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藤原忠実『殿暦』の漢字仮名交じり表記 -平安時代和化漢文の学習過程という側面から-

        柳原?津子(Etsuko, Yanagihara)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68

        후지와라노 다다자네(藤原忠実)의 일기 『덴랴쿠』(『殿暦』)는 다른 옛 기록물들처럼 ‘일본제한문’(和化漢文)이라는 문체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제한문’이란, 일본어 화자가 쓰고 일본어 화자가 읽기 위해 간략화 및 일본어화한 한문체를 말한다. 『덴랴쿠』는 헤이안시대의 다른 옛 기록물과 비교했을 때 상당수 가나(仮名)를 혼용해서 사용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덴랴쿠』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한자가 나 혼용 표기례를 분류 및 정리하고 나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다. 『덴랴쿠』에서 볼 수 있는 한자가나 혼용 표기는 1105년(長治2)경을 경계로 연차순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로 미루어볼 때 기주(記主)의 한문체로 글을 짓는 집필 능력이 점차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립어를 포함한 한자가나 혼용 표기, 그중에서도 단락 및 문장의 범위에 이르는 가나 혼용 표기례도 1105년(長治2)경까지의 전반기에 많았으며, 한문체로 짓지 못했던 내용이 많았던 상태에서 한문체로 지을 수 있는 내용이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한자에 조사와 조동사(주로 격조사) 및 어미 등을 덧붙여 써넣는 형식의 가나 혼용 표기례는 권말까지 일정한 빈도로 지속해서 사용되었다. 기주에게 있어서 용법(措辞) 및 조사(助辞)류(‘於’ 등)만으로 정확한 격 관계의 표현은 어려웠다는 측면을 엿볼 수 있다. "Denryaku, "Fujiwara no Tadazane"s diary, was written in the style of "Wakakanbun," like other ancient records. "Waka kanbun" is a Chinese writing style written by Japanese people and simplified and translated into Japanese for Japanese readers It is widely known that kana was more widely used in "Denryaku" than in other ancient records of the Heian period. In this paper, we classify and organize all examples of kanji-kana mixed notation found in "Denryaku" and observe changes over time. The kanji-kana mixed notation found in the "Denryaku" had been decreasing year by year since around the 2nd year of Choji,i.e.(1105), and in this respect, we can understand that the writing ability of writer in Chinese writing was gradually improving. In addition, there were many examples of kanji-kana mixed notation including “jiritugo”,independent words, especially kanji-kana mixed notation covering a range of clauses and sentences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until around Choji 2nd year), and there were many contents that could not be spelled in the Chinese writing style. However, we can see that the content that can be spelled in the Chinese writing style increased after around Choji 2nd year. On the other hand, cases of mixed kana notation in which particles, auxiliary verbs (mainly case particles), and verb endings added to kanji continued to appear at a certain frequency towards the end of the book. It is possible for us to get a glimpse of the aspect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writer to accurately express the case relation only with word order and Chinese particles (such as "於").

