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류인태 ( Ryu In-tae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쉬운 점은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별개로,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졌거나 또는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가 매우 적다는 사실이다. 최근 국내에서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개념에 대한 담론은 많이 형성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구체적 방법론이 무엇인지 그 실제(實際)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현실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특히 고전 자료 또는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인문학 연구의 경우, 텍스트로부터 데이터를 풍부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서 진행되었거나 또는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또한 찾아보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본격적으로 활용한 국내의 연구 사례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연구가 안고 있는 학술적 맥락이 무엇인지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당장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가장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기존 연구 사례가 무엇인지에 대한 소개와 개별사례에 대한 귀납적 검토이다. 각각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기초적 문제의식과 연구 과정에 적용된 디지털 기술 그리고 구현된 결과물이 갖추고 있는 디지털 형식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파악된다면,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것이다. 실제로 본고에서 정리한 9가지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는 각각이 다른 형식의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면서도 유사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였거나 또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등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교 대조하여 참고할만한 지점이 매우 많다. As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has continued to grow largely across the world since the mid 2000s, there also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spite of the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t is disappointing that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ourse about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but the fact that discussions on what is the specific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have not been active is deeply related to this realistic situation. In fact,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in order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and to avoid embracing imprudent opinions, we have to approach cautiously so as to remove abstractness from discussions on digital humanities. With this as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epitomize humanities researches in Korea that uses digital platforms in earnest. There are nine cases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in this paper. Though each case has its own object that distinguishes one case from another cases, digital platforms that they are based on are very similar to one another's. Web Ontology Language, Network Graph Visualization and Media WikiTM are the examples. It's likely that schola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study digital humanities can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by reading the case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Function and Sensibility on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류인태 ( In Tae Ryu ),황병용(교신저자) ( Byong Yong Hwang ),김중환 ( Jung Hwan Kim ),장우남 ( Woo Nam Chang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1 신경치료 Vol.1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hand function and sensibility on con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c side. Method Ten subjects without a control group were given CIMT to the hemiplegic side for 3 weeks. The effects of their hand function and sensibility were examined using a MAL and two point discrimination Test. Repeated ANOVA was carried out for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CIMT before and after rreament.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between M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d two-point discrimination. Resul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functional aspect with CIM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 of MAL, as well 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wo-point discrimination function in all fing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d two-point discrimination. Conclusion CIMT can enhance the motor function and sensory function of the hand in hemiplegic patients. The hand function and sensibility had a coccelation on CIMT.

      • KCI등재

        디지털 고전학에 관한 시론(試論)

        류인태(In-tae Ryu)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7

        이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꾸준히 시도되어 온 고전 연구의 전체적 지형과 학술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로부터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고전학의 전통적 외연을 엄밀히 정의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디지털 고전학의 얼개를 스케치해보겠다는 것은 일견 모순처럼 보일 수도 있겠다. 한편으로 아날로그 환경에서 고전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되는 고전 연구의 보편적 양태를 살펴봄으로써, ‘학(學)’으로서 고전학의 내포를 역으로 곱씹어 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고전 연구의 여러 맥락이 고전학의 전통적 문제의식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 글이 다루는 ‘디지털 고전학’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학(學, discipline)으로서 엄밀한 정의가 아니라,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만나는 고전 연구의 양태를 폭넓게 살펴보고자 마련한 다소 포괄적인 언명에 가깝다. 고전 연구와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은, 아날로그 환경에서 이루어져 온 고전 연구의 한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보완・극복할 수 있는 맥락으로서 ‘협업(cooperation)’-‘전달(communication)’-‘연산(computation)’으로 일관(一貫)되는 일명 ‘co-ation’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형식의 연구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적극적 탐색이자 구체적 실천으로서, 고전 데이터를 ‘공유(sharing)’하고 ‘표현(representation)’하고 ‘분석(analysis)’하는 일련의 지식 처리 프로세스가 수용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overall topography and academic consequences of the many classical studies that have been attempted as a component of digital humanities study in recent year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lassics derived from them. Sketching the design of digital classics may appear to be a contradictio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traditional denotative definition of classical studies. While it is impossible to define classical studies in an analog context, it is equally worthwhile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qualities of classical studies generated in a digital environment to gain greater clarity on the meanings of classical studies as a “discipline” (學). This is because many components of classical studies undertaken in a digital context assume classical studies’ tradition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sense, the term “digital classics,” as used in this paper, is not a precise definition of a discipline, but rather a broad statement intended to cover all parts of classical scholarship that intersect with digital technology. The continuation of “co-ation” represented by “cooperation” – “communication” – “computation” is necessary for digital classics to function as a point of interaction between classical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As an active exploration and tangible movement to continue such new research activities, a series of knowled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sharing,” “representa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data must be accepted.

