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리즘 관련 소프트 스킬의 측정 및 예측 모형 탐색

        류청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a regression model of soft skills related to holism using a test of ‘the 79 soft skills’ (Cheong-san, 2016).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63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and 346 students at teachers college, and analyzed by multiple response, data exploring,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IBM SPSS Statistics 25.0 was employ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The criteria variable was composed of the 5 soft skills that were selected by the analysis of multiple response. The dependent variable was made up of the 25 soft skills which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the criteria variable at levels higher than r=.500. The 10 independent variables with high β values were extrac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25 soft skills: realistic, persistent, courageous, innovative, resourceful, effective, experienced, professional, penetrating, and perceptive, in descending orde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 The 4 predictive models composed of 5, 7, 9, and 10 soft skills were designed. their R squares were .853, .892, .909, and .912, with Cronbach’s α is .821, .862, .887, .900, respectively. Therefore, future research may benefit from the convergence between these models and the area such as STEM, integrated education, programming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or life long education. Also, a questionnaire set should be composed to have more than 5 soft skills that researchers want to measure. 이 연구는 홀리즘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소프트스킬을 탐색해보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류청산이 개발한 ‘79 소프트 스킬’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지난 4년 동안 수집된 1,210개의 누적 데이터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표본은 초등학생이 71.4%, 교육대학교의 대학 및 대학원 학생이 28.6% 구성되었다. 5개의 소프트 스킬로 지표변인을 구성하였으며, 지표변인과의 상관계수가 .500 이상인 25개의 소프트스킬이 종속변인을 구성하는데 이용되었다. 그리고 25개의 소프트 스킬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차례 실시하여 단일요인으로 압축된 10개를 예측모형의 최종적인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는데, 여기에서 요인의 설명력은 52.947%로 10개의 소프트스킬들 중 적어도 5개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며, 이 문항들을 홀리즘 검사도구로 활용할 경우의 신뢰도는 α=.9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5, 7, 9, 10개의 소프트스킬을 활용하여 측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 4개의 모형에 의한 설명력은 순서대로 .853, .892, .909, .912로 비교적 우수하였으며, 각 모형들의 신뢰도 역시 순서대로 .821, .862, .887, .900으로 설명력과 신뢰도 모두 홀리즘을 예측하고자 하는 소프트스킬의 수에 비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10개의 소프트스킬들 중에서 무작위로 5개씩을 선정하여 신뢰도 검증을 반복 실시하였을 때에도 Cronbach’s α값은 .81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4개의 홀리즘 예측 모형과 융합교육, 통합교육, 코딩교육, 협동학습, 평생학습 분야의 연계방안에 관한 후속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습자의 생활 연령과 문해 수준 등을 고려하여 4개의 모형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10개의 소프트 스킬 들 중에서 최소 5개 이상을 선정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소프트 스킬을 이용한 실과 교과역량의 예측 모형 탐색

        류청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2

        이 연구는 소프트스킬을 이용하여 실과교과역량의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압축된 요인들을 예측 할 수 있는 모형을 탐색해보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과 교과의 성격과 목표를 학습한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의 교과역량에 대한 다 중응답분석을 실시하여 4개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4개의 교과역량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4개의 교과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소프 트스킬을 각각 10개씩 선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검 증된 소프트스킬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함께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 으며, 학습활동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10개의 소프트스킬로 구성된 4개의 교과역 량별 검사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류청산(2016a)이 개발한 ‘79 소프트스킬’ 측정용 질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지난 4년 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고 누적된 1,210명의 자료 가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이 자료는 초등학생 864명(71.4%)과 대학(원)생 346명(28.6%)으로 구성되었다. 교과역량별로 선정된 10개의 소프트스킬에 의한 교과역량 요인의 설명력은 48.5~54.5% 범위에 있었으며, 소프트 스킬별 제거지수의 범위는 1.3% 이내로 비교적 균질하였 다. 또한 예측 모형의 설명력도 84.0~90.3%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4개의 교과역량 요인별로 중 복되는 소프트스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tract the common factor for specific competencies of practical arts subject, to explore regression model of extracted common factor. 4 indicators such as problem solving, independent living, relationship building, technology practical use were chosen by multiple response analysis. Finally, 10 soft skills for each indicator were selec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questionnaire sets were developed and regression model were designed for key competencies. Coefficients used in factor analysis were factor loading, communality, factor scores between skills and specific competencies, and Cronbach’s α.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64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with 34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 a teachers college for the last four years. Extraction sums of squared loadings for 4 competencies was between 48.5~54.5%. Cronbach’s α if item deleted for each 10 soft skills were within 1.3%. Therefo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10 soft skills sets for competencies were a good level. R squares of four regression models for competencies were also very high between 84.0~90.3%. But among the four competencies were overlapped soft skills such as realistic, persistent, resourceful, and etc. Consequently, the latter study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eed to be driven for common factor of subject competencies using 28 soft skills described in table 15.

