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의 주석 내용에 대한 오류 검토 연구

        류화송(Hwa-song Ruy)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본고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편찬한『한국한자어사전(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 특히 국자(國字)에 대한 주석 내용에 있어서 그 오류를 검토한 것이다. 필자가 본 사전을 이용하면서 몇몇 표제자와 그에 대한 주석 내용에서 약간의 오류를 발견한바, 이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사전의 주석 내용을 전체적으로 살펴, 오류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에 대하여 재검토하고 재정리하는 일은 누군가 필수적으로 해야만 하는 것이다. 필자는 바로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진행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한국한자어사전』에 수록된 국자에 대한 주석 내용을 조사 정리하고, 발견된 오류들을 재검토하여 그 오류를 바로잡는데 있다. 연구의 내실을 다지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본 사전에 수록된 ‘국자’와 그에 대한 주석만으로 한정하였다.‘국자’로 선정된 표제자와 그에 대한 주석을 살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국자 선정과 분류에 대한 오류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사전에 수록된 국자는 모두 201개였다. 그런데 한국고유한자에 대하여 연구한 기존 학자들이 분류한 국자와 비교해본 결과, 본 사전에서 선정한 국자와는 약간의 출입이 있었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최대한 참고하여 국자 선정에 있어서 재고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표제자 중복 수록과 누락된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한자가 중복 수록 되었다. 그 가운데 ‘奈’은 1권 1105쪽과 2권 1033쪽, ‘羘’은 3권 838쪽과 3권 896쪽에 각각 중복 수록되었고, 2권 323쪽에서는 표제자가 누락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편찬 작업 과정에서 정밀한 대조와 교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데서 기인한 실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수는 사전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셋째, 오해를 일으키는 자원 설명과 육서 유형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사전에서 육서의 유형을 규정하여 명기한 것은 상형자(象形字) ‘亇’ 1개, 회의자(會意字) ‘侤’ 1개, 형성자(形聲字) ‘ ’와 ‘垈’ 2개에 그친다. 이것으로 미루어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해 볼 수 있었다. 본 사전은 표제자에 대하여 육서(六書)에 의한 제자원리로 자원(字源)을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명기된 유형의 숫자가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적다는 점이다. 또한 회의자와 형성자에 대한 자원 설명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자원 설명은 표제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정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표제자 이해를 도와야할 자원 설명이 모호하다면 오히려 표제자 이해에 방해가 될 것이다. 넷째, 주석 예문과 표제자의 상관성과 일관성이 요구되고, 예문 출전의 판본을 명기해야하는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표제자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예문을 제시하면서 각각 그 표제자에 대하여 ‘ ’은 약자(略字)로, ‘ ’은 속자(俗字)로 분류한 것이 발견되었다. 예문은 표제자의 쓰임을 통해 표제자를 이해하게 하고, 색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예문과 표제자에 있어서 그 상관성과 일관성이 상실되면 그 한자(漢字)에 대한 이해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이는 나아가 본 사전에 대한 신뢰성마저 떨어뜨리게 한다. 따라서 이는 반드시 바로잡아야할 부분이다. 또한 ‘巭’와 ‘ ’의 경우, ‘ ’는 ‘巭’의 속자라고 밝히면서 공교롭게도 제시한 예문은 ‘巭’에 제시된 예문과 완전히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예문 출전의 판본이 명기되어 있지 않아 표제자 이해에 혼란이 야기되는 경우였다. 이것 또한 반드시 교정되어야할 점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한국한자어사전』의 흠을 찾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본 사전이 더 완성된 사전으로 거듭나는데 미흡하나마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필자의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힌다. This thesis examines errors with the annotations on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the Sino-Korean characters included in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 (韓國漢字語辭典) published by Dankook University Academy of Asian Studies. Since I have found errors in some of the dictionary's head words and their annotations, I believe their correction is necessary. So, a thorough examination of all the annotations in the dictionary is required to review and collect errors and possibly misleading contents. In this light, the current study has been conducted out of such dire ne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llect the annotations on the Korean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to review the discovered errors and correct them. For robust substantiation,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ir annotations included by the dictionary. First, I have checked for any errors with the selection of the Sino-Korean characters. The dictionary includes a total of 201 Sino-Korean characters. But a comparison with the Sino-Korean characters previously collected by scholars of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characters shows some variance with the Sino-Korean characters selected for the dictionary. To address the variation, the research by scholar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the Sino-Koean characters. Second, I have checked for any omission or repeat of head word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㭐’ is found twice on p. 1105 of Vol. 1 and p.1033 of Vol. 2, and ‘羘’ on p.838 of Vol. 3 and p.896 of Vol. 3. while a chinese character is omitted as head word on p.323 of Vol. 2. These appear to be errors made from the failure to perform a thorough comparison and proofreading. But such errors greatly impair the credibility of a dictionary. Third, I have checked for any possibly misleading etymological explanations or regulations on the six methods. The dictionary limits its classification into the six methods to one ideogram, one combined ideogram, and two radical plus phonetic characters. And this fact has led to the following criticism. When the dictionary provides etymology on its head words based on the character formation principle of six methods, the number of entries provided with such information is too small to sound convincing. Moreover,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explanation for combined characters and racdical plus phonetic characters. Etymology helps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head words. If etymology that shoul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a head word turns out ambiguous, it should rather hamper it. Fourth, I have checked for any instances that require correl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the examples in the annotations and the head words as well as disclosure of the editions of the literature from which the examples are taken.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one same example is provided for two entries of ‘ ’ and ‘ ’ of which the former is defined as the simplified form while the latter as the popular form. Examples are important in that they help understand head words by showing their usage and also serve as part of the index. If examples and head words lose correlation and consistency, it hampers a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will eventually impair the credibility of the dictionary. In such light, the issues must be properly addressed. In another case, while ‘ ’ is given as the popular form of ‘巭’, the examples given for the two entries are exactly the same. This causes confusi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head words, as editions are not provided for the literature from which the examples are taken. This study is designed not to find fault with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 but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the dictionary toward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