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란 극복의 주역, 류성룡 축출 과정과 그 배경 - ‘재조산하’에서 ‘재조지은’으로

        류을하 ( Ryu Eul-ha ) 서애학회 2022 서애연구 Vol.6 No.-

        서애 류성룡은 임란 극복의 주역이었음에도 탄핵을 받고 조정에서 축출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로는 정응태 무고사건에 따른 대명 변무사 자청 거부나 ‘주화오국’에 있는 것으로 단순하게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류성룡의 비참한 퇴진에는 수구화된 조선이라는 나라의 근본적인 모순은 물론, 전쟁이라는 극한적인 국면을 마주한 선조·명군·당파의 자기중심적인 동기가 작용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시대적 문제에 대한 이념 갈등이나 개체·집단의 생존 본능과 같은 복합적인 배경이 존재한 것이다. 이러한 난해하며 혼란스러운 조건 속에서도 류성룡이 국난 극복과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지성으로 추진한 개혁은 나라를 다시 만든다는 뜻인 ‘재조산하’의 시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대표적으로는 신분제를 타파하는 노비 충군과, 방납의 폐단을 없애고 ‘부자증세’를 가져오는 ‘공물작미법’ 시행이었다. 그러나 구질서에서 사회·경제적 이익을 향유하던 지배층은 류성룡의 개혁으로 체제의 근본적인 변혁이 초래되는 것이 두려워 민감하게 반발하였다. 특히 지나친 대명 사대주의를 견지하면서 전제 왕조를 지키려는 국왕 선조가 그랬다. 이에 류성룡은 이들 수구 세력의 표적이 되었으며, 선조와의 관계도 갈수록 불편해졌다. 게다가 명·왜 강화협상의 결렬에 따른 정유재란과 이순신 문책 파동으로 인해, 그동안 국정을 책임졌고 이순신의 후견인으로 버텼던 류성룡은 정치적 입지가 크게 위축되었다. 또한 자주성을 지키려는 그에 대한 명군 지휘부의 견제와 축출 시도가 겹쳐 시련은 날로 깊어졌다. 이러한 가운데 임란 종반에 명군 책임자인 양호와 조선을 무고하는 소위 ‘정응태 무고사건’이 발생하였다. 명나라 조정 세력 사이의 내부 갈등이 본질인 이 사건에, 선조는 왕위를 보장했던 양호 구명을 위해 집착하였다. 또한 북인들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류성룡 축출이라는 당파적 목표 달성에 이 사건을 활용하려고 하였다. 이에 그들은 영의정 류성룡이 신하로서 대명(對明) 변무사를 자청하지 않아 선조에게 불충하였다는 이유와 함께, ‘주화오국의 소인’이라는 등의 모함성 정치공세를 펼치며 탄핵하였다. 그리고 류성룡을 거북한 존재로 생각하던 선조는 그들의 탄핵 움직임을 고비마다 부추겼다. 이로써 전란 극복의 주역인 류성룡은 힘없이 관직이 삭탈 되어 낙향했다. 개혁과 자주를 지향한 1등 공신인 그가 수구와 의타(依他)에 패배한 것이다. 이렇게 올바른 정치를 지향하고 성과를 이룬 공신이 마지막에 가서는 억울하게 퇴출 당하는 것이 다른 나라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전 근대 시대의 모순 중의 하나지만, 조선 역시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결말의 초래는 엄청난 외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세조 이래 이익 공유로 결합된 구체제를 지키려는 에너지가 워낙 컸기 때문이었다. 이로써 류성룡의 퇴진과 전후(戰後)의 조선에는 ‘재조산하(再造山河)’ 대신 ‘재조지은(再造之恩)’의 관념이 자리 잡았고, 조선 후기의 불행이 잉태되었다. Ryu Seong-ryong was impeached and ousted from the court although he was the hero of the Imjin War. Scholars tend to explain away this issue by pointing to his refusal to serve as special envoy to the Ming after Jeong Eungtae(丁應泰) submitted three memorials to the Ming court. Some simply repeat the accusation of the late 16th century factional struggle that Ryu Seong-ryong “ruined the state with his conciliatory policy toward Japan.” However, Ryu Seong-ryong’s tragic dismissal was not only due to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of a reactionary Joseon, but also to the self-centered motives of King Seonjo, the Ming Emperor, and partisans confronting the extreme realities of war. In other words, ideological conflicts over urgent issues as well as factional struggle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formed the complex background against which Ryu took was impeached. Under such difficult and confusing conditions, Ryu Seong-ryong pulled through reform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as well as to prepare for the future. It would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is reforms were to remake the mountains and rivers of the country. Particularly, he enlisted slaves in the regiment troops, which undermined the status system of Joseon society, and implemented the Tribute Cultivation Act, which eliminated the ills of tribute contracting (indirect payment) and imposed higher rates of taxation on the rich. However, the ruling class which enjoyed social and economic privileges in the old system adamantly resisted Ryu’s groundbreaking reforms. King Seonjo tried only to maintain the despotic government while being subservient to the Ming court. Accordingly, Ryu Seong-ryong became a target of the old party, and his relationship with King Seonjo became increasingly conflictual. Moreover, Ryu Seong-ryong who had been in charge of state affairs and endured as Yi Sun-shin’s guardian began to lose power in the wake of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of 1597 and Yi Sun-shin’s dismissal and imprisonment. In addition, Ryu Seong-ryong had to undergo the intensifying ordeal because the Ming headquarters tried to remove him as he pursued Joseon’s independence. Toward the end of the Imjin War, the so-called “Jeong Eung-tae Incident of False Accusation” occurred. This incident was due to the factional struggle of the Ming court; however, King Seonjo was fixated on his obligation to save Yang Hao 楊鎬 (? - 1629) who had guaranteed his throne. The Northerners plotted to use this incident to oust Ryu Seon-ryong. Accordingly, they impeached Ryu Seong-ryong on the ground that he was being disloyal for having refused to serve as special envoy to the Ming. In addition they made a false accusation that he ruined the state with his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the Japanese. King Seonjo who disliked Ryu Seong-ryong’s presence at the court instigated the impeachment in the background. As a result, Ryu Seong-ryong, the hero of the Imjin War, was dismissed and returned home. Ryu Seong-ryong, the reform-minded top-tier meritorious minister as defeated by those reactionary and subservient ministers. A pre-modern absurdity of an reform-minded upright minister being ousted due to factional struggle can also be found in the histories of other countries: Joseon was no exception. Despite the tremendous external impact,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state since King Sejo’s reign remained still too powerful. Therefore, Ryu could not avoid being impeached. With the dismissal of Ryu Seong-ryong, in a post-war Joseon, the will to remake mountains and rivers of the country was replaced by the sense of indebtedness to repay the favor. The misfortune of the late Joseon period was conceived when Ryu Seong-ryong was dismissed.