      • KCI등재후보

        정보기술의 발달과 실과교육의 전망

        류청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정보기술의 발달이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을 전망해보고, 이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측하여 미래 실과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보기술은 현재의 Peta(1015)급 메모리 기술이 20년 뒤인 2030년에는 Kilo Yotta(1027)급으로 진화함에 따라, 2010년부터는 적시학습의 시대, 2015년에는 글로벌 사이버 대학의 시대, 2020년에는 3D 시뮬레이션 형 프로그램이 주도하는 맞춤형 개별교육의 시대, 2025년에는 세계통합교육과정이 사이버 상에 구축될 것으로 전망되며, 2030년에는 인류만큼 똑똑해지는 기계의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우리 후손들을 위한 교육과정보다는 기계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시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켜주는 저 출산 고령화 시대, 지구촌 문화 통합의 시대, 기후변화, 과학기술의 발전, 신교육의 시대, 여성성의 강화, 지구촌 정부의 탄생, 1인 가구의 대중화 등과 같은 메가급 사회변화 트렌드를 이끌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지금까지 강조되었던 도구 및 주지 교과 중심의 학교 교육도 실습 및 체험 교과들이 강조될 것으로 미래학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교육에서의 실과교육은 학교 교육의 중핵 교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실용적 실학적 철학의 바탕아래 교육내용이 선정되고,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조화롭게 융합한 교수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미래 인재상에 부응하는 교과로서의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실과 교과 전담교사제를 활성화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는 교육내용을 고려하여 범용의 표준 실습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의 마련과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해줄 수 있는 교원의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의 구안·활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prospect of practical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foresight of educational paradigm, the forecast of future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the present memory technology is peta(1015) level, it will be Kilo yotta(1027) level in 2030. Therefore the future society will be the times of just in time and space learning in 2010~2014, the times of global cyber university in 2015~2019, the times of customized individual education based on 3D simulation program in 2020~2024, the times of global integrated curriculum in 2025~2029, and the time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chine than descendant tag along with the era of machine smarter than mankind after that. These technological development led the mega-trend of social shift such as aging, blending, climate change, development of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female, globality, and home alone. As a result, the core subject of future education will be changed knowledge, tool oriented it into practical, experience oriented it. Therefore, the practical science subject in the future education will be played role in core subject. In order to do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practical science subject should be selected for practical use, the teaching method of it should be combined self-faced learning and collaborated learning for.

      • KCI등재

        사회과학용 통계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류청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교육논총 Vol.31 No.2

        이 연구는 사회과학용 통계 프로그램의 하나인 SPSS와 AMOS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통계의 교육적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검증과 예측으로 구분하여 취약하다고 판단되거나 앞으로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생각되는 기법들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추진하였다. 학습효과의 검증이라는 과거의 시점에서 사전 및 사후 검증법, 우리의 삶이라는 현재의 시점에서 지수와 다중응답분석 기법, 철학적 관점에서 미래가 내포된 교육을 예측하기 위한 미래 연구방법을 요구분석, 시계열분석, 인과관계 분석, 행동분석, 대안모델의 개발, 대안적 미래의 실현 가능성 분석, 변화의 추정과 가설의 검증, 시스템의 안정성 검증 등으로 분류하여 이에 적절한 기법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방식으로 추진되었는데, 여러 차례에 걸친 미래 &#50916;숍에 참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세계미래학회에 직접 참가하여 미래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연구방법 주임교수와의 논의와 수업 참관에서 얻은 자료들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교육연구의 관점에서 이 연구는 미래 지향적인 연구의 주제와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새로운 주제에 적절한 새로운 통계적용 기법을 필요로 하는 개인 및 기관의 연구 활동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잠재적 능력이나 적성 등을 좀 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 판단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업무 수월성을 제고할 수 있음은 물론 과학기술의 발달이 미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고, 이에 따른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미래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연구를 추진하고자 할 때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생&#8231;교사&#8231;학교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특수한 현상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구명하고자 하는 연구를 설계하고 추진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소프트 스킬과 실과교과 내용의 연관성 분석

