 및 국민과의 공감 기회 확 대를 도모할 수 있다. 미국 공원청의 Vital signs, 캐나다 국립공원의 Ecological Integrity 등 선진국에서는 현장관리 와 연계성이 높은 자원 모니터링 지표를 선정하여 국립공원 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를 위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평가 지표를 적용하여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하였다.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고도화를 위해서 연구 방향성 설정 은 5가지를 선정하여 접근하였다. 첫째, 지표 설정 인자는 자연성, 다양성, 희귀성, 풍부성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둘째, 지표 설정원칙은 편의성, 스트레스 민감성, 반응성, 예측성, 통합성, 저가변성을 고려하였다. 모니터링에 있어 지표는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정원칙은 가 장 중요한 방향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지수 고도화는 생태계 건강성평가에 대해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 국립공원은 많은 탐방객이 방문하는 지역이므로 보전과 이용에 대한 이해력이 증진되어야 하나 아직까지는 부족한 상황이다. 넷째, 모델선정은 공원의 특 성과 건강성을 반영 할 수 있는 개념적 모델 선정 및 Framework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환류방안은 평가결 과에 따른 공원별, 지표별 보전, 복원, 환류방안수립에 적용 될 수 있어야 한다. 국립공원 생태계는 일반생태계에 비해 보전성과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는 지역이나, 탐방객이나 외 부 압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되기 때문 에 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들을 선정되어 야 한다. 생태계 유형범주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대부분을 구성하 는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로 유형 범주를 구분하였으며, 생 태계 구성 요소 및 기능적 범주는 종 다양성, 생태계구조 및 기능, 스트레스로 구분하였다. 특히, 국립공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지표가 필수적이며, 스트레스 지표를 기본체계로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출 하여 보전, 복원, 관리 행위가 실시되어야 한다. 건강성평가 지표의 고도화를 위해 육상생태계에서 26개 예비평가 지표와, 수생태계에서 10개의 예비평가 지표를 추 출하였으며, 평가 지표에 대해 델파이 방법을 통해 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AHP)을 실시하여 공통 지표, 선택 지표, 기후대응 지표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범주는 생태계유형, 기능 및 세부분류유형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 여 선정하였다. 공통 지표는 저서무척추동물(BMI지수), 양서류 종 다양 도, 외래종지수, 지표성곤충(습성별 밀도 및 비율), 훼손지 평가(훼손지, 독립훼손지), 경관지수(파편화, 면적, 평균파 편화형태지수) 등 6개를 선정하였고, 선택 지표는 특정동물 평가지수(개체수, 분포수, 분포면적, 번식쌍 등), 수질지수 (DO, T-N), 외래생물관리 지수, 위해생물관리 지수 등 4개, 기후대응 지표는 건조지수(연 건조일), 폭설빈도(연 폭설빈 도), 강수빈도(일강수량 30mm이상 강수일) 등 3개를 선정 하였다. 기후변화 지표는 직접적인 관리활동으로 생태계건 강성을 증진할 수는 없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변화 예측 및 장기적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에 대한 건강성 평가를 위해서 는 기존 모니터링 사업의 체계적 방안을 수정 보완하고, 모 니터링사업의 재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 건강성평가 결과와 공원의 상태를 쉽게 이해 시킬 수 있도록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미국 공원 청 Vital Sign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캐나다 온전성 평가에 서도 적용하고 있다. 공원의 현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녹색은 매우 건강, 연두는 건강, 노랑은 양호, 주황은 관리 필요, 빨강은 관리 시급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과거 평가 결과와 비교를 위해 상승, 변동 없음, 하락 등으로 구분하여 총 15개 유형의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고도화 결과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서는 첫째, 공원 모니터링 사업을 종합 분석하여 모니터링 을 재확립, 둘째,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프로토콜을 제작, 셋째, 모니터링 조사자의 전문화, 넷째, 평가시스템 구축의 절차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국립 공원을 체계적·과학적 관리에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국립 공원 정책 및 대 국민 홍보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 무등산국립공원깃대종인털조장나무분포및서식현황

        명현호,이정윤,조장삼,전지영,이선미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털조장나무(Lindera sericea)는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녹 나무과 생강나무속의 희귀식물로 무등산국립공원, 조계산 도립공원, 모악산 등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의 목 적은 2013년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으로 선정된 털조장 나무의 분포 및 서식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관 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토양 분석, 생육 동태 분석, 분 포 현황 및 식생 조사를 실시하였다. 털조장나무군락이 분 포하는 14개 지점에서 균등하게 3반복으로 토양을 채집한 후 음건하여 분석에 이용하였고, 분석 항목은 pH, 토양수분 함량,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 전질소,, 토성이었다. 그 결 과 pH는 3.53∼4.44이고 평균 3.83으로 산성토양이었다. 