      • KCI등재

        平安期記録体における漢字仮名交じり表記

        柳原 ?津子(Etsuko Yangihara)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70

        히가라나와 가타카나, 만요가나(마가나)의 발생과 발전 과정에 대해서는 모든 것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훈점자료, 선명, 일한혼용문으로 기록된 자료나 고기록 등은 가타카나 또는 히라가나로만 되어있지 않고, 히라가나, 가타카나, 만요가나가 혼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헤이안시대 고기록에서의 히라가나, 가타카나, 만요가나가 혼용과 한문서적의 훈점자료에서의 가타카나 표기에 히라가나가 섞이게 된 것에는 공통된 배경이 존재한다는 종래의 연구가 있다. 기록체에 가나가 섞이게 된 데에는 선명체의 답습, 와카나 회화의 정확한 기록, 한자로 쓰는 것이 불가능한 곳에 가나 사용 등과 같은 다양한 유래를 찾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한문서적의 훈점자료와는 그 사정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문서적과 훈점자료은 모두 의식, 정무, 일상생활이라고 하는 일본어문맥, 구어, 와카와 친화성이 강한 장면에서 읽히고, 쓰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으며, 같은 이유로 인해 양쪽 모두 히라가나가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헤이안시대 고기록 중 자필본이 남아 있는 『미도칸파쿠키(御堂関白記)』『스이사키(水左記)』 『고니조모로미찌키(後二条師通記)』『구마이키(愚昧記)』를 살펴보면, 이른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래를 반영한 가나 사용의 차이가 보이지만, 이윽고 유래마다 다른 것이 섞이고, 동시에 통상의 지문에서도 가나혼용의 표기가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스이사키』 와 같이 가타카나 전용 기록이 생겨나게 되고 동시에 중세 이후에도 가나의 혼재가 남게 된다는 점이 훈점자료나 일한혼용문과는 다른 점이다. The process of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Hiragaka, Katakana, and Manyogana (Magana, pseudonym) has never been fully clarified.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kunten-materials, senmyo, materials written in Japanese-Chinese mixed sentences, and kokirok were written in the mixed notation of hiragana, katakana and manyogana, rather than in a single notation of either katakana or hiragana. However, it has not yet been clarified why such a thing happened. It has been pointed out in previous study that there is a common background between the mixed use of hiragana, katakana, and manyogana in kokiroku-materials and the mixing of hiragana in the katakana notation in kunten-materials of Chinesebooks in the Heian period. However, the inclusion of kana in the kokiroku-materials has various origins such as following the missionary writings, accurate recording of waka poems and conversational sentences, and the use of kana in places where kanji cannot be written. In this regard, the situation of the kokiroku-materials differs from that of kunten-materials of Chinesebooks. Nevertheless, both are common in that they were read and written in the case that had a strong affinity with the Japanese context, such as colloquialism, waka poems, political rituals and daily life. It is thus natural to assume that hiragana was used for both. Looking at "Midokanpakuki", "Suisaki", "Gonijyo-moromichiki" and "Gumaiki", the kokiroku-materials of the Heian period, of which the autographs remain for today,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kana that reflects the above origins is found at an early stage. However, the differences in origin were mixed, and at the same time, the notation mixed with kana was used in descriptive parts. Then, kokiroku-materials written exclusively in katakana such as "Suisaki" was cre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mixture of hiragana, katakakan and manyogana remained even after the Middle Ages in the kokiroku-materials and materials written in Japanese-Chinese mixed sentences.

      • 유무선 통합망에서의 품질보장형 이동성 관리 기술 구현 연구

        류원,이경희,김봉태,박성수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8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8 No.4

        This paper proposes a mobility management scheme to provide a mobile node with high-quality handovers among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in fixed-mobile converged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supports fast and reliable control message delivery by separating a mobility control plane from the data transport plane in the core network. It employs the network-based handover controls to require the minimum modifications on terminal de¬vices. With the interactions between Layer 2 and 3, the proposed scheme accelerates the handover con¬trol procedures. Those interactions also enable a mobile subscriber to select a target access network for a handover, which satisfies the user preferences and QoS requirements. It addresses the well-known problems of the existing approaches based on Mobile IP, triangular routing and bottleneck at HA, by establishing and adjusting a data tunnel between two corresponding mobile nodes’ access networks.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our implementa¬tion and simulation study represent that the proposed scheme provisions more efficient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approaches, in terms of handover signaling latency, data packet transmission delay, and CPU utilization at control nodes.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액세스 망을 수용하는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이종 망간 고품질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 이동성 제어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방식은 코어 망의 제어 계층과 데이터 전달 계층을 분리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어 메시지를 교환하는 구조를 가지며, 망 기반의 이동성 제어 절차를 통해 단말의 기능 변경 요구를 최소화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링크 계층 및 IP 계층간의 연동을 통해 핸드오버 처리 절차를 고속화하고, 사용자 선호 및 망 상태 정보 등을 고려하는 품질 지향의 액세스 망 접속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동 단말에 대한 패킷 전달을 위해서는 액세스 망간 직접적인 터널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Mobile IP 기반 기술에서 발생하는 특정 노드의 트래픽 집중 및 비효율적인 망 자원 소모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 및 장점을 검증하기 위해 시험망을 통한 구현 및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핸드오버 제어에 소모되는 시그널링 지연, 이동 단말간 패킷 전달 지연, 제어 노드에서의 CPU 사용률 등 측면에 있어서 제안된 시스템이 기존 방식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