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늘날 이웃사랑은 어떻게 가능한가: 지젝의 이웃사랑의 윤리를 중심으로

        마상룡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3

        이 논문의 목적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이웃사랑의 계명이 오늘날 현대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지젝의 이웃사랑의 윤리의 관점에서 논구하는 것이다. 지젝은 올바른 이웃사랑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상징질서를 매개로 이웃의 근본적 타자성과 관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상징 질서의 규제를 받게 되어 기표의 힘에 압도당하는 이웃의 차원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 등 사회체제에서 배제되거나 억압당하는 이웃의 차원을 동시에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타자가 아니라 이웃의 이웃인 제3자를 사랑함으로써 제3자가 나의 이웃사랑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마주하는 가까운 이웃까지도 사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웃사랑의 현대적 의미는, 현대인은 상징적 규범이 강제하는 획일성과 존재의 위계체계에 갇히지 않은 채 주체의 나르시시즘적 자아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윤리적 주체와 사랑의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 이웃사랑이 가능한 새로운 윤리의 현실 세계를 개척해 나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at the commandment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means to us today and how we can advocate it in terms of Žižek’s ethics of neighbor-love. Žižek insists that we must accept the fundamental otherness of neighbor through the symbolic order, if we will bring the neighbor-love to a completion. We must also love not only the neighbors who are regulated by the symbolic order and so overwhelmed by the ‘signifiant,’ but also those who are excluded or oppressed from the social system. And we must love the third party, the neighbors of neighbor, who are not facing us personally. It allows them not to be excluded from our neighbor-love and at the same time make us love close neighbors. The modern meaning of neighbor-love is to treat those who are excluded from social order(for example, laws and institutions) as members of equal rights and to love them as neighbors. With this neighbor-love, modern people can escape from the narcissistic self-structure of the subject and form a relationship of love with new ethical subjects, without being locked in the uniformity enforced by the symbolic norms and the hierarchical system of existence. And then, based on this, we will be able to open a new ethical real world where the neighbor-love to each other can be realized.

      • KCI등재

        지젝의 기독교 비판: 도착적 주체의 신앙에서 기독교적 주체의 신앙으로의 전환

        마상룡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oints of Christianity as a religion and critiques on it, with the perspective based on Slavoj Žižek and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of him. According to Žižek, the philosophical core of Christianity is a form of thinking that shows how intrinsic transcendence is possible. Today, however, Christianity is deviating from the right way into faith and thought perverted that makes impossible to think and be deeply religious. In order to revive the fundamental faith and Christianity as a religion in modern society, in which filled with capitalism and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reconstitute existing Christianity, which is fixed and shaped as a ritual of worship, as “Becoming-in-Christianity.” This means the transition from the faith of a perverse subject to the faith of a christian subject. The faith of the Christian subject aspires toward way of existing to make life and community in love by reviving as a subject of love after meeting with the real in the name of the Holy Sprit so called love. It can be happened after getting rid of way from a faith of perverse subject, which makes him/herself supporter of social structure by being seized by ideological fantasy of old social order. 이 논문의 목적은 슬라보이 지젝의 기독교에 대한 관점과 이해를 바탕으로 기독교의 종교적 핵심과 그에 대한 비판의 내용을 해명하는 것이다. 지젝에 따르면 기독교성의 철학적 핵심은 내재적 초월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보여주는 사유형식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기독교는 그러한 기독교성의 사유와 신앙을 불가능하게 하는 도착적 신앙과 사유형식으로 타락해 가고 있다. 사라진 대타자의 자리를 자본과 소비로 채우는 현대 사회에서 기독교의 근본적인 신앙심과 종교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예배 의례로 고착화(固着化)되고 형해화(形骸化)된 기존의 기독교를 ‘생성-중인-기독교’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 도착적 주체의 신앙에서 기독교적 주체의 신앙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기독교적 주체의 신앙은 기존의 사회질서의 이데올로기적 환상들에 사로잡혀 자신을 사회구조의 충실한 받침대로 삼는 도착적 주체의 신앙방식에서 벗어나, 사랑의 성령이라는 실재를 만나서 사랑의 주체로 거듭남으로써 사랑의 삶과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존재방식을 지향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인격 발달과 그 교육적 함의: 자아와 주체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마상룡,신창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1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perspective of post modern education and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Jacques Lacan deeply considered social order as otherness of a person, person's unconsciousness as person's consciousness and the otherness, and the Real as otherness of social order. Especially, h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ness and subject of stages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d the process of forming subject which human beings can be developed during lifetime. It is a kind of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Jacques Lacan's self-form and subject-form can be explained mostly as three kinds. This faced with the Imaginary-the Symbolic-the Real as three order composing the world of his mind. Human beings' mind goes by the process of imaginable self-form called the mirror stage, is changed to forming symbolic-subject where Oedipus complex and the process of being isolated is core content, and ultimately proceeds to self-form for desire. Human beings are sublimated to one person through this process of forming self and subject. Here, education is exposed as the work of learning the social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cess and of cultivating the ability of enjoying over it at the same time. It is the work of cultivating the ability training subject with otherness and of opening ego identity to otherness. 본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과 탈근대 교육의 관점에서 인격 발달과 형성의 문제를 탐색한 것이다. 라캉은 개인의 타자성인 사회질서, 개인의 의식과 그 타자성인 개인의 무의식, 사회질서의 타자성인 실재계에 대해 깊이 있게 사유했다. 특히, 인간이 전 생애를 통해 발달시키는 주체의 형성 과정과 그 특징을 통해, 각 단계의 주체와 타자성이 맺는 관계에 주목한다. 그것은 일종의 인격 발달 과정이다. 라캉의 자아 형성과 주체 형성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그의 정신세계를 구성하는 세 가지 질서, 즉 ‘상상계’-‘상징계’-‘실재계’와 맞닿아 있다. 인간의 정신은 거울 단계로 불리는 상상적 자아형성의 과정을 거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소외의 과정을 핵심내용으로 하는 상징적 주체의 형성으로 전환되고 궁극적으로 욕망의 주체 형성으로 나아간다. 이런 자아와 주체의 형성 과정을 통해 인간은 하나의 인격체로 승화한다. 여기에서 교육은 그 과정의 특성에 따라 사회적 가치를 습득해 누리고, 동시에 그것을 넘어 향유하는 능력을 길러가는 일로 드러난다. 즉 자아 동일성을 타자성에 개방시키고 타자성과 함께 주체성을 일구어나가도록 하는 힘을 양성하는 작업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