      • 임진왜란 기간 류성룡ㆍ이순신 관계와 정유년 위기의 극복

        류을하 ( Ryu Eul-ha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4 No.-

        이 글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만남’인 류성룡과 이순신의 관계를 재조명하려는 것이다. 류성룡과 이순신은 모든 연고와 이해(利害)를 초월한 관계를 맺고 합심 협력함으로써 임진왜란 극복의 주역이 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정유년 왜적의 재침을 앞두고 이순신이 하옥되고 류성룡은 정치적 곤경에 처하는 등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되었다. 국가 유공자를 처단하고 실각시키려는 이러한 모순된 역사적 사건은 비판적 고찰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시기와 모함의 대상이 된 류성룡과 이순신의 긴밀한 관계를 『선조실록』과 『징비록』 및 『난중일기』에서 찾아 재구성하였다. 이어서 반대편인 윤두수·이산해·선조의 결속에는 정치적인 이해득실과 함께 사적인 유대관계도 작용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선조를 필두로 하는 이들의 사적 동기가 판단을 흐리게 하여 왜적의 이간계에 빠지게 되는 참담한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간첩 ‘요시라’가 주장하고 선조 등이 받아들였던 ‘가등청정 해상 요격’의 불가능성을 다시금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순신 발탁에 대한 사료 고증과, 정유년 이순신 처벌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비를 명확하게 가리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yu Seong-ryong and Yi Sunshin, what was probably the "greatest encounter" in Korean history. Ryu Seong-ryong and Yi Sunshin became the main players during the Imjin War. They cooperat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overcome the dynastic crisis. However, they also had to face a serious challenge. Righ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Jeongyu year, Yi Sunshin was in prison and Ryu Seongryong was also politically troubled. It behooves us to observe such contradictory events in which national heros were punished. This article describ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yu Seong-ryong and Yi Sunsin, who were the objects of jealousy and conspiracy, based on Annals of King Seonjo, Jingbirok, and Nanjung Ilgi.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opposing party members such as Yoon Doosoo, Lee Sanhae, and King Seonjo were closely tied for political gains. Through a close observation of how the selfish motivations of this group withou King Seonjo as leader obscured their judgment so as to fall into the Japanese tactics of deceipt, this article examines and reaffirms the impossibility of the "Gadeung Cheongjeong Offshore Interception" claimed by spy "Yo Shira" and accepted by King Seonjo and others. Last but not least, this article assesses the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Yi Sunshin's appointment and illuminates the processes by which Yi Sunshin was punished in the Jeongyu year.

