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계교란식물의 부산광역시 분포 실태

        류태복(Tae-Bok Ryu),임정철(Jeong-Cheol Lim),이철호(Cheol-Ho Lee),김의주(Eui-Ju Kim),최병기(Byoung-Ki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4

        부산광역시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식물에 대해 종 다양성과 분포현황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산광역시에는 10종의 생태계교란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집괴분석을 통해 미국쑥부쟁이 우점군락, 가시상추 우점군락, 돼지풀 우점군락, 애기수영 우점군락, 도깨비가지 우점군락 등이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우점군락 내에서 다른 생태계 교란식물이 함께 혼생하는 경향을 보여, 유사한 서식처를 공유하고 있는 것올 밝혀졌다. 부산시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경향을 보이는 종은 가시상추(16개 구)이며, 돼지풀(11개 구), 미국쑥부쟁이(11개 구), 애기수영(10개 구) 등이 넓은 분포를 보였다. 행정구역 중 가장 다양한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강서구(8종)와 북구(8종)이며, 인위적 간섭이 높으면서 다양한 서식처가 존재하는 지역들로 확인되었다. 부산광역시의 종별 서식처 환경정보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부산광역시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현황파악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와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diversity and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South Korea. According to our results, we discovered 10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distributed in Busan, demonstrating that this urban area has a high domestic plant diversity. A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dominant communities of Aster pilosus, Lactuca serriola, Ambrosia artemisiifolia, Rumex acetosella and Solanum carolinense were highly similar in species composition. Different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tended to occur together in dominant communities,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shared habitats. The most extensively distributed species in Busan were Lactuca serriola (16 districts), followed by Ambrosia artemisiifolia (11 districts), Aster pilosus (11 districts) and Rumex acetosella (10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the most diverse invasive alien plants were Gangseo-gu (8 species) and Buk-gu (8 species), which are both areas with high human interference and diverse habitats. Ad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llected for these species’ habita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Busan and can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invasive plants.

      • KCI등재

        고창 운곡습지의 식물군락 다양성과 분포 특성

        김종원,이승은,류태복,Kim, Jong-won,Lee, Seung-eun,Ryu, Tae-bok 한국하천호수학회 2017 생태와 환경 Vol.50 No.3

        습지보호지역인 전북 고창 운곡습지의 현존식생에 대한 군락분류와 군락분포를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국제식생명명규약에 따라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서식처 기반의 식생 다양성은 침수식생으로부터 연목림식생에 이르기까지 7가지 상관식생형에서 총 88분류군으로 이루어진 12가지 단위식생이 분류되었다: 버드나무-골풀군락, 선버들-이삭사초군집, 달뿌리풀-갈퀴덩굴군락, 갈대군집, 매자기군집, 애기부들-나도겨풀군락, 골풀-별날개골풀군락, 나도겨풀군집, 마름-어리연꽃군집 (전형아군집과 네가래아군집(신칭), 가시연꽃변군집 포함), 연꽃군락, 참통발군락, 말즘군집. 축척 1 : 5,000의 지형도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 공간분포를 기재하였다. 산간 선상지 습지를 포함한 배후습지와 원수대식생역의 서식처-단위식생 대응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운곡습지 생태 관리의 바탕 정보를 제공한다. The Ramsar protected area in Ungok wetland, which has been designated since 2011, was described by syntaxonomy and synchorology. Phytocoenon was identified and named by a traditional method of the $Z{\ddot{u}}rich$-Montpellier School and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Habitat-based vegetation classification has identified into twelve syntaxa consisting of 88 taxa in seven vegetation types: Juncus effusus var. decipiens-Salix koreensis community, Caricis-Salicetum subfragilis,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Phragmitetum australis, Scirpetum fluviatilis, Leersia japonica-Typha angustifolia community, Juncus diastrophanthus-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Leersicetum japonicae, Nymphoido indicae-Trapetum japonicae (typicum, marsiletosum quadrifoliae subass. nova hoc loco, variante Euryale ferox), Nelumbo nucifera community, Utricularia tenuicaulis community, Potamogetonetum crispi.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by using topographical map of scale 1 : 5,000. Habitat-based management on the Ungok wetland vegetation was required, in which there are composed of two major areas such as the back-swamp vegetation and the limnetic vegetation zone.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최병기 ( Byoung Ki Choi ),류태복 ( Tae Bok Ryu ),김종원 ( Jong Wo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5 생태와 환경 Vol.48 No.1

