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 연구-사후피해구제제도를 중심으로-

        맹수석 예금보험공사 2022 金融安定硏究 Vol.23 No.2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which came into effect in 2021, provides a legal basis for dispute mediation procedures other than litigation to strengthen business conduct regulations and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financial consumers. However, the damage relief procedure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discusses ⓛ granting one-sided binding force to dispute mediation, ② introducing a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system, ③ introducing a financial dispute arbitration system, and ④ providing financial consumer damage relie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fund was reviewed, an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In particular, if the financial consumer accepts the mediation result of the Financial Dispute Mediation Committee in the case of minor disputes of less than a certain amount, the effect of preventing financial companies from rejecting it (one-sided binding force of dispute mediation) will be introduced into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Due to the nature of financial accidents in which multiple victims of the same or a similar type exi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ollective financial dispute mediation system in terms of litigation economy and use the financial arbitration system as a financial consumer damage relief system. Likewise, it is crucial to introduce and operate a financial consumer damage relief fund system to compensate financial consumers for damages in case of bankruptcy of financial companies. 2021년 시행된 금융소비자보호법은 영업행위규제를 강화하고, 금융소비자의 권익 보호를위하여 소송 이외의 분쟁해결방법으로 분쟁조정절차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지만, 사후적인 피해구제절차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후적 피해구제제도의 문제점으로 논의되고 있는 ① 분쟁조정의 편면적 구속력의 부여, ② 집단분쟁조정제도의 도입, ③ 금융분쟁중재제도의 도입, ④ 금융소비자피해구제기금의 설치?운영 등에대해 검토하고, 그에 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일정한 금액 이하의 소액분쟁사건의 경우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 결과를 금융소비자 쪽에서 수용하면, 금융회사들이이를 거부할 수 없도록 하는 효력(편면적 구속력)을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금융상품에 의해 동일 또는 유사한 유형의 피해가 다수 발생하는 금융사고의 특성상 소송경제적 측면에서 집단금융분쟁조정제도를 도입하고, 금융분쟁 사건의 효율적 해결을 위해 조정제도 이외에도 중재제도의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융회사 파산시 실질적인 사후적 피해구제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금융소비자피해구제기금제도를도입·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가상통화의 법적 규제방안 마련을 위한 종합적 검토- 각국의 동향, 정부안 및 국회의원 발의안을 중심으로

        맹수석,이형욱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2

        In recent years, great attention has been drawn to virtual currencies combining such information technology (IT) as mining and blockchain, rather than based on the existing centralized issuance method, in terms of their stability and their functional possibility as a means of settling payments. However, as virtual currencies are perceived not just as payment instruments but also as investment target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ts clear definition and regulations geared toward user protection. In particular, given the possibility of abusing virtual currencies as a means of money laundering, terrorist financing, tax portal, etc., it is imperative to regulate the field from a public policy perspective, and to formulate measures to protect consumers from high price volatility. Based on the definition of virtual currency,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either instituted regulations already or are paying a close attention to the need for regulation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or instance, have put legal measures in place to protect users against the risks associated with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by: (a) identifying the parties to be regulat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virtual currency and virtual currency exchanges; (b) imposing a set of prudential obligations on virtual currency traders to ensure soundness, such as minimum capital requirement, duty of explanation, disclosure requirement, and duty to document and preserve records; and (c) mandating financial authorities to constantly manage and monitor the virtual money market by providing for active supervisory power. Meanwhile, in Korea, virtual currencies are still in a regulatory blind spot.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joint task force consisting of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centering on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to secure legal stability through regulation of virtual currencies. At the same time, various legislative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tect users through the statutory regulation of virtual currencies, such as the proposal of the legislative bill on partial amendment of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at the National Assembly.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regulatory trends of each country in relation to virtual currencies, and then draw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legal syste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government bill and the bill sponsored by lawmakers. In particular, by conducting an overview of the topic, ranging from the legal definition of virtual currency, to the duties of virtual currency traders, and to the powers of financial authorities, this article seeks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statutory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prospective virtual currency users. It is the authors’ hope that,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 on a par with the global interest in virtual currency, a reasonable and well-grounded set of norms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user protection will be developed in a timely manner. 최근 기존의 중앙집중형 발행 방식이 아닌 채굴(mining)과 블록체인(Blockchain)이라는 IT기술을 접목시킨 가상통화는 지급결제의 수단으로써의 기능 가능성과 안정성의 측면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가상통화에 대한 인식이 지급결제 수단에서 투자의 대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국제적으로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와 이용자 보호를 위한 규제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자금세탁, 테러자금제공, 조세포탈 등의 수단으로의 악용 가능성에 따라 공공적 측면에서의 규제 필요성과 높은 가격변동성에 따른 소비자 피해보호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세계의 주요 각국 역시 가상통화의 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각종 규제 또는 규제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가상통화 및 가상통화거래소 등에 대한 정의를 통하여 규제의 대상을 정하고, 가상통화취급업자에게 최저자본규제, 설명의무 및 정보공개 의무, 기록 및 보관의무 등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각종 의무를 부과하며, 금융당국의 적극적 감독권한의 규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토록 함으로써 가상통화 거래에 수반한 위험으로부터 이용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법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가상통화는 현실적으로 아직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가상통화의 규제를 통한 법적 안정성 확보에 나서고 있고, 국회에도 전자금융거래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발의되는 등 가상통화의 법적 규제를 통한 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각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통화와 관련하여 각국의 규제동향을 먼저 살핀 후, 정부안과 국회의원 발의안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상통화의 법적 정의에서부터 가상통화취급업자의 각종 의무 및 금융당국의 권한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가상통화이용자 보호를 위한 법적 규제의 완성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가상통화에 관한 전 세계적 관심에 부응하는 지속적 논의를 통하여 기술발전의 측면과 이용자 보호의 측면 모두에 합리적이고 타당한 규범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가맹사업의 법적 분쟁과 효율적 규제 방안

