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인화를 통한 한·중·일 현대 포스터 비교연구

        리신린 ( Li Xinl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20세기 이후, 현대 시각 문화 분야에서는 자아를 발견하고 자아를 새롭게 인지하며 새로운 관점과 시각, 그리고 새로운 표현 방법으로 동양문화를 나타내는 트렌드가 나타났다. “학문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자신의 즐거움을 위한 것이다 (不學爲人,自娛爲己)1)”는 말이 보여주듯이 이는 문인 사대부들이 자신의 정서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그림을 통해 나타내는 문인화의 핵심 주장과 맞아떨어진다. 문인화의 예술 형식은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분석되며 정의되고 있다. 그중 다수의 훌륭한 작품들은 문인화의 표현 형식을 요소로 삼아, 시각디자인에서 디자인 언어를 현지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인화의 형식과 관점을 융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인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성장여건, 신분과 특징, 사상, 필묵과 색채, 제재(題材), 기능 등 6가지 측면에서 한·중·일 전통 문인화에 대해 비교 분석했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현대 디자인에서의 공통적인 특징과 차이점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포스터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기로 한다. 아시아 사상의 흐름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전통적인 그래픽 표현 매체에서 동서양의 명확한 차이가 생겨나게 되었다. 일부 현대 포스터에는 동양 특유의 양식이 담겨 있고, 그들 공통의 뿌리를 찾는 것이 중요해졌다. 끝으로 한, 중, 일 현대시각디자인 분야에서의 대표적인 인물의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을 통해 디자인에서의 현대 문인화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대 시각 문화 분야에서 아시아의 시각디자인 작품에는 공통적인 양식이 존재하는 동시에 각국의 문화 차이로 시각적 특징의 다름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문인화 개혁 이후 포스터 디자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인화의 발전 특징과 한·중·일 포스터의 ‘다름’과 ‘같음’, 그리고 그 맥락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한·중·일 문인화인 포스터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촉진하여 앞으로의 동아시아 시각 원형탐구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After the 20st century, the trend of expressing the Eastern culture by discovering self, newly perceivingself, and based on new viewpoint and sightemerged in the modern visual culture sector.The saying "Studying is not for others but for one's own pleasure." coincides with the key arguments of literati paintings through which literary noblemen tried to express their emotions. The artistic forms of literati paintings are being ceaselessly reinterpreted, analyzed, and defined in the visual design sector. A number of excellent works are localizing design language in visual design and converging forms and viewpoints of new literati paintings by having expression forms of literati paintings as an el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mparatively analyze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six aspects including background,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ainter, pen and ink and ideology, color, theme, and function. In addi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t the posters which are deemed to hav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modern design as the study targets. With the development of Asian ideologies,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ppeared in traditional graphic expression media. Some modern posters contain typical Eastern styles and discovering their roots has become important. Lastly, the elements of modern literati paintings in design were examined by selecting the works by leading figures in the modern visual design field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study outcomes, Asian visual design works have both common styles and different visual style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Such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same manner in postern designs after the literati painting revolu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iterati paintings, 'differences' and 'sameness' of poster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ir context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in exploring original East Asian visual design in the future since this study has promoted poster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i paintings and suggested development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