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수련시설 인증방안 연구

        맹영임,조혜영,김민,김영호,이명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중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정책적 차원에서의 품질관리와 대외적인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관인증제 도입 방안 마련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증제 관련 문헌분석 및 국내ㆍ외 주요 인증제를 조사ㆍ분석하였으며,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자, 청소년수련관이나 청소년문화의집을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의 청소년관련업무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ㆍ면접조사 분석결과와 전문가워크숍 등을 통하여 도출된 인증방안(안)에 대해서 전문가의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제운영유형은 기관인증으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인증대상은 모든 청소년수련시설이 되어야 하나 자율인증에서 의무인증으로의 점진적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인증범위는 종합인증 형태가 적절하다. 넷째, 인증방식은 포괄적 인증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증주체는 정부가 되어야 하며 인증전담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절차는 5단계 2과정(1단계 인증신청-2단계 인증시설개선-3단계 현장실사 및 이의신청과정-4단계 인증심의-5단계 인증확정 및 사후관리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일곱째, 인증기준 영역은 공통기준영역(모든 시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과 개별기준영역(시설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을 위한 선행과제로는 첫째,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법적 근거 마련 및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인증제 운영체계와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준(지표)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합리적인 인증절차(과정)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증기관(인증전담기구) 구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사후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째, 시범기간 운영 및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여덟째, 청소년수련시설평가 및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와의 통합(연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policy plans for introducing accreditation system on youth facilities, which aim to secure public reliability and quality control. In order to pursue the goal of this study, major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accreditation system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In addi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youth leaders who worked in the youth facilities including youth centers and youth cultural centers, youth participants who used the facilit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local youth policy.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roper type of accreditation system needs to be institution based. Second, while objects that have to be accredited should cover all of the youth facilities, it is recommended that mandatory system should be gradually developed from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Third, the scope of accreditation needs to be comprehensive. Fourth, the way of accrediting should be inclusive. Fifth, the operating body of this system should be the government and executive agency needs to be established. Sixth, it is appropriate that accreditation procedure is run through 5 stages and 2 processes: application for certification, improving facility to be certified, visitation the center and a series of objection, deliberation for certificating, and consulting process after being certified as well as accreditation. Seventh, accreditation standards should be separated in common criteria (which are applied to all the facilities) and specific criteria (which are varying with each facility’s properties). Additionally, we need several prerequisite tasks to be solved prior to introducing accreditation system. First, we need social consensus on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youth facilities. Second, legal basis and budget are required. Third, operating system and reliable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urth, rational procedure of cert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fth, we need to constitute the operating body. Sixth, post consulting system should be planned. Seventh, trial period and continuous appeal to the public are needed. Eighth, new accreditation system needs to be related with current evaluation system on youth facilities and certification system on youth activities.

      • 주5일수업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맹영임,이광호,이진원,오민아,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로 청소년에게 주어진 주2일의 휴일에 대한 학교 밖 활동지원이 중요해 짐에 따라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마련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5일수업제와 청소년활동관련 문헌분석 및 국내?외 주요 사례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청소년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 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미나, 전문가워크숍, 정책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설문?면접조사, 전문가워크숍 등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주5일수업제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활동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및 기능강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내 청소년활동전담센터 건립?운영 및 지역사회중심 청소년 활동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활동 참여기회 확대 및 지역사회 민간 참여를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전문화 및 재정립이 필요하다. 일곱째, 중앙과 지방의 청소년활동지원체계 정비 및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청소년활동정책의 방향을 ① 언제, 어디서나 청소년활동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information) ②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필요한 활동에 참가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infrastructure) ③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 활동기록 누적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며(incentive) ④ 부모, 학교, 사회가 지지하는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interconnection)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4가지 정책 방향의 첫 글자를 따서 4Is로 청소년활동정책의 재구조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활동 참가기회부여와 참가를 보장하기 위해서 크게 학교시설중심, 청소년수련시설중심, 지역사회중심 청소년활동 활성화 과제로 대분류하여 제언하였다. 아울러 공통과제로는 맞벌이 가정과 저소득층청소년의 주말활동 지원, 여성청소년 활동지원 방안도 별도로 설정하였으며, 중앙과 지방의 청소년활동지원체계 정비 및 기능 강화와 제안된 정책과제를 뒷받침하는 관련 법령 개정 등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과제 등 2개의 추진체계정비 역시 별도의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policy plans for vitalizing youth activities as overall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schooling system. The five-day schooling system made youths have two-day holidays a week,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support out-of-school activitie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plans to vitalize youth activities in response to this changing circumstances. In order to pursue the goal of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literature relating to the five-day schooling system and youth activit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youths, par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youth activity information should be easily accessible anytime and anywhere(Information). Second, related infrastructure allowing youths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whenever and wherever they choose needs to be constructed(Infrastructure). Third, the system that accumulate and check activity record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should be provided(Incentive).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mote activities supported by parents, school and society(Interconnection). And 4I’s named after the first letter of four policy directions was proposed as a way to pursue reconstruction of youth activity policy. Suggested plans to guarantee various activity opportunity and participation are focused on school facilities, youth facilities, and local community. Policy supporting youths from dual-income families and low-income families and female youths was also provided as common assignments. Finally, to implement policy this research has suggested, legal basis relating to vitalizing youth activity is required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organize and reinforce youth activity system and functions.