        맹수석,정영교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1

        Because franchise businesses is a new type of distribution industry with advantages compared to past distribution methods for both the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 businesses, it has experienced continuous and considerable growth worldwide. Franchise businesses started in Korea in 1979 and as of the end of 2016, there are 4,268 franchise headquarters and 218,997 franchise businesses, thus recording rapid growth. However, because franchise businesses are handed down operations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in its entirety, there has been a stark increase in legal disputes among those involved in the franchise business. In order to remedy this, the Franchise Business Act was enacted and revised a total of six times, but there are still areas requiring legal improvements. This study analyzes problems that occur due to the non-provision of information, provision of false and exaggerated information, failure to return franchise deposits, etc. among the most common legal disputes related to the franchise business.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plans to improve the reg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ranchise business act to prevent disputes in the future. By establishing fair trade orders for franchise business transactions and to prevent legal disputes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franchise businesses to mutually develop as equals. 가맹사업은 과거의 유통방법에 비하여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 모두에게 이점을 지닌 새로운 유통방법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79년 가맹사업이 최초 도입된 이후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런데 가맹본부의 영업을 전적으로 전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가맹사업의 특징으로 말미암아 가맹사업 당사자 간의 법적 분쟁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가맹사업법의 제정 및 6차례에 걸친 개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법적 해결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맹사업과 관련한 대표적 법률 분쟁 중 정보공개서 미제공, 허위․과장된 정보제공, 가맹금 미반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본 후, 분쟁 방지를 위한 가맹사업법상 규제 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가맹사업거래 관계에서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고 법적 분쟁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가맹사업 당사자가 서로 대등한 지위에서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제도적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에 대한 제도적 쟁점과 개선방안

        맹수석,이도희 한국경제법학회 2015 경제법연구 Vol.14 No.3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general management and legal system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Social enterprises started with private businesses on consignment with the intention to offer unemployed people temporary jobs in the public sector.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enacted in 2007 provided the basic framework for promoting social enterprises, creating an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s among business people and researchers in Korea. Now 8 years since the law has been enacted, the analysis and evaluation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state-directed social enterprises needs to improve and support the system of social enterprise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stitutional state of social enterprises, and to offer suggest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s and plans to enhance them by comparing them to the manage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other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현황 및 관련 제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사회적기업제도는 실업자들의 고용기회를 위한 한시적 일자리 제공으로 진행하던 공공근로 민간위탁사업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었고,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과 함께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시행된 지 8년이 지난 시점에서 정부주도의 사회적기업 시행에 대한 제도의 정비 및 개선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현황을 분석․검토하고, 사회적기업 운영 선도국가들의 제도를 비교․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이 국가 및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성을 담보한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한 정책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한 회사법제의 입법 필요성 검토 -대·중소회사 구분입법을 중심으로-

