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 CQR-M 분석을 중심으로

        류소형,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학생들의자유로운 생각을 듣기위해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해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99명의 응답을분석하였다. 응답결과는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성공의 의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 등 3개의 영역에서 2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생이 인식하는‘학생성공의 의미’에서는 ‘학업성취․취업 역량 증진․다양한 경험 쌓기․만족스러운 취업․ 원하는 진로 설정․관계형성 능력 증진․나만의 목표 설정과 달성․자기 개발․만족스러운대학생활’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에서는 ‘진로개발 지원․직무역량 향상 시스템․대학생활 참여지원․인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학습역량 증진 시스템․경제적 지원 확대․학생 편의를 위한 환경’으로 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에서는 ‘학습능력․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유능성․자기인식 및 개선․직무역량․자기조절 능력․풍부한 경험․진로인식․자존감’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 빈도와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성인 남성의 자가 금연 성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류소형,유진수,박소영,탁진국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male adults. This study included 10 adult males in their 30’s and 50’s who have been smoking cessation for more than 6 months. Firs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smoking cessation process for 10 subjects and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result, 107 semantic units, 22 subcategories, and 9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upper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prepare of change', 'process of change' and 'maintenance of chang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Three themes were obtained and these were 'feeling needs for change', 'Implementing our own strategy for success', and 'psychological and physical benefits not wanting to miss and practicing self-management'. The top 9 categories were 'recognizing needs for change', 'do not procrastinate', 'wanting to keep something precious', 'importance of believing myself', 'increased intrinsic motivation', 'creating my own strategy of success', 'action drived by environment', 'experiencing the benefits of success', and 'practicing self-manage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으로 금연을 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30대~50대 성인 남성 10명으로, 6개월 이상 자가 금연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먼저 대상자 10명의 금연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107개의 의미단위, 22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상위범주는 변화의 단계에 따라 ‘변화의 준비’, ‘변화의 과정’, ‘변화의 유지’로 구분되었으며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변화의 필요성을 느낌’, ‘성공을 향한 자신만의 전략 실행’, ‘놓치고 싶지 않은 심리적, 신체적 이점과 자기 관리의 실천’으로 나타났다. 3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도출된 9개의 상위 범주는 ‘변화의 필요성을 느낌’, ‘미루지 않음’, ‘소중한 것을 지키고 싶음’, ‘나를 믿는 마음이 중요함’, ‘내적 동기가 높아짐’, ‘나만의 성공 전략을 만들어 감’, ‘환경이 행동을 이끔’, ‘성공의 이점을 경험’, ‘자기관리를 실천함’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성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류소형,탁진국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a university student success scale. To develop the scale, first,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uccess,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Accordingly, 145 items for 6 factors were developted. Seco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 preliminary questions’ factor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8 items for all 6 factors were selected. Third, the cross-validation of the extracted items was verified and the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verified by conducting a survey on 609 college students. Thriving Quotient analysis, which is a growth index,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tems’ convergent validity. To verify the items’ validit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respondents’ GPA from the preceding semester, career decisions,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had adapted to college life. As a result of the final analysis, 26 questions were selected for all 6 factors. The finally derived factors and questions were ‘Setting a life goal (5 questions)’, ‘Career development (4 questions)’, ‘Initiative study (5 questions)’,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5 questions)’, ‘Mature citizenship (3 questions)’ and ‘Self-growth (4 questions)’. The student success scale and thriving quoti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dicating the scale’s validity. This paper discusses this study’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how the scale developted in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other student success instruments, it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 학생이 대학생활 과정에서 이루어 가야야 할 대학생성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첫째, 대학생성공 인식조사 연구 분석,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6요인의 145문항이 완성되었다. 둘째, 예비문항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6요인의 48문항이 추출되었다. 셋째, 예비조사에서 추출된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609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구분하고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여, 6요인의 26문항이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요인과 문항은 ‘삶의 목표 설정’ 5문항, ‘진로개발’ 4문항, ‘주도적 학업’ 5문항, ‘대인관계 증진’ 5문항, ‘성숙한 시민의식’ 3문항, ‘자기성장’ 4문항이다. Thriving Quotient(성장 지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성적, 학교적응, 진로결정, 주관적 행복감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준거관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학생성공 척도와 TQ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준거관련타당도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본 척도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학생성공 관련 척도와의 차이점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흡연습관 개선을 위한 금연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류소형,유재홍,최안나,김소라,박상신,탁진국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in improving smoking habits. A coaching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habits was developed, and 18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19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eight sessions of online(ZOOM) coachin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nicotine dependence,’ ‘smoking attitud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self-regulation,’ and ‘smoking amoun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oaching s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smoking attitud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nd ‘smoking amount’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crease in ‘nicotine dependence,’ ‘positiv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amounts’ after the coaching program compared to b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coaching program to improve smoking by approaching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habitual behavior verifying its effects. Finally,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인의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탁진국,권혜란,류소형,서은영,이연희,이정아,조진숙,최경화,황지연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and categorize life habit behaviors for Koreans. In addition,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life habit behaviors were analyzed. In study 1, focus-group interviews with various age groups were conducted to explore life habit behavior. We obtained 129 negative habit behaviors in 20 categories and 40 positive habit behaviors in 12 categories. In study 2, we collected open-ended questionnaires from 201 participants and drew 1005 negative and 603 positive habit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and study 2, 58 negative as well as 27 positive habit behaviors were obtained. In study 3, a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habit behaviors, and big five personality was prepared. Data were obtained from 989 individuals across various age groups. Among the total sample, we used 951 valid data.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es showed that the top 5 negative habit behaviors were frequent use of cell phone, using cell phone before sleep, oversleeping, long hours of cell phone use, excitement due to anger. The top 5 positive habit behaviors were keeping a promise, listening to others carefully, checking before going out, putting oneself in an other’s plac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11 factors of negative habit behaviors and 7 factors of positive habit behaviors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corrlation analyses showed that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were consistently related to various life habit behavior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인의 생활습관 유형을 파악하고 범주화 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또한 성격과 생활습관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생활습관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연령대로 구분한 집단에 대해 FGI(Focus-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개 범주로 구분되는 129개의 부정적 생활습관과 13개의 범주로 구분되는 40개의 긍정적 생활습관을 도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20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해 나쁜 습관 1005개 좋은 습관 60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과 연구 2를 토대로 도출한 58개 나쁜 습관과 28개 좋은 습관과 인구통계적 특성, 그리고 빅화이브 성격유형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10대에서 60대에 걸친 9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남성 453명, 여성 498명 등 총 95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 5위내에 포함된 나쁜 습관으로는 잦은 휴대폰 사용, 취침 전 휴대폰 사용, 늦잠, 장시간 휴대폰 사용, 화가 나면 흥분함 순으로 나타났으며, 좋은 습관의 경우에는 약속 잘 지키기, 상대 이야기 잘 들어주기, 외출 전 점검하기, 상대 입장에서 생각하기, 존댓말 사용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습관문항들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나쁜 습관 58문항은 11개의 요인이, 좋은 습관 28문항은 7개의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요인과 생활습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성실성과 신경증이 생활습관과 전반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