        There is no willow riparian vegetation in Jeju Island, Korea. Instead, a genetically-isolated population of Adina rubella is found in some parts of the riparian system. We describe its syntaxonomy and synecology. A total of 27 phytosociological releves were collected, 11 releves from 91 sites and 16 releves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relevant materials. Data were analyzed by traditional Braun-Blanquet method and multivariate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New syntaxa are distinguished, Adinion rubellae all. nov. and its type association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 with two subassociations, typicum and rhododendretosum poukhanensae.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 was discarded owing to mismatch of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Adina and Rhododendron phytocoena. The alliance Adinion is Jeju’s regional and 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occurring in pothole and rock crevice where are independent on ground-water table. We also suggest a revised alliance,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 in Korean peninsula, as a corresponding syntaxon to Adinion, which completely differs from Phragmito-Salicion. Finally we pointed out that Adina phytocoena requiring an absolutely monitoring has been threatened by river maintenance project of local government.

      • KCI등재

        한국 마을숲 생태계 취약요소 발굴 및 취약성 평가

        임정철 ( Lim Jeong-cheol ),류태복 ( Ryu Tae-bok ),안경환 ( Ahn Kyeong-hwan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4

        마을숲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한국 전통 마을경관의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다양한 영향으로 많은 수의 마을숲이 소실되었거나 쇠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적, 문화적, 생태적 다양한 보전가치를 가진 마을숲의 체계적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499개의 마을숲에 대하여 구성 식물종 및 서식처, 입지 특성 등을 바탕으로 국내 마을숲에 대한 생태학적 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을숲 생태계를 위협하는 대표적인 6가지 범주의 위협요인을 발굴하고 각 요인별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마을숲 생태계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해 위협요인별 가중치 평가를 AH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평가결과 6가지 범주 가운데 면적 축소가 국내 마을숲의 존립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지목되었다. 그 다음으로 지형, 토양환경 변화가 마을숲 생태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위협 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식생의 구조와 질적 변화는 서식처 변화보다 마을숲 소실 및 쇠퇴에 낮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요인별 가중치를 바탕으로 100점을 최고점으로 수치를 환산한 평가틀을 이용하여 마을숲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국내 마을숲의 취약성 평가결과 가장 빈도 높은 값을 보이는 등급은 Ⅲ등급이며, 낮은 등급에서 높은 등급으로 정규분포 경향을 보였다. 높은 자연성을 보이는 Ⅰ등급의 마을숲이 38개소 존재했으며, 취약요인들에 의해 마을숲 존폐를 위협받는 Ⅴ등급의 마을숲도 10개소 확인되었다. 각 마을숲별 취약성 평가결과에서도 국내 마을숲의 지속가능성 보장을 위해 마을숲 고유의 면적 회복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었다. 국가 중요 생태자원으로서 각각의 취약요소별 국가수준의 생태적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aeul-soop(Village forest) is a key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landscap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However, a number of Maeul-soops have been lost or declined due to various influences since the modern age. For this Maeul-soop that has a variety of conservation values including historical, cultural and ecological ones, attention and efforts for a systematic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aeul-soop are need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ecological restoration and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of Maeul-soops based on component plant species, habitat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499 Maeul-soops spread throughout Korea. Major six categories of threat factors to Maeul-soop ecosystem were identified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was evaluated. For the evaluation of weight by threat factors for the influence on the vulnerability of Maeul-soop ecosystem, more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method. In the results of evaluation using AHP analysis method, reduction of area, among six categories, was spotted as the biggest threat to existence of Maeul-soops. Next, changes in topography and soil environment were considered as a threat factor of qualitative changes in Maeul-soop ecosystem. Influence of vegetation structure and its qualitative changes on the loss or decline of Masul-soop was evaluated to be lower than that of changes in habitat. Based on weight of each factor, the figures were converted with 100 points being the highest score and the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Maeul-soop was conducted with the converted figures. In the result of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Maeul-soops, grade III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a normal distribution was formed from low grade to high grade. 38 Maeul-soops were evaluated as grade I which showed high naturality and 10 Maeul-soops were evaluated as grade V as their maintenance was threatened. Also in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each Maeul-soop, restoration of Maeul-soop`s own area was found as top priority to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Maeul-soop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ed to prepare a national level ecological response strategy for each vulnerability factor of Maeul-soop, which was important national ecological resources.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국가 식생보전등급 평가기법과 그 적용