      • 십만양병설의 실체

        류을하 ( Ryu Eul-ha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2 No.-

        이 글은 우리가 임진왜란 대비 선견지명으로 알고 있는 ‘십만양병설’의 실체를 실록이나 이이의 문집 등에 나타난 기록 및 새로운 사료들을 통해 정밀하게 검증하여 사실여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발견은 이이가 ‘니탕개의 난’에 대비하여 병조판서를 맡긴 선조의 양병지시를 받고도 민력이 쇠잔해 있음을 감안하여 ‘백성을 기르는 양민이 먼저’라고 보고하였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이는 양민(養民)의 방도로 공안(貢案)을 개정하여 현물세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지론을 다시 펼쳤지만, 선조가 공안의 개정에 불응함으로써 성과 없이 논의가 끝난 것으로 사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글은 이이의 정치 지향이 왕도정치 사상으로서 무리하게 십만 양병과 같은 정책을 펴는 것과 상반되었다는 것을 밝히며, 당시의 인구·재정 등 사회경제적인 여건도 십만 양병을 감당할 수 없는 것이었다는 점도 짚어 보았다. 하지만 김장생은 이이의 전기를 지으면서 원래의 사료와 다르게 현저하게 왜곡된 ‘십만양병설’을 만들어서 일화로 수록하였었다. 이후 서인들이 계속 정권을 잡게 되면서 자파 정권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왜곡된 김장생의 기록이 선조수정실록에도 실리도록 하여 국가의 공식 기록에 올랐다. 그리고 율곡 연보 등 다른 기록에서는 김장생이 지은 원전(原典)까지도 그럴듯하게 추가 변개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광복 이후에도 ‘극일’ 및 ‘부국강병’ 분위기로 인해 왜곡이 오히려 더해졌다. 이로써 임란 당시 생존하지 않았던 이이가 국방에 더 큰 공이 있는 것처럼 존숭되고, 임란을 극복한 류성룡은 오히려 십만 양병에 반대하여 나라를 위기에 빠트린 인물로 호도되는 명예 훼손이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점도 사료를 통해 허위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so-called “Yul-gok’s proposal to draft 100,000 men into armed forces,” widely recognized as Yi Yi’s (李珥, 1536-1586) foresi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ased on a close examination of Yi Yi’s literary works. Yi Yi reported “commoners should be rais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poor public power even after receiving orders from King Sŏnjo, who entrusted the court to prepare for the “Ni T’anggae Rebellion.” In addition, Yi Yi re-examined the principle that the burden of taxes in kind should be reduced by revising the tribute case as a way for the people of commoners, but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records that the discussion ended without results as King Sŏnjo refused to comply with the revision of the tribute case. The paper reveals that Yi Yi’s political orientation was contrary to his unreasonable the policy of carrying out the same policy as “nurturing 100,000 soldiers against possible foreign enemies” as the king's political ideology, and also pointed out that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time, such as population and finance, could not handle the proposal to draft 100,000 men into armed forces. However, Kim Jangsaengs’ anecdotal note would form the mythological basis of on Yi Yi’s alleged proposal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against possible foreign enemies.” Since then, the biographies of Yi Yi continued to cite Kim Jangsaeng’s notes. Finally, it was included in the Sŏnjo sujŏng sillok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reign. In addition, the other records, including the Yulgok Chronicle, show that even Kim Jangseang’s writings were doctor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the nationwide slogans of “overcoming Japanese” and “enriching the state” and strengthening the army intensified the myth. This resulted in the elevation of Yi Yi, who did not survi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if he made greater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defense, and Ryu Sŏngnyong, who made real contributions, was misinterpreted as having ill-advisedly opposed the proposal of raising 100,000 troops. It will be shown that this point is also historically inaccu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