      • KCI등재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가상현실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은자 ( Eun-ja Kim ),류인태 ( In-tae Ryu ),박효정 ( Hyo-jung Park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8 신경치료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training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on an unstable surface. Methods The subjects were 1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stroke for more than six months. Fiv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ive to the control group. Virtual reality training was performed using GymPlate, and a balance pad was placed on the foot plate of the GymPlate. Then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y LOS, BBS, and TU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 and TUG (P< 0.05)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BS (P >0.05).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 BBS, and TUG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0.05).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 and TUG (P< 0.05)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BS (P >0.05). Conclusion Virtual reality training on an unstable surface by symmetrical weight support and weight shift is effective in improving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김현(Kim Hyeon),안승준(Ahn Seung Jun),류인태(Ryu In Tae)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단순히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화 하거나, 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간행하기보다는, 정보 기술의 환경에서 보다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디지털 인문학’이라고한다.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인가 라는 물음에 답을 줄 만한 연구 모델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로 보고된 여러형태의 인문 분야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종래에 인간의 언어로만 기술되었던 인문 지식의 요소들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데이터로 전환하여, 컴퓨터가 그 정보의 해석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인가’하는 원론적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 지식을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은 어떠한 작업이며, 그것을 통해 학술적 성과를 기대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인문정보학 교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문중고문서 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문학의 프레임워크 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식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연구자들이 직접 그 디지털화된 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분석, 정리, 해석을 통해 찾아낸 ‘사실’과 ‘이야기’를 확장된 데이터로 축적해 나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료’의 아카이브에서 ‘지식’의 아카이브로의 진화를 지향한다. 고문서 내용을 데이터로 전환하여 기계적 가독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과거의 생활사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에 기여하겠지만, 향후 이러한 데이터의 광범위한 축적으로 만들어질 인문학 빅데이터는 현대에 발생하는 사회과학적, 산업적 빅데이터와 엮여져서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와 과거 역사의 탐구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게할 것이다. 인문지식이 데이터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통해 우리의 인문지식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서는 세계와도 교섭할 것이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서의 인문학의 외연을 더욱 의미 있게 확장해 갈 수 있을 것이다. Rather than simply digitizing humanities materials or providing humanities research results in a digital format, “digital humanities” encompasses ever more creative humanities endeavo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re is still no research model which can clearly answer the quest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looks like. However, if we look at the similarities among humanities research which has been deemed to fall under the umbrella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elements from human-composed language to machine-readable data, which allows computers to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said information. The author will go a step beyond the fundamental discuss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is,”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work of transforming humanities knowledge into data, and what kind of scholarly outputs we can expect from such work. To this end, the author presents research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Archives and Cultural Informatics Lab which is based on old documents from paternalistic lineage organizations (munjung). A new form of digital archive of old documents made for a digital humanities framework allows researchers to turn the content of digitized old documents into data. In add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data which encompasses “truths” and “stories” discovered via data analysis,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an archive of “source materials” can evolve into an archive of “knowledge.” On preliminary level, transforming the content of old documents into data and making it machine readable contributes to humanities research on the lives of people of the past. However, looking forward, the widespread accumulation of such data can create big data on the humanities. And if this humanities big data is connected to big data dealing with contemporary social, academic, and business phenomena,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Through efforts to allow humanities knowledge to communicate as data, our humanities knowledge can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and negotiate with the larger world, and it can more meaningfully expand the full realm of the humanities as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 뇌졸중 환자의 손상된 발에 대한 감각 자극이 앉은 자세에서 체간 움직임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김영동 ( Young-dong Kim ),이경보 ( Kyeong-bo Lee ),류인태 ( In-tae Ryu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4 신경치료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mmediat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to the affected foot on trunk movement in sitting position in patients after a stroke. Methods Gait group (GG) consisted of 6 subjects with hemiplegia and non-gait group (NGG) was composed of 6 subjects with hemiplegia after a stroke. The subjects in both groups were given an intervention only once for 30 minutes.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he Sensory test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Results TIS dynamic in GG and tactile sensation of dorsal, 1-toe and 5-toe in post-test between GG and NGG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t. Conclusion Sensory stimulation to the affected foot influenced sensory perception itself as wel1 as trunk movement and this effect was more shown in patients with hemiplegia who can walk.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문학 연구(1) : 작가 연구를 위한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설계

        장문석 ( Jang Moon-seok ),류인태 ( Ryu In-t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5 No.-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에 근거한 한국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과정을 소개하는 연속 연구의 첫 성과이다. 이 글은 인문학 연구와 디지털 기술을 각각의 것으로 분리해 수용하는 시각에 거리를 두면서, 디지털 환경이 내포한 본질적 속성을 바탕으로 문학 연구를 재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고심하였다. 그 과정에서 작가 윤동주를 구체적 대상으로 삼아 장기적인 데이터베이스 편찬 계획을 수립하고, 그 첫단계로서 온톨로지 설계 및 기초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입력된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베이스(Neo4j™)로 구현해 검토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온톨로지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과 본격적인 데이터베이스 편찬 작업을 위한 검토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와 함께 추후 계획하고 있는 연구 내용을 소개하였다. This paper is the first achievement of a series of studies that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introduces the process. This paper based o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focused on a method of reconstructing literary research, tries to break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dividing humanities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into separate ones. In the process, poet Yun Dong-ju was specifically targeted. In addition, a long-term database construction plan was established, and as the first step, ontology design and raw data input were performed. Then, the input data was implemented as a graph database (Neo4j™), reviewed, and presented. Along with this, the contents of future research wer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