        류청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내용 요소들과 관련된 소프트 스킬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추진되었으며, 자료 수집에 적합한 실과교과의 내용 요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행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내용과 2019년부터 새롭게 적용될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고,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프트 스킬을 선정하기 위하여 스킬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실과교과 내용 요소들의 요인을 압축하고, 압축된 요인, 내용 요소, 그리고 교과와 소프트 스킬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실과교과의 내용 요소 15개와 소프트 스킬 13개를 선정하였으며, 15개의 교과 요소는 정보‧기술, 가정‧진로, 만들기, 생명‧환경의 4개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분석 자료는 교육대학교 학생 247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탐색, 탐색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t 검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 프로그램이 이용되었으며, 가설 검증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정보‧기술 요인은 독립적인, 창조적인, 이타적인, 가정‧진로 요인은 정확한, 문제해결을 잘하는, 만들기 요인은 창조적인, 정확한, 문제해결을 잘하는, 생명‧환경 요인은 창조적인, 정확한, 그리고 교과 전체적으로는 창조적인, 정확한, 독립적인이란 소프트 스킬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soft skills closely associated to the contents of practical science subject(PS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An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lated curriculum for selecting content factors of PSS that would be fitted to the data collecting, the concept review of soft skills related to the contents of PSS, the extraction of related variables, scaling for measurement, deduction of factors, and designing the research model. 15 content elements of PSS with 13 soft skills were selected, finally 4 factors were deducted from 15 content elements. To achieve the this purpose, IBM SPS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the data analysis with reliabilit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t-test an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association were high between the information‧technology factor and self-reliant, creative, altruistic, the household arts‧career guidance factor and accurate, resourceful, the making factor and creative, accurate, resourceful, the ecological life science factor and creative, accurate, the whole subject and creative, accurate, self-relia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실과교과의 단원별 미래 유망직종의 전망과 샘플 시나리오

        류청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는 의식기술 시대의 미래 유망직종들을 탐색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과교과와 관련된 샘플 시나리오를 단원별로 개발하고 이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해 삼세론의 관점에서 미래를 설정하는 기준, 의식기술 시대의 개념, 2030년을 향한 미국 연방정부의 국정지표와 이에 연계된 공학 분과의 실행과제와 사례, 미래에 유망할 것으로 보이는 융 합 학문과 산업의 사례, 직업군별 유망 직업의 사례, 시나리오 기법의 개념과 교육적 활용방안 등을 주요 연구의 내용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미래학적 특성상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시나리 오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와의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유망한 미래의 융합학문 분야로는 입체인쇄학, 나노공학, 인공생물학, 의식기술학, 만물지능학, 증강현실학 을 선정하였으며, 입체인쇄학을 사례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를 예시하였다. 둘째, 실과 교과의 단원별 미래 유망직종의 시나리오는 중단원별로 각각 1개씩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약술하였다. 제1권의 나와 가정생활 단원에서는 아바타관계 관리자와 로봇 기술자, 식생활 단원에서 는 식료품 구매대행 전문가와 건강관리 전문가, 체질의학 전문가, 매너 컨설턴트, 의생활 단원에서는 나노의류 전문가, 단순화 컨설턴트, 캐릭터 마케팅 전문가, 매시업 문화 전문가, 주생활 단원에서는 에너지 수확전문가, 대안화폐 전문가를 샘플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제2권의 기술과 전기전자 단원 에서는 3D 프린터 프로그래머, 창업투자 전문가, 홀로그래피 전문가, 군사로봇 전문가를, 생명과학 관련 단원에서는 미세조류 전문가, 배양육 전문가, 종 복원 전문가, 애완동물로봇 전문가를, 정보과 학 관련 단원에서는 정보보호 전문가와 증강현실 전문가를, 그리고 진로와 관련된 단원에서는 우주 여행 가이드와 미래 가이드를 샘플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the sample descriptions of the future scenarios on prospective jobs by units of practical science subject(PSS) with the exploration of decent jobs now and for the future. An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definition of the future, the concept of conscious technology, index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with engineering challenges of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toward 2030s, the future shapes of the convergence disciplinary and the fusion industries, the cases of the prospective jobs in the future, the educational application strategies with the concept of scenario, etc. Literature review was used to explore this mission and scenario method was also used in the description of prospective job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three dimension printing, NANO technology, synthetic biology, conscious technology, internet of things, and augmented reality were selected to the convergence disciplinary highly related with PSS. Additionally, the sample industries can be used in the 3D printing were suggested. Second, the future scenarios of prospective jobs by units of PSS were described to one scenario per sub-unit. The 12 scenarios were described in the first volume as follows avatar relationship manager, robotician, personal grocery shopper, personal care coordinator, nanotech fabrics fashion expert, simplicity consultant, energy harvester, alternative currency banker, constitutional medicine expert, manner consultant, character merchandising, mash-up culture expert. Also 12 scenarios were presented in the second volume as follows 3D printer programmer, seed capitalist, cultures meat expert, micro algae expert, information security expert, augmented reality architect, holographic technology expert, military robots wxpert, restore species expert pet roboticist, space tour guide, future guid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연구학교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류청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4 實科敎育硏究 Vol.10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an activation plan with an operation actual condition of research school for practical art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research school, to select the school to be specified with research school for practical arts subject, to analyze the curriculu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n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rganization, study environment for research school for practical arts subject. Finally, this study were to present an improvement and activation plan to the natural disposition the actual condition of research school for practical arts subject.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curriculu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on the assumption of the consolidation and reconfiguration which has the link.Second, reconstructed curriculum would be avoided the duplicate of the content of the 7th curriculum.Third, the content such as a career guidance and an environment education would be groped the plan to guide commonly, the content which the training will be cored would be used the team teaching.Fourth, an each class charge teacher guides a commonness field to the blanket, team teaching were distinguished to home economics, life science, technology education, information science, career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eam teaching is applied taking the characteristic of area, school.Fifth, systematic research about reconfigur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 content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for apply team teaching must be processed .Sixth, a study and training opportunity of teachers must be extended for efficient team teaching.