      • 탈북청소년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맹영임,길은배,최현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탈북청소년 수도 많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미래 통일세대인 남북한 청소년들의 상호이해 및 가치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탈북청소년들의 사회통합 정책방안을 도출해 내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탈북청소년 관련문헌 분석 및 국외 주요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탈북청소년과 일반청소년, 탈북청소년 주변의 관찰자(교사 및 현장전문가 등)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상호인식과 사회통합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워크숍, 정책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탈북청소년을 위한 사회통합방안 등 관련정책을 모색하였다. 설문조사와 면접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탈북청소년 개인맞춤형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전담코디네이터 역량 강화 및 지역사회 협력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탈북청소년 대상 대안교육시설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탈북청소년대상 진로ㆍ직업지도 내실화 및 학부모 대상 교육과정교육 제도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탈북청소년 가족통합적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탈북청소년 정착지원 협의체 구성 및 전담기관 건립ㆍ운영이 필요하다. 일곱째, 탈북청소년 이해교육 및 연수 강화가 필요하다. 여덟째, 탈북청소년 대상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 돌봄기능 강화가 필요하다. 아홉째, 청소년수련시설 등을 활용한 사회통합프로그램 확대실시 및 통일교육 내실화가 필요하다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멘토교사 사전연수 실시 및 일반청소년과의 1:1멘토링사업 활성화, 전담코디네이터 역량 강화 및 지역사회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의 탈북청소년 교육지원을 통한 사회통합 방안 4과제, 탈북청소년 교육이력시스템 구축을 통한 맞춤형 교육지원, 탈북청소년 가족통합적 지원체계 구축, 탈북청소년 학부모 대상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제도화 등의 탈북청소년 지원체계 개선을 통한 사회통합방안 7과제, 탈북청소년 대상 청소년시설활용 사회통합 프로그램 개발ㆍ보급 등의 청소년활동 및 시설을 통한 탈북청소년 사회통합방안 2과제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South and North Korean adolescents’ mutual understanding and shared perspective and to pla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recent increase of North Korean migrants, especially adolescent refuge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analyzed empirical research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and primary international cases related to adolescent refugees. In addition, the study implemen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migrant youths, South Korean adolescents, close observers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including teachers and field specialists. The information was gathered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need for mutual perception and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policies related to the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through a specialized workshop and the policy advisory council.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surveys and interviews suggests the following needs: (1) personalizing education support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2) strengthening abilities of responsible North Korean migrant youth coordinators and building cooperative community networks; (3) supporting alternative educational facilitie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4) planning substantial career and vocational guidance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and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courses for parents; (5) building family integration support system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6) forming consultation groups for a North Korean migrant youth resettlement program that would build and manage special centers to address their needs; (7) strengthening education of understanding, study and training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8) strengthening functions of community involvement through encouraging youth activitie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9) expanding social integration programs in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to address the needs outlined above, various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which include the following: the revitalization of preliminary training for mentors, teachers, and one-on-one mentoring services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social integration Four-Plan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through education support by strengthening ability of responsible North Korean migrant youth coordinators and building a cooperative community network; personalized education and career support system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family integration support system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social integration Seven-Plans institutionalizing educational courses for parents that will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social integration Two-Plan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s to develop and distribute social integr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in youth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