토양수분함량은 23.56%∼71.85%로 평균 35.14%, 유기물 함량은 6.89%∼78.37%로 평균 28.25%, 전기전도도는 1,290us/cm∼3,640us/cm로 평균 2,530.79us/cm, 총질소는 1.25mg/g∼11.50mg/g로 평균 6.32mg/g였고, 토성은 극조 사(Very coarse sand)와 세사(Fine sand)가 각각 88.91%와 11.0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주로 토양수분함 량이 높고 비옥한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초부터 6월 말까지 고도가 549m인 무등산 지역과 345m인 무등산 동부 지역에 TPN(Timelapse Phenological Network) 카메라를 설치하여 생육 특성을 확인한 결과, 고 도가 높은 무등산 지역에서 개화는 12일, 개엽은 5일 늦게 진행되었으나 잎 성숙시기는 4일 빨리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단기적인 결과로서 추후 기후변화 관련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개화시기인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분포 조사를 실 시하였고 출현하는 모든 지점의 GPS 좌표를 수집하여 분포 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털조장나무군락의 분포 면적이 넓은 12개 지역에서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에 따라 식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털조장나무는 주로 고도가 200m∼ 800m인 산지 계곡의 전석지 주변에 골고루 분포하였으며, 생강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서 혼생하고 있었다. 북동, 동 북, 서북, 북서 등 북사면에 85.9%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사면의 상부 및 하부의 소나무군락, 사면 상부 및 중부의 신갈나무군락, 사면 중부의 굴참나무군락, 계곡부의 졸참나 무-느티나무군락 등의 관목층에 분포하였다. 식생 군락에 대한 분포 특이성이 없었고, 무등산 전역에 폭 넓게 분포하 며 생육 상태도 양호하였다. 따라서 인위적인 교란이 발생 하지 않는다면 현재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 계룡산국립공원의외래식물분포현황

        명현호,임치홍,이선미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외래식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고 있으며, 1990년 대 후반부터 도시화의 확대로 인해 외래식물의 종수 및 분포 면적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인위적인 교란이 빈번히 일 어나는 곳을 중심으로 분포 및 확산되고 있으며, 생태계가 건강하다고 할 수 있는 국립공원에서도 탐방로, 주차장, 도로 및 나지 등 교란이 잦은 곳에 분포하며 그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2008년부터 각 국립공원에서 생태계 교란야생식물 제거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제거면적은 매 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위적 교란이 많이 발 생하는 도심형 국립공원인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외래 식물의 정확한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2014년 8월부터 10월까지 계룡산국립공원의 17개 구간 을 대상으로 공원 내 및 경계 지역에 출현하는 모든 외래식 물을 조사하고 분포지점의 GPS 좌표를 수집한 후 분포도롤 작성하였다. 그 결과 총 19과 19속 55종 1변종으로 총 56분 류군을 확인하였고 이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 단 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로 총 4분류군이었다. 외래식물은 주로 주차장, 나지, 폐경작지, 저수지, 탐방로 및 도로, 사찰 주변 등 인위적 교란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 고, 대부분 탐방로 및 도로 주변에 점형으로 분포하였으며, 나지와 폐경작지 등에서 면형으로 분포하였다. 종별 출현빈 도를 분석한 결과, 돼지풀이 326회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으로 개망초 291회, 달맞이꽃 180회, 망초 176회, 미국쑥부 쟁이 153회 로 나타났다. 한편 갓, 도꼬마리, 미국까마중, 서양톱풀, 선토끼풀, 오리새, 큰개불알풀, 큰조아재비는 1회 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고도별 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350m 이하의 저지대에 분포하였으며(93.8%), 350 m에서 500m 사이에 2.1%, 500m 이상에서 4.1% 분포하였 다. 빛투과량이 많고 인위적 간섭이 많은 탐방로 입구 주변 에서 출현 빈도가 매우 높았고 숲 속을 관통하여 빛투과량 이 낮은 탐방로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다가 다시 빛투과량 이 높아지는 산 정상부에서 출현 횟수가 증가하였다. 구간 별 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만학골 코스에서 총 29분류군 으로 가장 많은 외래식물이 출현하였고, 그 다음으로 갑사 코스에서 27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수통골 코스에서 가장 적은 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개망초는 전 구간에서 출현하 였고, 달맞이꽃과 망초가 16개 구간에서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 탐방로 및 도로와 같은 선형 요소는 외래 식물 확산의 주요 통로이고 나지 및 공터와 같은 면형 요소 는 주요 확산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로서는 물리적인 제거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선형 요소 주변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은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위해성이 높고 확 산 속도가 빠른 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개화 및 결실 전 지속적인 물리적 제거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면형 요소 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은 면적이 넓은 곳을 우선적으로 식생 복원을 실시하면 분포 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 편 본 연구는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조사한 결과이므로 봄철 및 여름철 조사를 실시하면 더 많은 종류의 외래식물이 분 포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립공원 내 외래식물의 종합적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계절별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정확 한 분포 현황을 조사한 후 구체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해야 하고,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가능한 한 확산되기 전의 침입 초기에 외래식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다. 또한 구체적인 관리 방안 마련 및 생태적 정보를 획득 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이렇게 수집한 정 보를 바탕으로 추후 위해성이 높은 우선관리종을 선정하고 생태적으로 미치는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우선관리지역으 로 지정하여 종 및 지역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