      • 꽃을 소재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

        류청산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꽃을 직접 가꾸는 과정을 통해서 좋은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꽃이 아동의 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 요인을 구명하였고, 인성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재 식물을 분석하였고, 식물의 특성과 꽃피는 시기 그리고 아동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인성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꽃이나 식물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꽃을 소재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추진하였으며,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에 이용될 질문지는 최종적으로 20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신뢰도 r=.7717로 도구로 사용하는 데는 무리가 없는 수준이었다. 이 때 이용된 신뢰도 공식은 Cronbach의 알파 공식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산출하였으며, 요인분석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꽃이 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 요인으로는 낙천성, 인내심, 자율성, 성실성, 근면성, 안정성, 창의성, 우을증, 스트레스, 생명존중, 실용성, 식습관, 집중력, 계획성, 진실성 등이 선정되었으며, 이들 중 '안정성'이라는 인성 요인에 대한 검사 도구를 최종적으로 20문항 개발하여 예시하였다. 둘째, 인성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꽃은 탐구학습, 체험학습, 활용학습의 관점에서 계절별로 대표적인 꽃과 추천할 만한 꽃으로 각각 선정하였으며,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식(약)용 식물을 선정하여 사상의학, 8체질 의학과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꽃과 식물을 이용하는 학습활동을 계획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을 육하 원칙에 의거하여 제시하였으며, 인성요인의 변화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선정된 꽃을 소재로 한 인성교육용 수업계획의 사례를 탐구학습지 모형과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ultivate good human nature through course which raises the flower or the plant, directly.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and clarify the factor which the flower is influenced in the human nature of the child, to develop the scale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of personality, to analyze a textbook plant in primary school, to select the flower or the plant to be utilized for personality education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nt, the period of flower blooming, preference of child, and to develop the model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aking advantage of flower. This study were done survey research with literature study mainly. In Survey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It included a stability(20 items) of personal element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alculated by using Cronbach's □. It's coefficients was .7717 in stability.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which the flower is influenced in the human nature of the child were optimism, patience, autonomy, sincerity, diligence, stability, ingenuity, melancholy, stress, respect life, practical use, eating habits, concentration, planning quality, and truth. Second, the flower to be utilized at personality education delimited by an observation, an experience, a practical use study and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were made for a spot improvement and subsequent research. First, in research like this, it need research over two years which is the continued to be developed the model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aking advantage of flower or plant. Second, it need a subsequent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aking advantage of flower or plant among the individual and cooperative study. Third, it could be utilized in education of the dignity about the life and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plant, animal and human. Last, it could be used in psychosomatic healing and prevention of melancholy with stress, too.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