        김종원 ( Jong Won Kim ),최병기 ( Byoung Ki Choi ),류태복 ( Tae Bok Ryu ),이경연 ( Gyeong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존식생의 구조는 서식처의 역사성과 자연성을 정밀하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진단종을 통한 식생분류와 식생단위 체계화는 지역 생태계에서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양적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생태 선진 국가들이 국토관리를 위해서 식생정보를 활용하는 까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2년부터 녹지자연도(綠地自然度) 평가를 중심으로 생태자연도(生態自然圖)를 법적으로 고시하여 국토의 건전한 개발과 보전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수단은 그 평가 항목과 기준이 개념적 정의 수준에 그치고 있음으로써 연구자들 간의 상이한 평가기준 적용과 지역 간 생태자연도의 평가기준 불명확성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 식생자원의 다양성과 그 가치 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가 식생자원 평가 수단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할 수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가기법의 개발에 관한 2012년도 국립환경연구원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서개발 연구용역 수탁과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다항목식생평가기법」(Multicriterion-Matrix Method on Vegetation Assessment)으로부터 진화한「국가식생보전등급」(NVC: National Vegetation Class)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판정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2012년까지 기재된 신뢰도 (fidelity) 높은 단위식생 (syntaxa)을 이용하여 「국가주요식생자원」발굴을 시도하였다. 「국가식생보전등급」은 식생복합체 (상관식생형, 개개 식생조사구, 유형화된 단위식생, 삼림형 등)의 잠재성 요소 평가와 현존성 요소 평가의 조합 (combination)과 순차적 (ordinal)적용으로부터 생성된다. 잠재성 요소 평가는 평가대상 현존식생의 군락생태학적 내재 특성을 포함하는 식생 기원의 자연성 (vegetation origin)과 복원성 (resilience) 정보에 의존하고, 현존성 요소 평가는 평가 대상 현존식생의 보전생태학적 실체적 특성을 포함하는 희귀성 (rarity)과 종조성(weighted species) 정보에 의존한다. 1) 식생기원의 자연성은 잠재자연식생을 정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의 유지 및 발달에 인위적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 2) 복원성은 식생 발달과 회복능 (syndynamic and resilience)에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적 길이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3) 희귀성은 식생의 수직적 (해발고도) 수평적 (위도) 지리분포 양상 정도(extent)를 평가한다. 4) 종조성은 목록화 된 국가 중요 식물종의 존재유무를 평가한다. 여기서 국가 중요 식물종이란 i)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과 II급, ii)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우선 보존대상식물, 멸종위기 보존 후보종, iii) 생태학적 종보전등급 6점 이상의 ‘절대감시 주요감시대상종’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국가식생보전등급」을 이용한 사례 분석에서 우리나라에 현존 분포하고, 정당하고 유효하게 기재되어 있는 식생자원으로부터 국가적 보호 식생자원 즉 「국가주요식생자원」총 268개가 일차적으로 발굴되었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국가주요식생자원」을 포함한 미등재 식생자원의 지속적인 발굴과 생태학적 정성화 (定性化) 그리고 이들에 대한 국가적 법제도적 관리전략의 성취가 후속과제로 남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문헌자료 (국가기관보고서, 학회투고논문, 학위논문 등)를 활용하여 신뢰도 높은 모든 유형의 단위식생 (군락 및 군집수준; 하위단위 포함)을 추출, 다양성을 발굴하였다. 기재된 이들 단위식생들의 질적 속성을 고려하여 식생단위체계를 구분하였으며, 분류된 단위식생에 대해 「국가식생보전등급」(National Vegetation Class)을 적용하였다. 총 405개의 문헌자료에서 획득된 476개 단위식생을 활용하였다. 선행문헌의 분석 결과, 국내에 보고된 단위식생의 다양성은 12개 군계, 45개 상관식생형의 476개 단위식생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국가식생보전등급」 평가 결과 「국가주요식생자원」으로 인정되는 절대감시 1급, 2급과 주요감시 1급, 2급의 식생자원이 발굴되었다.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80개 단위식생 (17개 중복단위 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절대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 염습지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등에서 168개 단위식생 (67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주요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12개 단위식생 (84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주요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인공조림식생 등에서 135개 단위식생 (59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자연도의 1차적 적용사안으로 고려되는 ‘식생보전등급’ 분류기준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가 식생 자원에 관한 연구가 삼림식생형에 편향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식생형의 본질적 특성으로부터 본래부터 군락의 분포와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특이식생형이 국가식생자원 평가에서 크게 누락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인문역사와 자연역사를 반영하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발굴이 중요 우선과제로 대두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