        맹수석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30 No.2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mpanies in Korea, corporations account for about 95% and among them, non-listed small-scaled closed corporations account for 99.7%. However, the corporation system originally targeted large, listed companies open to the public, and the Commercial Act stipulates stricter regulations that other types of companies regarding overall business activit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orporations. The problem is that by applying most of the same Commercial Act regulations as that of large companies open to the public to small closed corporations, it not only causes great discomfort to small and medium companies, but it also creates a vacuum in legal regulations. Furthermore, the rules that regulate company relations are scattered among various laws including ‘Commercial Act Volume 3’, ‘Capital Market Act’, and the ‘Outside Auditor Act’, thus resulting in issues such as conflicting legal regulations and difficulty for understan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regulations related to companies of Commercial Act Volume 3 from the commercial law books and legislate it as a special law that fits the ideologies or goals pursued by the Company Ac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are overwhelmingly more small closed corporations with capital of less than 1 billion KRW, the Company Act system should target small closed corporations, while prescribing special rules for large corporations open to the public. At this time, it would be feasible to differentiate large companies and small/medium companies based on whether it is listed (public) and the total sum of capital and assets. 우리나라의 경우 여러 회사 유형 가운데 주식회사가 약 95%를 점하고 있고, 이 가운데 비상장의 소규모 폐쇄주식회사가 99.7%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다. 본래 주식회사제도는 대규모의 상장·공개회사 형태를 상정하고 있는데, 상법은 회사채권자나 투자자 보호 등의 측면에서 주식회사의 설립과 운영 등 전반적인 경영활동에 대해 다른 회사 형태에 비해 엄격하게 규율하고 있다. 문제는 소규모 폐쇄주식회사에 대해서도 대규모 공개주식회사와 동일하게 대부분의 상법 규정이 적용됨으로써 중소기업들이 겪는 불편이 클 뿐만 아니라, 법적 규제공백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회사 관계를 규율하는 규정들이 현행 ‘상법 제3편’ 이외에도 ‘자본시장법’과 ‘외부감사법’ 등 여러 법률에 산재되어 있어 각 법규정 간의 상호충돌 및 수범자의 이해 곤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법 제3편의 회사 관련 규정을 회사법이 추구하는 이념이나 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상법전에서 분리하여 단행법으로 입법할 필요가 있다. 회사법을 단행법화할 때 소규모 폐쇄주식회사가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에서 회사법 체계를 기본적으로는 소규모 폐쇄주식회사를 적용 대상으로 하고, 대규모 공개주식회사에 대해서는 별도의 특칙 형식으로 규율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소규모 폐쇄주식회사에 대해서는 회사의 기관 등 현행 상법 규정을 완화하여 적용하되, 대규모 공개주식회사에 대해서는 투자자 보호 등의 측면에서 엄격하게 규율함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금융소비자보호법상 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편면적 구속력과 집단분쟁조정제도를 중심으로 -

        맹수석 은행법학회 2020 은행법연구 Vol.13 No.2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enacted on March 5, 2020 is expected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through subscription withdrawal rights and rights to nullify illegal contracts of financial consum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inancial dispute mediation system, effectiveness of dispute mediation is being strengthened by implementing a suspension program of pending lawsuits and mediation breakaway system for small sum cases when applying for dispute mediation like in the past. However, while the need for one-sided binding power, implementation of group dispute systems, etc. for mediating results of the dispute mediation committee when enacting laws was raised, they were not legislated, and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ex post facto damage remedy of financial consumers. Therefore, considering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complet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nd damage remedy plans so that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is executed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effectively, this study provides supplementation plans for ex post facto damage remedy systems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 Act designates a dispute mediation system so that financial consumers can receive relief without going through lawsuits, but there are no binding power regulations on the dispute mediation results, and therefore, it still has an incomplete dispute resolution structure. Thus, when the financial consumer accepts the results of the dispute mediation to allow final dispute resolu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one-sided binding power of dispute mediation that binds financial companies. However, there is the potential to infringe upon the rights of court judgments for financial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first recognize binding power against the financial company for cases under a specified amount (20 million KRW). Also, a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financial consumer damages occur on multiple financial consumers from the same or similar types of financial produc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d operate a financial group dispute mediation system such as consumer group dispute mediations. In this case, when the financial consumers who filed for group dispute mediation accept the results of the dispute mediation, one-sided binding power in which the financial company must accept should be recognized. 2020. 3. 24. 제정된 금융소비자보호법은 금융소비자의 청약철회권 및 위법한 계약해지권의 도입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를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 특히 금융분쟁조정제도에 있어서도 종래와 달리 분쟁조정 신청시 진행 중인 소송절차의 중지제도 및 소액분쟁사건에 대한 조정이탈제도의 도입을 통해 분쟁조정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법률 제정시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결과에 대한 편면적 구속력 부여, 집단분쟁조정제도의 도입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입법화되지 못함으로써 금융소비자의 사후적 피해구제에 여전히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완비된 금융소비자보호 및 피해구제책을 마련하여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입법 취지에 부합되고 실효적으로 시행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사후적 피해구제제도의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은 소송을 통하지 않고 금융소비자가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분쟁조정제도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분쟁조정 결과에 대한 구속력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여전히 불완전한 분쟁해결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종국적 분쟁해결이 가능하도록 금융소비자가 분쟁조정 결과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금융회사를 기속하는 분쟁조정의 편면적 구속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이를 인정할 경우 금융회사의 재판을 받을 권리 침해라는 문제가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일정 금액(2천 만원) 이하의 사건에 대해 구속력을 인정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금융소비자피해는 동일 또는 유사 유형의 금융상품으로부터 다수의 금융소비자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므로 소비자집단분쟁조정과 같은 금융집단분쟁조정제도의 도입·운영도 필요하다. 이 경우 집단분쟁조정에 참가한 금융소비자들이 분쟁조정 결과를 수락하면 금융회사는 이를 따라야 하는 편면적 구속력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